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부산항만공사, 美 상호관세 대응반 가동…수출입 차질 최소화

부산항만공사(BPA)는 최근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 부과 행정 명령 발표에 따라, 부산항의 물류 대응 체계를 점검하고 수출입 차질을 최소화하기 위해 '미국 상호관세 현장 대응반'을 가동한다고 13일 밝혔다. 미국은 지난 2일 상호관세 행정 명령을 발표하고, 4월 5일부터 전 세계를 대상으로 기본 관세 10%를 부과했으며 4월 9일부터 특정 70여 개국에 대해 국별 상호관세 25%를 부과할 예정이었으나,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 대해서는 90일간 시행이 유예된 상태다. 이에 따라 한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교역국은 오는 7월 초까지 대응 준비 기간이 주어진 셈이다. 이런 통상 환경 변화는 한국 수출 기업의 대미 가격 경쟁력 저하와 생산 기지 이전 리스크 등 복합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BPA는 부산항을 이용하는 선사, 터미널 운영사 등과 함께 현장 대응반을 구성해 ▲미주 물동량 및 항로 변화 모니터링 ▲미주행 선박의 하역 효율성 제고를 위한 선석 운영 최적화 방안 ▲신항 배후 단지 내 임시 장치장 운영 등 화물 처리 유연성 확대 ▲BPA가 운영 중인 미국 및 동남아 물류 센터를 통한 수출입 기업 보관·이송 지원 강화 등 대응 방안 협의·검토 등의 지원책을 중심으로 선제적 대응에 나선다: 부산항은 우리나라 연간 대미 수출입 물동량 87%인 약 200만 TEU를 처리하고 있으며 세계 2위 환적항으로서 중국, 일본, 동남아 등 국가의 미주 수출입 화물이 부산항에서 환적돼 미국으로 운송되며 이 환적 화물은 연간 205만 TEU에 달한다. 특히 아시아-미국 항로에서 '라스트 포트'로 기능하고 있어, 미국 관세 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는 핵심 항만이다. 송상근 BPA 사장은 "글로벌 통상 환경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도 부산항의 수출입 기능과 국제 환적 기능이 흔들리지 않도록 정부 및 업계와 긴밀히 협력해 선제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응책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앞으로 BPA는 정부, 지자체, 선사, 운영사 등과의 연계를 바탕으로 대응 정책 건의 및 공동 협의체 운영을 지속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2025-04-14 08:30:09 이도식 기자
기사사진
김해 월봉서원, 유교인문주간 맞아 전통 향사 및 강연 개최

