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민간 어린이집에 기능 보강비 지원··· 최대 700만원
서울시가 민간 어린이집에 최대 700만원의 기능 보강비를 지원한다.
23일 시에 따르면 올해 6억10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민간·가정·협동 어린이집 중 시설 개보수 등 환경 개선이 필요한 곳에 기능 보강비를 지원한다.
시는 친환경 시설 개선, 위생·안전시설 환경 개선, 보육시설 환경 개선의 3개 분야에서 기능 보강비를 지원한다. 사업비의 70%를 시가 지원하고 30%는 자부담해야 한다.
시는 어린이집 정원이 20명 이하인 경우 최대 500만원, 21~59명이면 최대 600만원, 60명 이상인 경우 최대 700만원을 지원한다.
지난달 기준으로 서울시내에는 민간 어린이집 1215개, 가정 어린이집 1766개, 협동 어린이집 26개 등 총 3007곳의 어린이집이 있다. 규모별로 보면 20명 이하가 1780개로 가장 많았고, 21~59명 738개, 60명 이상 489개 순이었다.
친환경 시설 개선비는 석면 개보수, 놀이터 우레탄 제거, LED·태양광 및 열효율 창호 설치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위생·안전시설 환경 개선비의 경우 비상대피시설 설치, 화장실 리모델링, 급식시설 안전관리, 점자블록 교체 등에 이용 가능하다. 보육시설 환경 개선비는 노후시설 개보수, 보육공간 재배치, 놀이터 설치를 위해 쓸 수 있다.
우선 지원 대상 어린이집은 ▲친환경 시설이나 안전성에 문제가 있는 곳 ▲저소득층 밀집지역, 공단 인근지역 ▲공기질 측정 결과 개선이 필요한 경우 등이다.
단, 최근 3년 이내 아동학대 관련 행정처분을 받은 곳이나 보조금 허위 신청 등으로 시정 명령을 받은 어린이집은 지원할 수 없다.
사업비 지원을 희망하는 어린이집이 자치구에 신청서를 내면 구에서 7월 중 현장 점검을 실시한다. 이후 선정위원회 심사를 거쳐 지원 대상을 선정한다. 어린이집은 10월까지 기능 보강 개선 사업을 진행한다.
해당 기간까지 사업 미시행 및 미완공, 용도 외 목적으로 기능 보강비 집행, 부정한 방법으로 사업비 교부 등이 적발될 경우 지원받은 돈을 전액 반납해야 한다.
시는 지난해 기능 보강비 지원을 통해 민간 어린이집 174곳에 6억1400만원을 들여 시설 개선 사업을 추진했다. 자치구별 지원 현황을 보면 중랑구·강동구가 각각 16곳으로 가장 많았다. 송파구(12곳), 도봉구·노원구(11곳), 양천구(10곳)가 뒤를 이었다.
시는 "민간 어린이집에 기능 보강비를 지원해 친환경 시설, 위생·안전시설 환경 개선 등을 추진, 보육서비스의 수준을 향상시키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