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신년사] 홍문표 aT 사장 "기후변화·인구감소 대응해 혁신 과감히"

홍문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이 "어려운 시국에도 국민 먹을거리를 생산하고 책임지는 생명산업인 농어업을 지키기 위해, 우리 공사가 과감한 변화와 혁신을 주도해 나가자"고 말했다. 3일 aT에 따르면 홍 사장은 지난 2일 오후 전남 나주 본사에서 열린 시무식에서 "우리 농어업은 기후변화, 인구감소 등의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며 이 같은 공사 역할론을 강조했다. 그는 "올해도 공사는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해 안정적인 농산물 생산과 국민 먹을거리 공급을 위한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라는 신년 계획을 밝혔다. 또 "농어촌·농어민이 잘 사는 강한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 임직원 모두 한마음 한뜻으로 변화와 혁신을 주도해 나가자"고 했다. aT는 특히 기후변화에 대응한 농산물 생산과 가공 분야의 공사 역할 발굴에 나설 방침이다. 생산 및 가공 분야에서 공사 역할을 모색해 생산-가공-유통-수출이 연계되는 사업구조를 만들 계획이다. aT가 최근 기후변화 대응 수급 TF에서 ▲생산지원 ▲비축역량 제고 ▲식량무기화 대응 ▲통계농업 등의 추진과제를 마련했다. 국회 공청회를 통해 전문가 의견수렴도 거친 바 있다. 향후 정부와 지속적인 협의를 진행해 사업화가 되도록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세종=김연세기자 kys@metroseoul.co.kr

2025-01-03 08:04:23 김연세 기자
기사사진
메트로경제 1월 3일 한줄뉴스

<금융·부동산> ▲정부가 새해를 맞아 청년정책금융상품의 혜택을 강화한다. ▲불확실성이 커진 을사년(乙巳年) 새해.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는 경영 키워드로 '혁신'과 '효율'을 꺼내 들었다. <자본시장> ▲지난 한 해는 그 어느때 보다 미국증시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도가 높았다. 뉴욕 증시 '3대 지수'인 ▲S&P(스탠더드앤드푸어스)500 지수 ▲다우존스 ▲나스닥의 전고점 경신 기록이 쏟아져 나왔고, 국내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지금이라도 미국 주식에 투자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조성됐다. 금융투자업계는 2025년 을사년에도 투자자들의 '미국 투자 랠리'가 이어질지 주목하고 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개인 투자자들이 국내 증시에서 이탈, 비트코인과 미국 주식 투자로 넘어가는 '머니무브'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국내 증시는 22대 국회의원 총선거와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탄핵 정국 등 정치적 이슈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2024년 코스피 주가 상승률 상위권에 정치테마주가 포진됐다. 작년 마지막 거래일에도 정치테마주들의 급등하면서 시장의 관심이 몰린 모습이다. <산업> ▲삼성, LG 등 국내 전자업계와 이통사들이 2025년 신년사를 통해 혁신을 통한 재도약을 강조했다.2일 재계에 따르면 이재용 회장 대신 한종희 대표이사 부회장과 전영현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장이 공동명의로 신년사를 발표했다. 한종희·전영현 부회장은 "지금은 인공지능(AI) 기술의 변곡점을 맞이해 기존 성공 방식을 초월한 과감한 혁신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고도화된 인텔리전스를 통해 올해는 확실한 디바이스 AI 선도 기업으로 자리매김하자"고 말했다. ▲재계가 올해는 전례 없는 위기를 마주할 것으로 우려하면서 본원적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지난 1일 전체 구성원에게 이메일로 보낸 신년사에서 "지금 우리에게는 어려움을 알면서도 행동으로 옮기는 용기, '지난이행'(知難而行)의 마음가짐이 필요하다"며 "새로운 시도와 혁신은 언제나 어렵다. 저부터 솔선수범하며 용기를 내어 달려보겠다. 함께 나아가자"고 밝혔다. ▲철강업계 누적 조강생산량이 수요 위축으로 인해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건설업 경기침체와 전반적인 수요 둔화의 여파로 철강사들이 생산량 조절에 나선 것이다. ▲정부가 중소기업 경쟁력을 제고하고 벤처·스타트업 생태계 확장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유망 중소기업 100곳을 중견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올해 벤처·스타트업을 위해 2조5000억원의 정책금융도 마련한다. <유통 라이프> ▲게임사가 확률형 아이템의 구성 비율이나 당첨률 등의 정보를 표시하지 않거나 거짓으로 공시할 경우, 최대 손해액의 3배까지 배상 책임을 지도록 하는 게임산업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2025년에도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연구개발 및 기술수출 성과가 K제약·바이오의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백화점들이 리뉴얼 전략의 일환으로 명품관 강화에 집중하는 가운데 새해부터 명품 브랜드들이 가격 인상을 단행하면서 명품 소비 위축에 따른 백화점 매출감소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2025-01-03 06:00:00 구남영 기자
기사사진
[김상회의 사계] 속성기도(1)

