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지역 R&D 혁신 방안 마련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부산시와 부산산업과학혁신원은 지난 26일 오후 2시 부산시티호텔 컨벤션홀에서 '부산 연구 개발(R&D) 혁신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선도형 R&D로의 전환 실현을 위해 '정부 R&D 제도혁신 방안'을 수립하고, 지난 8월 22일 이를 반영한 '2024년 국가 R&D 예산 배분 조정 결과'를 발표했다. 2024년 국가 주요 R&D사업 예산은 전년 대비 13.9% 감소한 21조 원 규모로 축소됐지만 글로벌 협력, 첨단 바이오, 인공지능, 양자, 우주 등 7대 핵심 분야는 투자를 대폭 확대하는 등 국가 정책 방향에 큰 변화가 있을 예정이다. 이번 토론회는 이런 정부의 동향에 대응한 국비 유치 추진 전략을 재정립하고 지역 R&D 혁신 방안 마련을 위해 마련됐다. 토론회에는 이경덕 부산시 미래산업국장, 부산시 주요 부서, 시의원, 대학, 기업, 지역 내외 연구 기관 관계자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또 지역 내 관계자뿐만 아니라 중앙 관점의 지역 R&D 혁신 방안을 수렴하기 위해 정부 출연 기관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의 전문가들도 참석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체계 개선 ▲12대 국가전략기술 중 부산시 유망 분야 집중 육성 ▲지역 전략산업의 글로벌 초격차 R&D 추진 ▲부산시 R&D 기획 지원제도 개편 ▲부산시 자체 R&D 디지털 플랫폼 마련 등 주요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체계 개선을 위해서는 정부 7개 핵심기술 분야 사업과 부서 간 공동 기획·협력 사업에 대한 투자 검토 시 가산점 부여 방안과 상대평가 방식의 성과평가 도입 등이 제시됐다. 12대 국가전략기술 가운데 부산시 유망 분야를 선정하고 기초 원천부터 산업 생태계 육성 확보 전략 방안, 지역의 핵심 거점과 연계한 지역 전략산업의 초격차 R&D 대상 등을 논의했다. 특히 내년 국가 R&D사업 예산이 증가될 분야(양자, 이차전지, 첨단바이오, 반도체 등)의 공모 사업에 대응할 방안에 대해서도 집중적으로 토론했다. 또 국비 유치를 위해 부산시, 연구자, 부산산업과학혁신원 간 면밀한 협력 체계를 마련하고, R&D 기획 강화를 위한 방안 등이 논의됐다. 이경덕 부산시 미래산업국장은 "부산의 지속 가능한 성장 동력인 과학 기술을 통해 지역 전략산업을 육성시킬 수 있도록 이번 토론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정책 방향을 설정하고, 정부 R&D 제도 개편 대응을 위한 혁신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라며 "이를 통해 국가 R&D 변화에 선도적으로 대응해 신규 R&D 분야에서 국비를 대폭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