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K-Shipbuilding Anticipates 'Supercycle Boom'… Accelerates Global Market Expansion

The domestic shipbuilding industry has officially entered a "supercycle," characterized by high demand and strong performance. Notably, the "Big Three" shipbuilders in South Korea—HD Korea Shipbuilding & Offshore Engineering, Hanwha Ocean, and Samsung Heavy Industries—are raising expectations of achieving a collective profit for the first time in 13 years. This trend of profitability improvement is anticipated to continue this year.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on January 7, South Korea's "Big Three" shipbuilders are expected to post a collective profit for the first time in 13 years, based on annual performance for last year. This marks their first joint profitability since 2011. Financial data provider FnGuide projects the combined revenue of HD Korea Shipbuilding & Offshore Engineering, Hanwha Ocean, and Samsung Heavy Industries for 2023 to reach 45.64 trillion KRW. This represents a 24.3% increas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s 36.71 trillion KRW. Operating profits also saw significant growth during the same period. HD Korea Shipbuilding & Offshore Engineering is projected to record an operating profit of 1.42 trillion KRW for 2023, more than quadrupling its 2022 figure of 282.3 billion KRW. Hanwha Ocean and Samsung Heavy Industries are also estimated to achieve annual operating profits of 156.7 billion KRW and 474.7 billion KRW, respectively. An industry insider stated, "Revenue and operating profit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as shipbuilders have begun delivering selectively secured orders." The upward trend in the performance of South Korea's shipbuilding industry is expected to continue this year. As the delivery of low-cost ships ordered before 2020 is completed, the industry is entering a period where the benefits of selective order-taking are being maximized. HD Korea Shipbuilding & Offshore Engineering secured $20.56 billion (approximately 30.24 trillion KRW) in orders last year, achieving 152.2% of its annual target of $13.5 billion. Samsung Heavy Industries recorded $7.3 billion (approximately 10.74 trillion KRW) in orders, reaching 75% of its $9.7 billion target. Hanwha Ocean also achieved an order intake of $8.86 billion (approximately 13 trillion KRW). HJ Shipbuilding & Construction achieved its highest-ever annual order volume last year. The company secured orders worth 1.75 trillion KRW in its shipbuilding division, marking a 150% increase compared to 2022 and a 300% increase compared to 2023. In addition, expectations for additional orders from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India are growing this year. U.S. President-elect Donald Trump has mentioned the possibility of a shipbuilding alliance with ally South Korea. Amid these developments, Hanwha Ocean and HD Hyundai Heavy Industries are making their presence felt in the U.S. naval vessel 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 (MRO) market, where orders are expected to increase to around 10 ships this year. Hanwha Ocean became the first in South Korea to secure an MRO (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 contract for U.S. Navy ships last year. The company won consecutive contracts for the MRO of two vessels, the USS Willi Shear and the USS Yukon, boosting expectations for additional orders in the future. HD Hyundai Heavy Industries, a rival in the specialized ship sector, is also gearing up to enter the MRO (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 business in earnest starting this year. According to market research firm Mordor Intelligence, the global naval vessel MRO market is valued at approximately 85 trillion KRW, with the U.S. alone accounting for nearly 22 trillion KRW. Both Hanwha Ocean and HD Hyundai Heavy Industries completed preparations to enter the U.S. MRO market by signing a Master Ship Repair Agreement (MSRA) with the U.S. Navy Supply Systems Command in July last year. Additionally, key officials from the Indian government visited the facilities of South Korea's Big Three shipbuilders to discuss potential shipbuilding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Recently, the Indian government announced its ambition to become one of the world's top five shipbuilding nations by 2047. As part of this goal, India plans to establish shipbuilding and maintenance clusters locally. The country aims to expand its fleet from the current 1,500 vessels to approximately 2,500 in the coming years. An industry insider stated, "The shipbuilding industry's large supercycle should have transitioned from an upturn to a downturn by now, but the prolonged Russia-Ukraine conflict has solidified energy trade flows, allowing shipbuilders to maintain an advantage in negotiations." They added, "In particular, South Korea's major shipbuilders have already secured 3 to 4 years' worth of orders, and with the strong dollar trend expected to persist, their performance is likely to continue its upward trajectory."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1-07 16:02:23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청송군, 아이스클라이밍 월드컵 & 아시아 선수권대회 개최