살다 보면 예상치 못한 우환이나 시급한 일이 생길 때가 있다. 이럴 때는 몹시 황망하고 당황하여 오히려 잘못된 결정으로 일을 더 어렵게 만들기도 한다. 급할수록 돌아가라 한 것은 이런 설상가상의 실수를 막을 수 있음이다. 몸이 아프면 먼저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하고 그에 맞는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것처럼 우리 인간의 일상사도 문제가 생겼을 때는 사안에 따라 해결방도를 찾는 것이 순서다. 그러한 와중에 뭔가 마음에 답답하고 불안한 생각이 든다면 기도만한 방편이 없다. 기도가 만병통치약이냐고 비웃는 사람들도 본다. 기도는 우선 숨을 고르게 한다. 급하게 흘러가는 마음을 진정시키며 그런한 가운데 생각지도 못했던 지혜를 주기도 하고 마음을 어떻게 가질 것인가 하는 의지를 확립해주기도 한다. 지성이면 감천이라는 속담이 아니더라도 스스로 뜻하는 바대로 기운을 부르는 힘이 있다. 마음이 세상을 만든다는 믿음이 화엄경의 종지처럼 염력(念力)을 모으는 것이 기도다. 물론 참된 기도의 기본원칙은 스스로 바라는 바가 청정해야 한다. 여기서 청정이란 기도의 결과가 자신에게도 좋지만 타인에게도 해가 가지 않음을 뜻한다. 그럼 누군가는 묻는다. 시험 발원처럼 내가 합격하기를 바라는 기도는 누군가는 떨어지게 되니 해가 되지 않겠냐고? 이것은 바른 비교가 아니다. 내가 노력한 만큼의 성과가 차질없이 나타나 주기를 바라는 것이다. 실력이 부족함에도 나보다 좋은 성적을 가진 사람이 떨어지고 대신 내가 되게 해 달라는 염치없는 욕심과는 다른 것이다. 진인사대천명의 마음으로 하는 것이 기도다. 이럴 때 속성기도가 있다. 하심 하며 스스로 마음을 정하게 하고 백팔 배, 천 배, 더 나아가 삼천 배를 해보시라. 어찌해야 할지 마음에 답이 온다.

2025-01-03 04:00:07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오늘의 운세] 2025년 01월 03일 금요일

