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
기사사진
9월 내한하는 익스트림 "세월 견뎌내는 것이 훌륭한 노래"(인터뷰)

'모어 댄 워즈(More Than Words)'로 국내에도 잘 알려진 미국 하드록 밴드 익스트림이 오는 9월 25일과 27일 두 차례에 걸쳐 한국에서 내한공연을 갖는다. 2008년 재결합 이후 한국을 처음 찾았던 익스트림은 지난 2014년 명반 '포르노그래피티(Pornograffitti)'를 재조명하는 투어의 일환으로 한국 팬과 다시 만났다. 이번에 다시 한국을 찾는 익스트림은 서울(9월27일)은 물론 부산(9월25일)에서도 단독 공연을 개최해 많은 팬과 만날 계획이다. 최근 서면 인터뷰에서 익스트림의 보컬 게리 셰론은 "2년 만에 공연을 위해 한국을 다시 찾게 돼 너무 신이 나 있다"며 "오랜 친구와 같은 팬들, 그리고 새로운 팬들까지 모두 만날 그 날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고 소감을 전했다. 익스트림은 헤비메탈과 하드록이 위세를 떨쳤던 1985년 미국 보스턴에서 결성됐다. 1989년 셀프 타이틀 데뷔 앨범을 발표한 뒤 1990년 앨범 '포르노그래피티'로 1000만장 이상의 앨범 판매고를 기록하며 세계 정상급 밴드가 됐다. 수록곡 '모어 댄 워즈'는 빌보드 싱글 차트 1위에 오르며 국내에도 익스트림의 이름을 알렸다. 이후에도 익스트림은 1992년 세 번째 앨범 'III 사이드 투 에브리 스토리(III Sides to Every Story)'와 1995년 네 번째 앨범 '웨이팅 포 터 펀치라인(Waiting For The Punchline)'을 발표하며 활동을 이어갔다. 그러나 메탈과 하드록의 위세가 약해진 사이 그런지를 비롯한 얼터너티브 록이 대세를 이루면서 익스트림 또한 음악적인 위기를 겪게 됐다. 게리 셰론의 탈퇴로 해체 수순을 밟았다. 그러나 2004년 공연 투어로 의기투합한데 이어 2008년 재결성해 새 앨범 '사우다데스 드 록(Saudades de Rock)'을 발표하고 활동을 재개했다. 우여곡절 속에서도 익스트림이 계속 이어질 수 있었던 비결은 바로 '음악'이다. 게리 셰론은 "변함없이 연주를 해올 수 있는 비결은 언제나 음악이었다. 공연을 할 때 절대로 열정을 놓치지 않았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모든 무대가 마치 우리의 첫 번째 무대인 것처럼 관객들을 완전히 사로잡기를 원한다. 결코 지난날의 영광에 기대지 않으면서 관객들로부터 존경을 얻길 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재결합 이후 달라진 것에 대해서는 '성숙함'을 꼽았다. 개리 셰론은 "익스트림은 가족과 같은 존재"라며 "활동을 중단했던 시기에도 우리는 서로 친밀한 관계를 유지해왔다. 이제는 모두 더욱 성숙한 인간으로 성장했다. 그런 삶의 경험을 창작 과정에 반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21세기에 접어들면서 대중음악 또한 과거보다 더욱 세분화되고 다양해지고 있다. 반면에 80~90년대 유행한 하드록에 대한 인기는 조금 시들해진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익스트림은 "훌륭한 노래는 그 세월을 견뎌낼 것"이라고 자신들의 음악에 자신감을 나타냈다. 게리 셰론은 "차트를 지배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 헌신적인 팬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며 "하드록은 전 세계 곳곳에 무엇보다 훌륭한 팬들을 보유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지금의 10~20대에게 익스트림은 생소한 밴드다. 게리 셰론은 이들을 위한 추천곡으로 '겟 더 훵크 아웃(Get the Funk Out)' '데카당스 댄스(Decadence Dance)' '레스트 인 피스(Rest in Peace)' 등을 꼽았다. 밴드의 대표곡인 '모어 댄 워즈'와 '홀 하티드(Hole Hearted)'도 함께 언급했다. 이번 공연에서는 이전과는 또 다른 새로운 셋리스트를 준비 중이다. 팬들이 예상하지 못한 곡, 그리고 최근 연주하지 않은 곡들도 함께 선보일 계획이다. 새 앨범 발표 계획에 대해서는 "아직 새로운 곡을 만들고 녹음을 해나가고 있는 중"이라며 "지금까지의 음반 중 최고가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조금 더 시간을 들여 작업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세계에서 가장 열정적인 팬은 한국과 남미의 팬입니다. 이번에 한층 더 열정이 넘치는 한국 팬들의 모습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모두 록 음악에 빠져들 준비를 하고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2016-08-04 10:41:57 장병호 기자
기사사진
[스타인터뷰] '덕혜옹주' 손예진 "가련한 삶, 공감 담아 연기했죠"