청송군은 오는 11일~12일까지 양일간 청송 아이스클라이밍 월드컵경기장에서 『2025 UIAA 청송 아이스클라이밍 월드컵& 아시아선수권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대회는 국제산악연맹(UIAA), 아시아산악연맹, 대한산악연맹이 공동 주최하고 청송군과 경상북도산악연맹이 주관하며, 문화체육관광부, 경상북도, 대한체육회, 국민체육진흥공단이 후원한다. 대회에는 전 세계 18개국에서 모인 128명의 아이스클라이밍 선수들이 참가해 최고의 기량을 선보이며 치열한 경쟁을 펼칠 예정이다. 이번 대회는 단순한 스포츠 경기를 넘어 청송의 전통문화와 즐길거리가 어우러진 축제로 꾸며진다. 오백 년 전통의 청송 백자와 꽃돌 전시를 비롯해, 체험 프로그램인 '행운의 13.5초를 맞춰라' 등 모든 세대가 함께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마련됐다. 이를 통해 참가자와 방문객들은 청송의 전통문화와 스포츠를 동시에 만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번 대회에서는 월드컵대회 5개년(2026~2030) 연장을 위한 협약식도 진행된다. 이를 통해 청송군은 국제 아이스클라이밍의 성지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며, 나아가 아이스클라이밍을 동계올림픽 정식종목으로 채택하기 위한 초석을 다질 계획이다. 윤경희 청송군수는 "청송군은 2011년 아시아 최초로 아이스클라이밍 월드컵을 개최한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 대회에서도 안전하고 몰입감 넘치는 경기환경을 조성하고자 최선을 다했다."며, "다양한 체험프로그램과 흥미로운 볼거리를 준비했으니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

2025-01-07 15:46:04 손기섭 기자
기사사진
청송군, 청송사랑화폐 발행 내수경제 진작

청송군은 1월 6일부터 지역경제 활성화의 중심 역할을 해온 '청송사랑화폐'가 시중에 유통·판매된다고 밝혔다. 청송군은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소비 촉진을 통해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2025년도 청송사랑화폐를 총 700억 원 규모로 발행할 계획이다. 이 중 600억 원은 10% 상시 할인판매로 유통되며, 이는 2024년도 발행액과 유사한 수준이다. 또한 농민수당, 농산물 택배비 지원사업 등 다양한 정책수당을 청송사랑화폐로 별도 발행해 지역 내수경제를 더욱 진작시킬 것으로 보인다. 청송군에 따르면, "청송사랑화폐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주민들에게 10% 할인 혜택을 제공(할인판매는 600억 원 소진 시까지)하여 군민들로부터 높은 호응을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소상공인의 경제활동을 지원하고 침체된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긍정적인 효과도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윤경희 청송군수는 "지난해 군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청송사랑화폐 구매와 사용 덕분에 내수 경기 진작에 큰 도움이 됐다."며, "올해도 위축된 지역경제를 회복하고 불안정한 소비심리가 안정될 수 있도록 청송사랑화폐를 많이 이용해 주시기 바란다."라고 말했다. 한편, 청송군은 지속적인 부정유통 단속을 통해 청송사랑화폐의 투명한 유통질서를 정착시키고, 정책수당과 일반 할인판매를 별도로 구별하여 발행함으로써 내수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계획이다.