[오늘의 운세] 2025년 01월 03일 금요일 [쥐띠] 36년 자식이 능력을 인정받으니 날아갈 듯하다. 48년 변화의 날이니 외모에 신경 쓰자. 60년 극심한 경쟁은 패배로 온다. 72년 연인에게 마음의 문을 여는 것은 좋으나 지출이 과다하다. 84년 지금의 행복이 가장 소중하다. [소띠] 37년 천 리 길도 한 걸음부터 아직 늦지 않았으니 우선 할 일을 찾아보자. 49년 정신적 지주는 공부에서. 61년 습관이 주는 편안함을 이겨야 한다. 73년 욕심 많은 돼지 목에 진주를 걸어본들. 85년 삶이 몹시 지루하다. [호랑이띠] 38년 남의 말에 현혹되지 말고 주관을 갖고 행동. 50년 창의력이 번뜩 빛난다. 62년 희망은 내가 만들어 가는 것. 74년 남의 말은 사흘을 가지 않으니 구설에 신경 쓰지 마라. 86년 상부상조하는 것이 서로에게 이익을 준다. [토끼띠] 39년 소통과 협력에서 중요한 것은 상대의 마음. 51년 자신이 가는 길이 최선이라 믿어야 한다. 63년 머리는 아프고 몸은 천근만근. 75년 내 발등을 찍는 것은 남이 아닌 내 도끼. 87년 지나친 관심은 상대를 지치게 한다. [용띠] 40년 비단옷을 입고 한밤중에 돌아다녀 본들 누가 보겠는가. 52년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 64년 어진 친구를 만나 지혜를 얻는다. 76년 가까이 있는 사람을 소홀히 마라. 88년 종로에서 뺨맞고 한강에 가서 눈 흘길 듯. [뱀띠] 41년 조급함이 화를 부르니 느긋하게 행동. 53년 후회는 없으나 발전도 없다. 65년 선택이 잘못됐음을 인정하라. 77년 곧 서리가 내리니 얼음이 얼 것을 준비해야만. 89년 손재수가 있으니 좋은 곳에 기부하는 것도 좋다. [말띠] 42년 병도 약도 다 내 하기 나름이니 신중하게 처신. 54년 다툼이 생기니 말조심하자. 66년 노력한 만큼 성과가 나타난다. 78년 아랫사람에게 한 칭찬은 큰 성과로 돌아온다. 90년 까마귀 노는 곳에 백로는 가지 않는다 했지만. [양띠] 43년 가야 할 길은 많이 남았는데 힘이 든다. 55년 지혜는 부족해도 근면성실로 극복. 67년 인색하다가 만시지탄(晩時之歎)이 되지 않도록. 79년 어깨를 으쓱할 일이 생긴다. 91년 슬픔에 가슴이 답답하니 한잔 술로 달래보는데. [원숭이띠] 44년 바람이 불어도 다 흔들리지는 않는다. 56년 길이 멀어도 시작하자. 68년 투자는 시기가 아닌 듯. 80년 이별하여 마음이 혼란하니 독서로 길을 찾아보자. 92년 급한 마음에 김칫국부터 마시지 말고 앞뒤를 잘 살펴야 실수가 없다. [닭띠] 45년 몸도 마음도 피곤한 날이니 충분한 휴식이 필요. 57년 상상만으로도 행복한 하루. 69년 참지 말고 하고 싶은 말은 해야 한다. 81년 비온 뒤에 땅이 굳으니 신념을 갖고 실천하도록. 93년 내 욕심을 부리면 오히려 발목을 잡힌다. [개띠] 46년 투자하라는 달콤한 속삭임이 있으니 굳은 의지가 필요. 58년 가는 사람도 진정 잡아야 할 때가 있다. 70년 지나친 절약으로 주변의 원망을 듣는다. 82년 좋아도 금방 달려들지 마라. 94년 조언도 사람을 봐가며 해야 한다. [돼지띠] 47년 다양한 분야의 일을 하다 보니 도사가 되었다. 59년 두드리면 열릴 문이다. 71년 늦은 재혼은 백두여신(白頭如新). 83년 내 영역을 넓히는 것은 실력이 밑바탕. 95년 인생사 그물을 치지 않고 고기가 잡히기를 기대하지 말아야.

2025-01-03 04:00:05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계룡건설, 처인휴게소 오픈..."세종~포천 고속도로의 새로운 랜드마크"

계룡그룹 KR산업이 운영하는 처인휴게소가 지난 1일 세종~포천 고속도로에 문을 열었다. 2일 계룡건설에 따르면 처인휴게소는 상공형 양방향 통합 휴게소로써 고속도로를 가로지르는 두 개의 반지가 겹쳐진 형태의 독특한 구조가 눈길을 끈다. 처인휴게소는 세종포천고속도로 개통에 맞춰 공사를 진행했다. 연면적 7946㎡의 대형 휴게시설로 포천방향 275대, 세종방향 318대의 차량 수용이 가능하다.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체험을 비롯해 자율주행 청소 로봇, 조리 셰프 로봇 등도 선보인다. 가상현실(VR)스포츠 엔터테인먼트와 디지털 라이프 콘텐츠 체험을 방문객들에게 제공한다. 고속도로 휴게소로는 유일하게 테마형 스타벅스를 유치했다. 성수동 디저트 3대장인 '구욱희씨', '5to7', '붕어유랑단'과 함께 베이커리 맛집 윤셰프와 콜라보한 엔제리너스 베이커리 카페도 입점했다. 콘타이, 가가솥밥 브랜드를 휴게소에 최초로 유치해 차별화된 서비스도 제공한다. 지역 특화 콘텐츠도 강화했다. 용인시 애버랜드와 연계하여 푸바오 캐릭터 굿즈와 포토존을 마련했다. 세종 행정도시 노선을 고려한 비즈니스 라운지와 워케이션 공간도 이용할 수 있다. KR산업 관계자는 "처인휴게소는 단순한 휴게소의 역할을 넘어 종합생활문화 공간으로 고속도로 이용자들에게 보다 특별한 순간을 선사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