김해 월봉서원은 김해시 주최로 '2025년 월봉 k-강학회, 유교인문주간'(4월 14~18일)을 설정해 전통 향사와 함께 각종 강연이 개최된다고 밝혔다. 월봉서원은 전통적으로 행해진 서원 강학회를 계승하되, 그 본질과 주제 등을 현대적으로 재조명해 시민들과 공유한다는 측면에서 '월봉 k-강학회'라 명명했다. 서원, 서당, 정사 등 전통적 교육 공간의 현대적 역사적 의미를 부여하고, 그곳에서 행해지던 강학의 모습을 현대적으로 재조명하는 데 중점을 두고 강좌를 기획했다. 첫 강좌는 전통적 강학의 특징과 그 공간에서 공유되고 사유됐던 유교의 핵심 사상에 대해 정석태 한국고전번역원 교수의 기조 강연으로 시작된다. '유교 사상과 서원 인문학 분야' 최고 권위자인 정석태 교수는 첫 강연에 이어 둘째 날에도 '김해의 서원과 전통 강학'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이어간다. 유교 핵심 사상을 김해 지역성과 연관해 현대적 의미를 짚어보는 내용으로 김해 시민들과 만난다. 사흘째는 공자의 심법, 월봉서원의 강학 공간인 일신재와 화산정사 등 다양한 전통 강학 공간에 대해 부산대 이준규 교수의 강연으로 이어진다. 유교 마음 공부를 불교 참선과 대비해 유불 차이와 교섭 양상도 함께 설명한다. 특히 기호학파 율곡학을 계승한 간재학파의 영남 거점이기도 한 화산정사의 강학적 공간적 특징에 대해 설명하며 '간재학파와 화산정사, 그리고 월헌 이보림'에 대한 심도 있는 강연이 이어진다. 나흘째 날은 월봉서원의 향사일이다. 서원 향사일인 만큼 제사 공간과 강학 공간이 함께 공존 융합돼 있는 한국 서원의 대표적 특징과 그 고유성에 대해 짚어본다. 전통 서원의 교육적 강학적 특징을 전통적 제례와 추모라는 예의 형식과 결부해서는 월봉서원 원장인 성백효 교수가 직접 나선다. 서원 강학에 대한 전통 방식 재현이라 더 의미가 깊다. 한문번역학과 유교경전학 최고 권위자인 성백효 교수는 전통적 강학과 강회를 다양한 방식으로 선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월봉서원 관계자는 "소장하고 있는 간재 전우의 초상화와 서찰, 석농 오진영, 혁재 서진영, 월헌 이보림 등 간재학파 선비들의 다양한 작품도 함께 전시할 예정"이라며 "전시되는 예술품들을 통해 전통 시대에도 문학과 사상, 그리고 예술로 영호남 문인들은 끊임없이 교류하고 소통한 점을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2025-04-14 08:29:46 손병호 기자
기사사진
U.S. excludes tariffs on semiconductors, smartphones, and laptops… Samsung and Apple breathe a sigh of relief.

The U.S. administration under Donald Trump has temporarily exempted high tariffs on key electronic products, such as smartphones, laptops, and semiconductor equipment, providing a brief relief to global electronics companies, including Samsung Electronics and Apple. This decision is interpreted as an effort to consider the impact on domestic big tech companies, as well as to reduce the burden on consumers and related industries. According to reports from Bloomberg and other media outlets on the 13th, the U.S. Customs and Border Protection (CBP) announced on the 11th (local time) through a notice on "Reciprocal Tariff Exemptions for Specific Goods" that approximately 20 items, including smartphones, laptops, hard disk drives, computer processors, memory chips, an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will be exempt from reciprocal tariffs. This measure will be applied retroactively from 12:01 AM on the 5th of the month, and companies can receive refunds for tariffs already paid. This move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entire U.S. electronics industry. In particular, Samsung Electronics and Apple are considered major beneficiaries in the smartphone market. Apple sources 90% of its iPhone production from China, while Samsung Electronics produces about half of its smartphones in its Vietnam plant. Earlier, the Trump administration had announced tariffs of up to 145% on Chinese products and 46% on Vietnamese products, meaning this new decision will relieve both companies from significant tariff burdens. The semiconductor industry has also been somewhat relieved by this decision. The Trump administration included not only finished products like memory chips, DRAM modules, and solid-state drives (SSDs) but also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in the list of tariff-exempt items. This is a positive development for Samsung Electronics and SK hynix, which do not have memory production facilities in the U.S. In particula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is crucial for future investments in U.S.-based semiconductor plants, and this move is seen as a response to the U.S. policy of attracting semiconductor plants to the country. However, there is also a perspective that this announcement is only a temporary easing measure. President Trump has continuously stated his position that he can impose item-specific tariffs on critical technology products such as semiconductors under Section 232 of the Trade Expansion Act. Section 232 of the Trade Expansion Act allows the U.S. president to impose tariffs or other measures to restrict imports of specific items deemed to threaten national security. The U.S. has already applied Section 232 to impose a 25% tariff on steel and automobiles. Meanwhile, the Trump administration is expected to clarify its stance on semiconductor tariffs on the 14th (local time). Initially, a 25% tariff had been proposed, but given the burden on domestic big tech companies, there are discussions about the possibility of adjusting the tariff rate.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4-13 16:08:19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경남교육청, 도민과 함께 달리며 ‘청렴 의지’ 조성 캠페인 실시