2025-01-07 15:45:43 손기섭 기자
기사사진
포항시, 글로벌 빅테크 시애틀에서 포항의 미래 혁신전략 모색

포항시는 스타트업 창업생태계 우수사례를 벤치마킹해 포항형 디지털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지난 5일부터 6일(현지시간)까지 세계적인 빅테크 허브 클러스터 미국 시애틀을 방문했다. CES 2025 참관을 위해 미국을 찾은 포항시 방문단은 제2의 실리콘밸리로 불리고 있는 시애틀을 방문해 빅테크 기업인 '보잉사', '마이크로소프트 본사', '아마존 본사'의 주요시설을 둘러보고 포항시 접목 방안을 모색했다. 방문단은 6일 미국 3대 항공우주 산업체이자 항공기 제조공정의 글로벌 디지털전환(DX) 최고 우수사례인 보잉사 항공기 팩토리를 방문해 포항시가 역점 추진 중인 스마트팩토리 사업과 제조공정 디지털전환 사업의 미래를 현장에서 살폈다. 또한 4차산업혁명 시대에서 제조공정의 스마트화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임을 인식하고 생산성 향상, 품질개선, 비용절감 등 성공적인 포항형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한 전략을 공유했다. 보잉사 관계자는 보잉사가 구축한 빅데이터, 제조플랫폼, 디지털트윈 시뮬레이션 시스템 등을 소개하며, "스마트 팩토리는 단순한 기술 도입이 아닌 기업의 생존경쟁력 강화를 위한 필수 프로젝트로 AI 기술을 기반에 둔 스마트 팩토리 혁신이 제조업의 새로운 미래를 열어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같은 날 방문단은 세계적 디지털·IT 기업인 마이크로소프트(MS) 본사를 방문해 임헌민 MS 수석 기술책임자와 시애틀 한인 IT 비영리단체 '창발'의 회장을 맡고 있는 안혜선 MS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를 만나 AI 산업을 주도하기 위한 MS만의 혁신전략을 소개받았다. MS는 텍스트 생성 중심의 AI 기술을 넘어 멀티모달, 고급 추론, 영상 생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를 활용한 비약적인 진전을 이루며 산업과 일상을 선도해 나가고 있으며, 공격적인 AI R&D 투자로 글로벌 시장의 선두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임헌민 MS 수석 기술책임자는 "포항은 AI와 빅데이터가 중요한 디지털 산업 메카로 성장할 잠재력이 충분한 도시다"라며, "MS와 같이 빠르게 변화하는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기업 비즈니스 성장 모멘텀을 만들어 지원한다면 지역기업의 더 큰 도약을 이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방문단은 AI 기술 기반의 클라우드 플랫폼이자 혁신으로 대표되는 글로벌 빅테크 기업 '아마존 본사'와 본사 인근에 위치한 최신 IT기술을 활용한 세계 최초 첨단자동화 식료품점인 '아마존 고'를 방문했다. '아마존 고'에서는 머신러닝, 컴퓨터 비전 등이 연동된 앱을 활용해 미래 시장을 주도할 AI 기반 무인 구매 매커니즘을 견학하고, 포항시가 미래 신성장 산업으로 육성 중인 AI 산업의 다양한 확장 가능성에 대해 모색했다. 김정표 디지털융합산업과장은 "시애틀은 글로벌 유니콘 기업의 태동이 끊임없이 이뤄지는 빅테크 허브 클러스터 도시"라며, "기업 유치와 스타트업 육성이라는 시애틀의 성장전략을 포항에 접목해 포항시가 중점 육성 중인 디지털 산업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는 창업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방문단은 7일부터 10일까지 4일간 개최되는 세계 최대 IT·디지털 박람회 'CES 2025'에 참가하기 위해 6일 저녁 미국 라스베이거스로 이동했다.