2025-01-02 18:14:52 전지원 기자
기사사진
[신년사] 홍범식 LGU+ 사장 "AX전환 핵심은 고객 감동"

홍범식 LG유플러스 사장이 인공지능 전환(AX) 컴퍼니로 성장하기 위한 핵심 가치로 '고객 감동'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고객가치 창출, 인공지능(AI) 전환 생태계 구축, 데이터와 지표, 품질 및 정보보안의 기본기 등에 집중하겠다는 목표다. 홍범식 사장은 2일 임직원에게 전한 신년사에서 "고객 감동을 통해 밝은 세상을 만드는 것을 최우선 가치로 추구해 나가자"라며 "LG유플러스가 'Growth Leading AX Company(AI 전환을 통해 고객과 함께 성장하는 회사)'로 나아감에 담긴 핵심적 가치는 '고객 감동을 통해 밝은 세상을 만드는 것'"이라고 밝혔다. 홍 사장은 "사람이 중심이 되어 고객을 감동시킬 수 있는 가치를 찾아 잘 전달하면, 만족한 고객이 스스로 추천자(Promoter)가 되고, 이것이 우리의 가치를 올리고 다시 고객에게 가치를 더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다"라며 "이러한 선순환의 고리가 단단해지면 결국 고객과 파트너, 구성원 모두가 행복해지는 보다 밝은 세상이 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고객 감동을 실현할 수 있는 네 가지 요소로 ▲고객 초집중을 통한 고객가치 창출 ▲AX(AI 전환) 생태계 구축을 통한 구조적 경쟁력 확보 ▲데이터와 지표에 기반한 선택과 집중 ▲품질, 정보보안, 안전의 기본기 확립 등을 꼽았다. 홍 사장은 "온전히 고객에게 몰입하고 집중하면 고객의 니즈(Needs)와 시장의 변화를 선제적으로 알 수 있다"며 "세분화된 고객을 깊이 이해하고 세그먼트(Segment)별 고객 경험 여정을 디테일하게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고객의 페인 포인트(Pain Point)를 개선하는 데서 나아가 고객이 '와우(Wow)' 할만한 포인트를 발굴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선 고객 관점으로 눈높이를 높이고 남들이 하는 수준을 뛰어넘는 차별적 경쟁력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 사장은 "AI 기술이 곳곳에 확산되면서 고객 경험의 전 여정에서 초개인화된 가치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해졌다"며 "우리가 경쟁력을 빠르게 확보하는 길은 AI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 고객 경험의 가치를 잘 이해하고 있는 플랫폼 기업들과 같이 다양한 파트너들과 생태계를 구성해 경쟁사들이 넘보지 못하는 독점적인 진입장벽을 세우는 구조로 만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그는 "모든 사업 및 업무의 목적성을 명확히 노력 대비 고객 감동의 효과가 큰 것을 선정해 자원 투입을 집중해야 한다"며 "이에 따른 실효성을 데이터와 지표로 확인하고 우리가 발전하는 모습을 직접 경험하고 느껴봤으면 한다"고 제안했다. 홍 사장은 "품질, 보안, 안전은 유플러스가 세계 최고라는 인정을 받고 싶다"며 "사고를 막겠다는 인식을 넘어 인지 품질, 체감 품질의 기준을 고객 관점으로 상향하며 기본기를 반드시 강화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홍 사장은 앞서 언급한 네 가지 요소가 단단한 체계를 갖추기 위해서는 '반복적으로 성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성공 경험을 축적하다보면 한 번의 성공이 아닌 '확실한 성공 모델'이 만들어지게 된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끝으로 홍 사장은 "작은 성공을 하나씩 만들고자 하는 전사의 열망과 의지를 모으면 우리 모두 밝은 미래의 주역이 될 것"이라고 당부했다. /구남영기자 koogija_tea@metroseoul.co.kr

2025-01-02 18:00:18 구남영 기자
기사사진
[신년사] 김영섭 KT 대표 "MS협업 통해 B2B 사업 성과낼 것"

