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전! 스타트UP]페클로딘 최형원 대표 "K-브랜드, 해외 진출 필요한 모든 것 제공하겠다"
중국 진출 韓 기업에 시장 분석, 물류 솔루션, 마케팅등 컨설팅 제공 패션, 영유아용품, 코스메틱, 건기식 등 확장…고객도 꾸준히 늘어 崔 "中 넘어 日, 美, 동남아, 유럽등 세계로…수출 패러다임 바꿀 것" 해외 진출 모든 답 제공 애플리케이션 구상…풀필먼트 시스템 구축 "우리는 한국에서 세계로 나가는 '코리아 투 글로벌(Korea to Global)'만 생각한다. 글로벌 풀필먼트(Fulfillment) 시스템을 완벽하게 구축해 기업들이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 필요한 A에서 Z까지 모든 것을 제공할 것이다." 한국에서 중국 시장에 진출하려는 기업들을 위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던 페클로딘 최형원 대표(사진)가 중국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도전'은 페클로딘이 혼자서 하는게 아니다. K-브랜드, 즉 '메이드 인 코리아(Made in Korea)' 제품을 글로벌 시장에 팔려는 한국의 기업들과 함께 한다. "대부분의 한국 기업들은 해외에 진출할 때 직접 하질 않는다. 보통은 현지 대행사를 쓴다. 이 대행사들이 30~35%의 수수료를 가져가는 구조다. 그런데 대행사들은 모든 것을 다 해준다고 말하지만 모든 것을 다 해줄 수가 없다. 페클로딘이 중국에서 성공 경험을 토대로 그 답을 제시할 것이다." 최근 투자자들을 바쁘게 찾아다니고 있는 와중에 짬을 내 만난 최 대표의 말이다. 중국에서 제품을 판매하는 한국 기업들은 중국 소비자들과 단절돼 있다. 현지 기업들이 그 사이에서 지적재산권(IP) 및 시스템 구축, B2B 판매 및 물류 지원, 마케팅 대행을 모두 쥐고 있기 때문이다. 고객과의 최접점엔 대리상들이 길목을 막고 있다. 페클로딘(Feclodin)은 최 대표가 '중국 진출 성공 파트너'를 지향하며 2019년 9월 창업한 회사다. 중국에는 이보다 앞서서 법인을 만들었다. 시장 및 경쟁사 분석 등 중국진출 컨설팅, 스토어 운영 및 물류 등 커머스 솔루션, 바이럴 서비스 등 마케팅 솔루션, IP 등 행정 솔루션 제공이 페클로딘의 사업 분야다. "중국은 가장 큰 시장이다. 그렇지만 진출하기가 쉽지 않은 지역이 또 중국이다. 중국에서 잘하면 다른 곳도 잘 할 수 있겠다 싶었다." 최 대표가 창업을 하면서 중국을 염두에 둔 이유다. 그는 베이징대 법학과를 다니기도 했다. "3학년까지 다닌 후 4학년때 휴학을 했다. 아직 졸업을 못했다(웃음). 부친의 사업이 힘들어져 경제적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창업도 그래서 하게 됐다." 최 대표는 대학에 다니면서 한국의 스포츠 의류를 중국에 유통하며 용돈을 벌기도 했다. 꽤 재미를 봤다. 하지만 잡무가 너무 많고 시간도 적지 않게 투자해야했다. 그래서 아예 한국에 있는 의류 쇼핑몰을 찾아 중국에 진출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했다. 페클로딘의 첫 출발인 셈이다. "한국의 남여 의류 쇼핑몰 제품을 타오바오를 통해 판매하기 시작했다. 1년 반만에 연 매출이 10억원을 넘었다. 하지만 제품 특성이 없고 지적재산권도 취약했다. 법적 문제도 적지 않았다. 탈세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솔루션 개발도 필요했다. 그러다 사기를 당하기도 했다.(웃음)" 잠시 주춤하던 최 대표는 운이 좋게도 알리바바라는 '천군만마'를 만났다. 페클로딘의 사업도 정상궤도에 오르기 시작했다. "한국 기업이 중국에 진출할 때 가장 귀찮게 느끼는 것이 무엇일까 생각해보니 '바이럴'이었다. 관련 마케팅 서비스에 집중하기 시작했고 지금은 '클라이언트가 도움이 되는 모든 것을 제공해주자'는 목표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페클로딘은 지난해 중소벤처기업부의 팁스(TIPS) 프로그램에 선정되기도 했다. 그 사이 페클로딘의 중국내 커머스, 마케팅, 행정 분야의 협력사는 빠르게 늘었다. 전문 판매 분야도 패션에서 영유아 용품, 코스메틱, 건강기능식품으로 확장하면서 신세계인터내셔널, 아모레퍼시픽, 려, 삼진어묵, 토니모리, 도로시와, 삼진어묵, 메디언스 등 한국내 클라이언트는 점점 늘어나고 있다. 중국 다음 목표는 더 큰 글로벌시장이다. 최 대표는 "우리 기업이 해외에 진출하는 과정에서 자칫 대행사 등 현지 유통사에 종속될 가능성이 높다. 서비스 독점화도 심하다. 비용도 많이 든다. 그래서 페클로딘이 해외시장의 모든 답을 찾아주는 '답안지' 역할을 하고자 한다. 중국에서 사업을 시작한 우리가 의미있는 1등을 하고 모든 것을 깔 것이다. 이를 통해 유통사 중심의 패러다임을 깨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중국에서 쌓은 수많은 경험과 데이터를 통해 일본, 미주, 동남아, 유럽 등으로 영역을 넓혀나가겠다는 포부다. 글로벌 시장에서 통하는 K-브랜드를 발굴하고 브랜드화해 성장을 돕는 수출 엑셀러레이터를 자처하며 'K-브랜드 Cross-border E-Commerce 플랫폼 기업'을 꿈꾸는 페클로딘과 최 대표의 행보가 궁금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