경남도교육청은 13일 마산로봇랜드에서 열린 제21회 창원야철마라톤대회에 박종훈 교육감을 비롯한 교직원 130여 명이 참가해 공정하고 깨끗한 청렴 문화 조성을 위한 캠페인을 벌였다고 밝혔다. 이날 교직원들은 청렴은 말로만이 아니라 행동으로 실천할 때 비로소 힘을 발휘한다며 직접 마라톤 코스를 달렸다. 또 행사장에 마련된 부스에서 도민을 대상으로 청렴 문화 확산을 위한 다양한 홍보 활동을 전개했다. 경남교육청은 교육 현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부정 청탁 사례를 보여 주고, QR 코드로 부패 신고 방법을 안내했다. 특히, 참여자가 문제를 선택하고 해당 정답에 다트를 던져 맞추는 '반부패 청렴 퀴즈 부스'를 운영해 청렴을 향한 관심과 흥미를 이끌어 냈다. 이 밖에도 자원 순환 중요성과 생태전환교육 활동을 알리는 '환경 보호 실천 캠페인'을 진행했고 다문화 감수성을 높이기 위한 '다 함께 즐기는 세계 문화 체험 부스'를 운영했다. 한편, 경남 산불로 삶의 터전을 잃은 이재민을 돕기 위해 지난 2월 제13회 국민권익의 날 기념식에서 국무총리 표창으로 받은 포상금 700만원 전액을 경남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기탁해 어려움을 함께 나누고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였다. 도민과 함께 5㎞를 완주한 박종훈 교육감은 "이번 행사를 통해 우리 교육청의 청렴 의지를 알리고 도민과 공유할 수 있어 매우 뜻깊었다"며 "앞으로도 공정하고 투명한 공직 사회를 만들기 위해 더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025-04-13 14:07:22 이도식 기자
기사사진
부산시, 공공방역기동반 역량 강화 및 안전 교육 진행

부산시는 지난 11일 오후 2시 시청 대강당에서 감염병과 신종 감염병 예방을 위해 '2025년 공공방역기동반 역량 강화 및 안전 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교육에는 16개 구·군 보건소 담당자와 방역기동반, 205개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역 소독 담당자, 주민자율방역단, 한국방역협회 부산지회 등 방역 소독 관계자 400여 명이 참석했다. 질병관리청과 한국방역협회 부산지회에서 각각 '모기 생태 및 환경친화적 방제'와 '방역 소독 약품 및 장비 안전'을 주제로 교육했다. 질병관리청 매개체분석과 이희일 과장은 '모기 생태 및 환경친화적 방제'를 주제로 매개체 전파 질환 및 종류, 방역과 방제, 종적 매개체 관리, 국내 방제 현황, 관리 방법 등을 설명했다. 한국방역협회 부산지회 임재의 홍보차장은 '방역 소독 약품 및 장비 안전'을 주제로 안전 및 사고 사례, 약품 종류와 특성, 안전한 취급법, 장비 종류와 방법, 보호복 착용 등 안전한 활동을 중심으로 설명했다. 한편, 기후 변화로 위생 해충 서식지가 다양해지고 출현 시기가 빨라짐에 따라, 시는 발생 빈번 지역을 방역 취약지로 선정해 집중 관리하며 매개체 종류와 발생 장소에 따라 효과적인 방제를 하고 있다. 특히, 기온 상승으로 매개체 활동이 증가하는 여름철 대비를 위해 방역기동반과 주민자율방역단이 함께하는 '민관 합동 동시방역의 날'을 운영하고, 서식지 제거 등 물리적 방제와 화학적 방제를 적절히 혼용해 효과적인 환경친화적 방제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소라 부산시 시민건강국장은 "이번 교육으로 방역기동반과 주민자율방역단이 매개체 감염병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감염병 예방을 위한 안전한 방역 소독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시민들께서는 불가피한 야외 외출 시 밝은색 긴 옷 착용, 기피제 사용 등 모기 물림 방지 수칙을 잘 지켜주시고 위생 해충에 노출되지 않도록 조심하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2025-04-13 13:55:59 이도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