김영섭 KT 대표가 025년 을사년을 맞아 임직원에게 마이크로소프트(MS)와의 협업을 바탕으로 한 기업간거래(B2B) 사업 성과를 올해 추진할 중점 목표로 제시했다. 김 대표는 2일 판교사옥에서 진행한 시무식에서 "지난해 MS와의 파트너십으로 B2B 인공지능 전환 사업 성장을 마련했고 통신기술과 미디어, 네트워크 분야에서 다양한 AI 혁신을 추진했다"며 "올해는 인공지능+ICT 컴퍼니(AICT)로 도약하는 실질적 원년"이라고 밝혔다. 그는 2025년은 'AICT 컴퍼니'로 도약하는 실질적 원년으로 KT에게 매우 중요한 한 해라면서 세 가지 목표를 제시했다. 김 대표는 "올해 중점 목표 중 첫 번째는 세계 최고의 기술을 가진 MS와 협업을 바탕으로 B2B 사업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내는 것이다"며 "두 번째는 미디어 사업 분야의 성장이다. KT 잠재력 기반으로 혁신해 통신, IT에 이은 핵심 포트폴리오로 만들어 나가는 원년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두 번째는 번 조직개편에서 독립시킨 미디어 사업 분야의 성장도 주요 과제로 꼽았다. 그는 "미디어 사업을 KT 잠재력 기반으로 혁신해 통신, IT에 이은 핵심 포트폴리오로 만들어 나가는 원년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경영 관리 시스템 등을 혁신해 AI와 IT 기술을 접목해 현대화된 시스템 변화를 만들어 혁신 속도를 높이자고 당부했다. 김 대표는 "KT가 통신과 IT를 가장 잘 하는 기업으로 거듭나 산업 영역에서 혁신을 선도하고 국가에 기여하는, 기존과 다른 수준의 성과를 내는 한 해로 만들 것"이라며 "KT 구성원들이 역량을 높이고 협력의 고수가 돼야 한다. 사명감을 갖고 함께 화합해 달려가자"고 주문했다. /구남영기자 koogija_tea@metroseoul.co.kr

2025-01-02 17:56:45 구남영 기자
기사사진
[신년사] 김성환 한국투자증권 대표 "차별화 전략으로 압도적 'No.1' 목표"

"한국투자증권은 소모적인 경쟁에서 벗어나 압도적이며, 완전히 차별화된 No.1을 목표로 할 것 입니다." 김성환 한국투자증권 대표이사는 2일 2025년 신년사를 통해 '창의적 변화'와 '혁신'을 통한 차별화 전략을 제시했다. 김 대표는 사업모델, 리스크 관리와 내부통제, 고객관리, 영업지원의 네 가지 차별화 전략을 통해 회사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김 대표는 사업모델 차별화를 위해 인공지능(AI)과 가상자산 등 신사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미국과 영국 등 선진 금융시장으로의 진출을 가속화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글로벌화는 압도적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차별화 방법"이라며 "글로벌IB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해외 시장에서 혁신적인 상품과 딜을 발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기존 금융상품의 틀에서 벗어난 새로운 사업모델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리스크 관리와 내부통제의 차별화는 글로벌 금융시장 확대와 상품 고도화에 따른 복잡한 리스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제시됐다. 김 대표는 "리스크의 범위가 넓어지고 형태가 복잡해지는 상황에서 360도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를 구축해야 한다"며 "모든 각도에서 리스크를 분석하고 잠재된 리스크까지 커버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어떠한 금융시장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운영을 유지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고객관리 차별화에 대해서는 데이터와 테크를 활용한 초개인화(Hyper-personalization)를 핵심으로 제안했다. 김 대표는 "파편화된 고객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맞춤형 금융 콘텐츠와 디지털 기반의 컨설팅 서비스를 강화해야 한다"며 "대중(Mass)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초개인화된 금융 콘텐츠 제공이나 디지털기반 개인 맞춤형 컨설팅 서비스 또한 놓쳐서는 안되는 고객관리의 영역임을 명심한다"고 강조했다. 영업지원의 차별화는 조직 내 모든 지원 부서가 영업조직의 성과 창출을 위한 역할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김 대표는 "지원 조직은 영업조직의 성과를 뒷받침하는 데 집중해야 하며, 그 역할과 책임에 따른 보상 체계를 명확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영업조직이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모든 자원을 투입해 지원하겠다는 계획이다. 김 대표는 임직원들에게 "기존 방식으로는 더 높은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며, 창의적 사고와 도전정신을 바탕으로 압도적 1위를 향해 나아갈 것을 독려했다. 또한 "Make Your Mark(너의 발자취를 남겨라)"라는 슬로건 아래 모든 임직원이 각자의 위치에서 새로운 도전을 이어가야 한다고 강조하며, 한국투자증권이 아시아를 넘어 글로벌 정상에 서는 비전을 공유했다. /허정윤기자 zelkova@metroseoul.co.kr