자신의 의지대로 살 수 없는 삶처럼 비극적인 게 어디 있을까. 고종의 외동딸인 덕혜옹주의 삶이 그렇다.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녀'라는 거창한 타이틀을 갖고 있지만 덕혜옹주는 시대의 강요에 의해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는 삶을 살아야 했다. 역사에도 제대로 기록되지 못한 비운의 인물이다. '덕혜옹주'는 손예진(34)에게 남다른 영화다. 개봉을 하루 앞둔 지난 2일 서울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만난 그는 "이전에도 개봉이 다가오면 '영화가 잘 되면 좋겠다'는 마음은 있었다. 하지만 '덕혜옹주'는 보다 경건해지는 마음이 있다"고 속마음을 털어놨다. 촬영을 마친 뒤 잊었다고 생각한 덕혜옹주의 마음이 개봉을 준비하면서 다시 살아난 것이다. 그만큼 덕혜옹주에 대한 애착이 컸다. "덕혜옹주는 실존 인물이잖아요. 제가 상상으로 만들어낸 인물이라 사명감이 있는 것 같아요. 제가 정말 잘 표현해서 많은 분들이 덕혜옹주의 넋을 기려줬으면 하는 마음이 있었거든요. 한번쯤 덕혜옹주를 기억해주길 바라는 마음이랄까요? 영화가 담고 있는 것도 엄청난 교훈이 아닌 우리 인생과 세월에 대한 이야기죠. 개인적으로 생각을 많이 한 작품이었어요." 손예진은 '덕혜옹주' 속 덕혜를 "대단하지 않기에 애정과 연민이 더 가는 인물"이라고 소개했다. "수동적인 인생을 살 수밖에 없었던 한 여인의 이야기"라는 점에 많이 공감했다. 권비영 작가의 원작 소설을 통해 덕혜옹주의 삶을 알고는 있었다. 출연을 결심한 것은 허진호 감독의 작품이라는 점에서였다. '외출' 이후 10년여 만의 재회다. "감독님이 '덕혜옹주'를 영화화한다는 걸 기사로 접했어요. '무언가 안 어울리면서도 신선하다'는 느낌이었죠(웃음). 여배우로서는 한 여자의 일대기를 그린 이야기라 흥미로웠죠. 그런데 허진호 감독님이 '한 번 보자'고 하시더라고요. 운명 같은 작품이었어요. '외출'은 지금도 좋아하는 작품이에요. 그때 정말 어린 나이였는데도 감독님이 저를 많이 존중해주셨거든요. 그런 감독님에 대한 믿음 때문에 더 함께하고 싶은 마음이 있었어요." 영화는 덕혜옹주의 비극적인 삶과 함께 그의 곁을 끝까지 지킨 이들의 이야기를 그린다. 손예진의 말대로 영화 속 덕혜옹주는 이야기를 주도하기보다 주변 사람들에 의해 사건에 휘말리는 수동적인 인물이다. 그러나 영화를 보고 나면 덕혜옹주의 아련하고 애잔한 모습이 가슴에 더욱 깊이 남는다. 관객과 공감하고자 하는 손예진의 연기, 그리고 인물의 감정을 절제된 시선으로 담아낸 허진호 감독의 연출이 빚어낸 결과다. "큰 감정의 덩어리들로 이뤄진 신들이 많았어요. 덕혜의 모든 인생에 깊이 들어갈 수는 없었죠. 큰 사건들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식이다 보니 관객들이 이를 너무 과장되게 받아들이지 않을까 걱정했어요. 그런데 감독님의 연출 방식 때문에 그렇지 않게 담긴 것 같아요. 배우 입장에서는 클로즈업으로 길게 찍는 게 연기적으로는 더 많은 걸 보여줄 수 있죠. 하지만 감독님은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면서도 슬픔이 보이는 방식으로 연출을 하세요. 그리고 편집을 통해 감정이 더 절제되기도 했고요. 물론 현장에서는 감정을 더 끌어올려 연기한 순간이 많았지만요(웃음)." 전작 '비밀은 없다'가 관객과의 공감을 신경 쓰지 않고 마음껏 감정을 표현한 작품이라면 '덕혜옹주'는 정반대로 관객과의 공감에 오롯이 마음을 쏟아부은 작품이다. 영화의 후반부를 장식하는 덕혜옹주의 귀국 장면에서는 실제 덕혜옹주가 느꼈을 감정을 관객에게 그대로 전하고 싶었다. 손예진이 이번 영화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며 연기한 장면 중 하나다. "영화를 준비하면서 다큐멘터리를 찾아봤다. 덕혜옹주가 귀국하는 장면을 보는데 너무 슬프더라고요. 동공에 초점이 없어보였어요. 보통 치매에 걸린 노인도 시선은 어딘가를 향하는데 덕혜옹주는 텅 빈 느낌이었죠. 그걸 표현하고 싶었어요. 슬픔도 아픔도 느껴지지 않는 눈빛을요. 촬영할 때는 현장이 정말 진짜 같은 분위기에 젖었어요. 같이 연기한 라미란 언니도 엄청 울었고요." 개봉을 앞두고 영화가 역사를 왜곡하고 미화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문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손예진은 "인생이나 인간, 그리고 역사는 단 하나의 시점만으로 바라볼 수 없다고 생각한다"며 "우리 영화는 수동적으로 살 수밖에 없었던 한 여자의 비극적인 일생을 담았을 뿐"이라고 말했다. "아마도 영화를 보시면 역사 왜곡으로 보이지 않을 거예요. 덕혜옹주가 하지 않았던 독립운동 이야기를 그린 것도 아니고요. 최소한의 기본적인 진실성은 가져가려고 했으니까요." 그래서 지금 손예진이 바라는 것은 많은 이들이 영화에 공감해주는 것이다. "덕혜옹주는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녀'라는 타이틀이 있지만 위대한 인물은 아니었어요. 다만 비극적인 역사 속에서 할 수 있는 게 없었던 가련한 여인이었죠. 그래서 그녀의 감동과 아픔에 더 공감할 수 있었고요. 개인적으로 영화가 잘 됐으면 해요. '해적: 바다로 간 산적'을 뛰어넘는 제 최고의 흥행작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 있어요." 사진/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2016-08-04 07:00:00 장병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