2025-01-07 15:45:22 최지웅 기자
기사사진
포항시, 포항철길숲~형산강 권역으로 이어지는 그린네트워크 구축

포항시는 올해 포항 그린웨이를 기반으로 사람과 자연 그리고 문화가 어우러진 녹색·생태도시로의 변화를 위해 철길숲과 주변 도시숲을 잇는 '포스코대로 보행자 중심거리'를 조성하고 녹색 네트워크를 본격 구축한다. 시는 포항철길숲에서 형산강 권역으로 이어지는 2km 포스코대로 구간을 보행자 중심거리로 만들어 그린네트워크(Green Network) 구축에 한 걸음 더 다가선다는 방침이다. 시는 지난 2016년부터 포항그린웨이 프로젝트로 도심의 센트럴 그린웨이로 우현동에서 연일읍 유강리까지 13개 법정 동 리를 길게 관통하는 9.3km의 포항철길숲을 조성해 도심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포항철길숲에서 형산강 권역, 도심 등산권역, 학산천 권역 등으로 숲이 어우러진 자연 생태계와 시민들의 생활환경을 연결하는 그린네트워크 구축을 다방면적으로 구상해 확대 시행해 나가고 있다. 이동고가~형산로타리 구간의 포스코대로는 남구와 북구를 연결하는 주요 간선도로로 주요 상업, 주거지역을 연결해 포항의 경제와 도시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많은 보행자들이 이용하고 있으나 인도 위 무단 주정차 등으로 보행자들의 안전이 위협받는 실정이었다. 또한 편의시설 및 문화공간 등이 부족해 보행자 안전과 편의를 확보할 보행자 중심의 그린네트워크 조성이 절실하다고 판단해 시는 형산로타리에서 오광장 방향 250m 구간을 우선적으로 보행자 중심거리 시범 구간으로 조성하고 있다. 이곳은 ▲인도 위 무단 주 정차 사전 차단 ▲노후 보도블럭 정비 ▲보행 지장 시설물 제거 ▲하절기 그늘 제공용 녹음수 식재 ▲사계절용 화목류 식재 등을 실시해 특색 있는 포스코대로 보행자 중심거리로 탈바꿈하고 있다. 앞으로 형산로타리에서 포항철길숲 구간까지 총 2km 구간을 순차적으로 정비해 보행환경을 개선하고, ▲프랑스 샹젤리제 거리 ▲서울 서초구 반포대로 등의 디자인 전정 우수사례를 접목해 플라타너스 가로수의 체계적 전정과 관리로 도시미관을 개선해 포스코대로만의 특색 있는 보행자 중심거리로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사업으로 자동차 중심의 도시공간을 보행자 중심 공간으로 탈바꿈시켜 시민들에게 더욱 안전하고 쾌적한 생활 여건을 제공해 삶의 질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가로숲길 조성으로 도심 내 유동 인구 확보에 따른 주변 상권 활성화 등 도시재생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경식 그린웨이추진과장은 "도심과 자연을 연결하고 도시를 숲과 정원으로 채워 지속 가능한 녹색 문화를 시민과 공유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며 "포항철길숲 주변 가로숲길 등과 상호연결해 그린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시민들이 안전하고 쾌적하게 숲을 거닐며 즐길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2025-01-07 15:44:40 최지웅 기자
기사사진
부산테크노파크, 美 새너제이대와 혁신 창업 생태계 육성

부산테크노파크(이하 부산TP)는 지난 6일 미국 실리콘밸리 새너제이대학교에서 새너제이대 실리콘밸리 운영 및 기술 관리 센터(SVCOTM)와 한-미 간 교류를 통한 혁신 창업 생태계 육성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업무 협약은 부산 지역혁신클러스터를 포함한 한-미 양국 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됐다. '새너제이대 SVCOTM'는 실리콘밸리의 혁신적 환경에서 운영과 기술 관리 분야 지식과 경험을 제공하고,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연구를 지원하는 기관이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양국 스타트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협력 ▲첨단 산업 분야에서의 공동 연구 개발 발굴 및 전문가 네트워크 구축 ▲공동 연구 수행 및 연구 성과 확산을 위한 인적 네트워킹과 인프라 등 정보 교류를 통한 상호 협력 촉진 ▲상호 성장과 공동 발전을 위한 산학 협력을 수행할 예정이다. 부산TP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지역 내 혁신 거점 산업단지, 혁신도시, 경제자유구역, 규제자유특구 등을 전략 산업 및 이전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연계·육성시켜 지역 혁신을 선도하는 '지역혁신클러스터육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혁신융복합단지를 별도 지정해 해당 지구 내 해양 ICT 융합 산업 R&D 및 비R&D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아울러 부산TP는 지역혁신융복합단지에 소재한 창업 플랫폼의 육성을 위해 미국 새너제이대뿐 아니라 스타트업-대기업-투자자-정부 기관을 연계하는 글로벌 혁신 플랫폼 'Plug & Play', 한-미 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는 액셀러레이팅 기업 'USAKO'와도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이를 통해 실리콘밸리 혁신 기업의 우수 사례를 바탕으로 사업 모델을 구축하고, 부산 지역혁신클러스터를 포함한 부 산지역 혁신 기업과 실리콘밸리 혁신기업이 상호 발전하기 위해 협력할 예정이다. 새너제이대학 SVCOTM 박태호 센터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실리콘밸리의 혁신적 환경에서 축적된 운영과 기술 관리 분야의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게 돼 기쁘다"며 "부산TP와의 협력을 통해 양국 스타트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부산TP 김형균 원장은 "이번 협약은 부산과 실리콘밸리 간 창업 및 혁신 생태계를 연결하는 중요한 첫걸음이다"며 "양국 간 인적 및 기술적 교류가 활발하게 이뤄지길 기대하며 양국 생태계 확장을 위해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2025-01-07 15:44:06 이도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