2025-01-02 17:27:08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U.S. Solar Cell Import Dependence to Increase This Year… Positive News for Korean Solar Industry

U.S. solar module imports are expected to decline throughout 2025 following the expiration of tariff exemptions for Chinese-origin modules assembled in Southeast Asia. However, the increase in solar cell imports signals a positive trend for domestic companies involved in building the solar energy value chain within the United States.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on January 2, U.S. solar module imports peaked at 5.88 GW (gigawatts) in May 2024 but began to decline in June 2024. This downturn coincided with the expiration of duty-free measures on June 6 for panels assembled in four Southeast Asian countries—Thailand, Vietnam, Cambodia, and Malaysia. These countries have been widely regarded as alternative routes for Chinese manufacturers to assemble and export solar modules to the U.S. market. In contrast, U.S. solar cell import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rising from a low of 0.71 GW in April 2024 to 1.41 GW in October 2024—an approximately 100% growth. Cumulative solar cell imports for the U.S. reached 10.86 GW by October, a staggering 281% year-over-year increase. This growth is largely attributed to the tariff rate quota system implemented under the U.S.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s (ITC) safeguard measures. In January 2018, during the Trump administration, the U.S. introduced a safeguard policy that exempted tariffs on annual imports of up to 2.5 GW of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s. In February 2022, President Biden raised the quota to 5 GW, and in August 2023, expanded it further to 12.5 GW. Imports exceeding this limit remain subject to a 14.25% tariff. This policy adjustment has been identified as a key factor driving the substantial increase in U.S. solar cell imports. In this context, the U.S. is projected to face a mid- to long-term shortage in solar cell production capacity compared to its module production capacity. According to the Solar Energy Industries Association (SEIA), the U.S. has an estimated solar module production capacity of approximately 40 GW, but its cell production capacity is below 10 GW. As a result, the U.S. is expected to rely heavily on imported cells to meet its module production needs. This reliance is seen as a positive signal for domestic companies establishing solar value chains in the U.S., such as Hanwha Solutions' Qcells division (Hanwha Qcells). Hanwha Qcells is anticipated to benefit significantly as it invests over 3 trillion KRW to create a "solar hub" in the U.S. The hub will include the entire solar value chain, from ingot and wafer production to cells and modules, with the project slated for completion in early 2025. Hanwha Qcells is expanding its production capabilities, targeting a total capacity of 8.4 GW by combining its upgraded Dalton plant and the newly constructed Cartersville plant. This comprehensive approach positions Hanwha Qcells as a key player in addressing the U.S. solar industry's cell production gap. OCI Holdings is also targeting long-term performance growth through the expansion of its solar value chain in the U.S. The company is reportedly working to establish a joint venture in the U.S., aiming to enhance its vertical integration. This includes leveraging OCIM's polysilicon production, MSE in Texas, and OCI Energy to build a non-China-centric solar value chain. A potential variable, however, is the shift in energy policies under the second Trump administration. While there is speculation that a return to some fossil fuels may occur, the dominant view is that the administration will intensify its stance on containing China. An industry insider noted, "If the Trump administration's measures to counter China become more aggressive, it could create significant opportunities for domestic solar companies."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1-02 17:18:24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이주호 “올해 고교학점제·AI 교과서 도입 추진”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RISE) 체계 가동, 고교학점제 시행,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 도입 추진 등 2025학년도 교육계의 본격적인 변화를 예고했다. 이주호 부총리는 2일 교육부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시무식에서 신년사를 통해 "2025학년도 고등학교에서는 고교학점제가 전면 도입되고,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디지털 교육 대전환으로 개개인 맞춤 교육을 실현할 예정"이라며 "또 전국 17개 지자체에서 라이즈 체계가 본격적으로 가동되면서 지자체와 대학이 적극적으로 주도하는 지역의 변화도 시작된다"라고 전했다. 이어 "지역 발전의 성장동력이 될 대학이 가진 강점과 지역 시정을 누구보다 아는 지자체의 전문성이 결합된 다양한 혁신 사례를 현장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교육부는 올해도 교육 현장의 변화를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주요 정책을 꼼꼼히 챙기겠다"라고 강조했다. 이 부총리는 지난해 교육 현장을 돌이켜 보며 "2024년 역시 2023년과 마찬가지로 숨 가쁘게 달려온 것 같다"고 회고했다. 교육부는 지난해 교육개혁 과제를 3대 분야, 9대 과제로 선정해 당면 과제들을 체계적으로 재편했다 그는 "우리나라가 직면한 저출생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국가가 양육자의 돌봄 부담을 덜어드려야 한다는 일념으로, 국가책임 교육·돌봄 체계를 마련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라며 "지난 30년간 실현에 어려움을 겪어왔던 유보통합을 위해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지원 부처를 교육부로 일원화하는 큰 변화가 있었고 전국 모든 초등학교에서 늘봄학교 운영이 시작됐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선생님들이 다른 걱정 없이 교실에서 아이들에게 역량과 열정을 쏟을 수 있도록 전국 32개 교육활동보호센터를 통해 교원의 보호에도 전념하고 있다"라며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해 교육의 힘으로 지역의 성장동력을 창출하기 위해 광역 지자체 7개와 기초 지자체 83개가 참여하는 총 56건의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을 지정했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이 부총리는 "우리나라는 교육의 힘으로 성장한 국가"라며 "올해부터 시작된 본격적인 변화는 우리가 나아가는데 필요한 중요한 밑거름이자 자산이니 우리나라가 새로운 도약을 할 수 있도록 교육부가 적극적으로 앞장서겠다"라고 덧붙였다. / 이현진 메트로신문 기자

