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SH공사 이전 촉구·선유도역 역세권 청년주택 반대·곰달래길 확장 요구
서울시민들이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 이전 촉구', '선유도역 역세권 청년주택 건립 반대', '화곡동 곰달래길 확장'을 서울시에 요구했다. 8일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 3~4월 'SH공사 이전을 위한 중랑구 교통편 개선', '양평동 일대 청년임대주택 계획 백지화', '화곡동 곰달래로 확대'를 요청하는 목소리가 온라인 정책 제안 플랫폼 '민주주의 서울'에서 100명 이상의 공감을 얻었다. SH공사가 이른 시일 내에 중랑구로 올 수 있도록 신내동에 GTX-B 정거장을 만들어달라는 박모 씨의 제안이 최근 '민주주의 서울'에서 시민들로부터 가장 많은 호응을 이끌어 낸 것으로 나타났다. 'SH공사 중랑구 이전 촉구'라는 제목의 게시글은 지난 약 한 달간 500명이 넘는 시민의 지지를 받았다. 박 씨는 "SH공사가 교통이 안 좋다느니, 직원들 가족 문제로 못 온다는 말이 많다"며 "교육, 주거, 교통 문제로 중랑구와 강북은 사람들이 오기 싫어하는 도시가 됐다"고 하소연했다. 이어 "위로는 의정부, 오른쪽으로는 구리와 남양주를 아우르는 위치에 있는 신내동에 GTX-B 노선을 신설해 SH공사 이전 반대에 대응하라"면서 "중랑구가 가난하고 치안에 취약해 공기업에서 이런저런 핑계를 대면서 오기 싫어하는 것이니 이곳에서 수준 높은 교육 및 주거 정책을 펴 불균형을 해소하길 바란다"고 했다. 지난달 15일부터 이날 오전까지 박 씨의 제안에 591명이 공감했고, 87명이 목소리를 보탰다. 윤모 씨는 "다른 공사들은 부산으로도 가고 하는데 해봐야 얼마 되지도 않는 거리에 온갖 말도 안 되는 핑계를 들며 이전을 미루는 SH사장을 비롯해 노조 간부들은 회사를 사직하라"고 일갈했다. 앞서 시는 지난 2018년 지역균형발전 정책을 발표하며 강남권에 있는 시 산하 공공기관인 SH공사, 서울연구원, 서울특별시인재개발원을 강북으로 옮기겠다고 밝힌 바 있다. 신내동 내 GTX-B 정거장 신설을 통한 SH공사 중랑구 이전 촉구 요구에 시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는 국토교통부에서 시행하는 사업으로, 지난 3월 국토부에서 용산~상봉 구간에 대한 기본계획을 확정·고시했다"며 "B노선 기본계획 외 신내동 정거장 신설은 국토부의 종합 검토가 필요한 사항"이라고 설명했다. 또 시는 "강남·북 균형 발전을 위해 추진되는 SH공사 본사 이전 사업은 작년 7월 타당성 검토를 완료했고, 현재 사옥 이전을 반대하는 공사 노동조합과 지속적으로 협의 중"이라며 "신사옥 건립 사업비가 부족해 해당 부지를 고밀복합개발, 사업성 개선 효과와 함께 지역의 랜드마크로 활용할 방안을 추가로 살펴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양평동에 거주하는 손모 씨는 영등포구 양평동5가 111·115번지 일대에서 추진되는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을 중단하고 해당 구역을 서울의 랜드마크로 개발할 것을 건의했다. 손 씨는 "선유도역 인근 특별계획구역에서 주민들 모르게 대규모의 임대주택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며 "청년을 위하지 않은 허울만 좋은 임대주택, 대기업만 임대료 장사로 배불릴 임대주택을 결사반대한다"고 밝혔다. 그는 "청년임대주택 건립 계획을 백지화하고, 선유도 특별계획구역을 한강르네상스 계획에 맞게 양화한강공원-선유도공원-안양천을 연계, 통합 개발해달라"며 "위 요청사항이 수용되지 않을 시 양평동 주민들은 연대해 재산권 및 정주여건 사수에 목숨을 걸 것이다"고 경고했다. 손 씨의 민원 글에 3월 31일부터 현재까지 199명이 공감 버튼을 눌렀다. 시는 "역세권 청년주택의 공공임대주택 임대료는 주변 시세의 30~50%로, 민간임대주택의 임대료는 주변 시세의 85~95%로 저렴하게 공급하고 있다"며 "특별계획구역 내 도로 확충, 주차시설 마련, 공원과 안양천을 연계할 수 있는 서울의 랜드마크로 개발 등의 사항은 향후 관계부서 협의 시 세부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강서구에 사는 김모 씨는 "화곡동 곰달래길은 3차선의 기형적인 도로"라며 "한쪽은 1차선, 반대쪽은 2차선 구조를 가진 도로로, 주변 인구 대비 너무 좁다"고 지적했다. 김 씨는 "화곡2동 주민센터 인근 구역을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지로 지정해 곰달래길을 확장해달라"고 당부했다. 서울시 공공주택과는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후보지 선정과 구역계 변경은 국토부 소관사항"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