2025-01-02 17:12:34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함양군, 상반기 120억원 규모 함양사랑상품권 발행

함양군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2025년 상반기에 120억원 규모의 함양사랑상품권을 발행한다고 2일 일밝혔다. 이번 발행은 국비 지원 없이 전액 군비로 진행될 예정으로, 지역 주민과 상인들에게 실질적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함양사랑상품권은 지역 내 가맹점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지역 화폐로, 지역 자금의 외부 유출을 막고 소상공인의 매출 증대에 기여하고 있다. 2025년에는 종이 상품권과 모바일 상품권 두 가지 형태로 발행되며 개인별 월 최대 구매 한도는 70만원이다. 종이 상품권은 30만원, 모바일 상품권은 40만원까지 구매할 수 있다. 특히 구매 금액의 10%를 할인 판매하는 혜택이 제공돼 예를 들어 70만원 상품권을 구매할 경우 63만원에 구입할 수 있어 실질적인 가계 부담 완화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함양군은 지역에서 생산된 제품 구매를 독려하는 캠페인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으로 군청 각 부서와 유관 기관, 사회 단체에 공문을 발송해 지역 내 생산품 사용을 확대하도록 협조를 요청할 예정이다. 군은 이를 통해 지역 내 소비 촉진과 자금의 선순환을 더 강화할 방침이다. 진병영 함양군수는 "함양사랑상품권은 어려운 지역 경제를 살리기 위해 꼭 필요한 정책이다. 국비 지원 없이 군비만으로 발행하게 됐지만, 군민과 소상공인을 위해 아낌없이 투자할 계획"이라며 "함양군 내 전 기관 단체의 지역 내 생산 제품 구매 캠페인 참여와 더불어 군민 여러분께서도 적극적으로 상품권을 사용해 지역 경제를 함께 살려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함양군은 상품권 사용 활성화를 위해 가맹점 확대 및 모바일 상품권 이용 편의성 개선 등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2025-01-02 16:56:25 이도식 기자
기사사진
[신년사] 김미섭·허선호 미래에셋증권 부회장 "AI 등 혁신·도전 지속…글로벌 WM·연금 역량 높일 것"

김미섭·허선호 미래에셋증권 대표이사 부회장은 2일 신년사를 통해 지난해 미래에셋증권의 주요 경영 방향으로 AI 기반 혁신, 글로벌 시장 확대, 연금 비즈니스 강화를 제시했다. 미래에셋증권은 미국 AI 법인 웰스 스팟(Wealth Spot)과 협력해 비용과 변동성을 줄인 AI 운용 상품을 개발하고,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해 투자 의사결정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특히 AI를 활용해 투자 과정에서 인간적 편향(human bias)을 줄이고 리스크 관리 역량을 강화하며, 개인화 마케팅과 고객 맞춤형 투자 콘텐츠 제공을 통해 경쟁력을 더욱 끌어올릴 방침이다. 두 부회장은 "글로벌 WM과 연금을 중심으로 회사의 수익 창출 역량을 한층 강화해야 한다"며 "PWM 부문과 IB·트레이딩(Trading) 부문의 협업을 통해 패밀리오피스 등 맞춤형 종합 컨설팅 서비스를 확대하고, 개인연금랩과 로보어드바이저 등을 활용해 안정적인 수익률을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연금 사업 부문에서도 미래에셋증권은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퇴직연금 실물이전을 활용해 개인연금랩과 로보어드바이저 상품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률을 제공하고, 초거액자산가(UHNW) 고객층을 겨냥한 PWM 부문과의 협업을 강화해 차별화된 자산 관리 서비스를 확대할 방침이다. 패밀리오피스를 통한 종합 컨설팅 서비스도 강화해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고 연금 사업의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전략을 밝혔다. 또한 두 부회장은 글로벌 시장 확대도 주요 전략으로 꼽았다. 미래에셋증권은 인도에서 '쉐어칸(Sharekhan)'의 310만 고객과 133개 지점을 기반으로 글로벌 금융 노하우를 적극 활용해 현지화 전략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미국·영국 등 선진국에서는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강화하고,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같은 신흥국에서는 신규 성장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코로나19 이후 축소된 글로벌 IB 사업을 재정비하고 미국, 인도뿐만 아니라 세계 최고 수준의 제조업 경쟁력을 갖춘 중국 기업 및 시장에도 관심을 기울이며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할 예정이다. 아울러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비한 리스크 관리와 윤리 경영 강화도 주요 이슈로 삼았다.두 부회장은 "모든 의사결정 과정에서 고객을 최우선으로 두고, 윤리의식과 책임감을 바탕으로 업무 프로세스를 재정비하겠다"며 "금리와 환율 변동성 등 금융시장 불확실성에 대비해 글로벌 경제 모니터링과 리스크 대응 체계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금리와 환율 변동성 등 대내외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고객 신뢰를 최우선으로 하는 윤리 경영을 실천하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글로벌 경제 모니터링 체계를 강화하고 잠재적 리스크에 민첩하게 대응함으로써 자본시장에서 신뢰받는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김미섭·허선호 부회장은 신년사를 마무리하며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20여 년간 장기적인 전략과 꾸준한 혁신으로 핵심 비즈니스를 성장시켜왔다"며, "2024년에도 변화와 혁신의 정신을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성과를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했다. /허정윤기자 zelkova@metroseoul.co.kr

2025-01-02 16:54:25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세종대 산업대학원, 빌딩온부동산중개와 MOU 체결

세종대학교(총장 엄종화) 산업대학원은 지난 달 26일 교내 광개토관에서 빌딩온부동산중개(주)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세종대 산업대학원과 빌딩온부동산중개 간의 상호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연구와 인재 양성을 위한 연구 개발을 활성화하기 위해 체결됐다. 빌딩온부동산중개는 빌딩 거래를 원하는 매도인과 매수인을 연결하는 중개 전문 회사로, 지역별 빌딩 매물 정보를 제공하며, 거래 후 세무, 금융, 임대 등 빌딩 거래와 관련된 다양한 업무를 지원하고 있다. 이번 협약식에는 최진호 세종대 산업대학원 원장, 임재만 부동산자산관리학과 주임교수, 신보연 겸임교수, 김송현 빌딩온부동산중개 부대표, 이정수 상무 등 양측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공동연구 추진 ▲연구시설 공동 활용 ▲교육지원(장학금 혜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할 예정이다. 김송현 빌딩온부동산중개 부대표는 "산학협력의 좋은 기회를 주셔서 감사하며, 앞으로 부동산 정책과 실무 분야에서 동반 성장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진호 원장은 "기업의 비즈니스가 이론과 전략으로 체계화되면 더욱 효과적일 것"이라며 "이번 산학협력을 통해 실용적인 학문이 펼쳐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5-01-02 16:48:48 이현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