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소비자, 결제 10건 중 절반은 '신용카드'로…"편리성 높아"
우리나라 국민은 결제 시 10건 중 절반가량을 신용카드로 결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연령별로 보면 20~30대는 모바일카드, 40~50대는 신용카드, 60대는 현금 결제를 선호했다. 한국은행은 25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지급수단 및 모바일금융서비스 이용 행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의 만 19세 이상 성인 350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그래도 신용카드가 제일 편해" 조사 결과 우리나라 국민들은 지급수단 중 신용카드를 가장 선호했다. 지급수단별로 ▲편리성 ▲안정성 ▲수용성 ▲비용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평가한 결과 신용카드는 75.5점으로 가장 많았고, 체크카드(72.9점), 현금 (64.4점), 선불충전금(54.5점) 순이었다. 신용카드는 유지 비용이 높아 비용 측면에서 낮은 점수(53.8점)를 받았지만, 편리성(78.5점)이 좋아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일상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지급수단도 신용카드로 조사됐다. 결제 10건 중 4.6건은 신용카드, 1.6건은 체크카드, 1.5건은 현금카드, 1.2건은 모바일 카드 순이었다. ◆생체정보 이용 결제, 60대 이용의향 28% 연령별로 보면 20~30대는 모바일카드, 40~50대는 신용카드, 60대는 현금을 선호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연령별 차이는 디지털 기기에 대한 친숙도와 비대면 거래 선호도, 경제활동 규모 등에 따라 달라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문, 안면 등 생체 정보를 이용해 결제하는 시스템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이용 의향이 낮아졌다. 결제 지급 시 본인인증을 지문, 안면 등으로 하는 것을 알고있는 지에 20대와 30대는 각각 73.9%, 71.9%를 기록했지만, 60대 이상은 28.3%로 나타났다. 결제 시 지문, 안면을 이용해 인증하는 것을 이용할 의사가 있는지 묻는 질문에는 30대는 66.9%가 이용 의사를 밝힌 반면 60대는 28%가 이용의사를 밝혔다. ◆대면 시 '현금' 사용 여전 현금은 이용 추세가 감소하고 있지만, 대면 거래에서는 여전히 보편적 지급수단으로 통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개월 내 대면 거래 시 이용 경험을 물은 설문에서 현금은 88%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는 신용카드(84.1%)가 많았고, 체크카드(46.8%), 모바일카드(38.1%) 선불충전(10.3%) 순이었다. 모바일 금융서비스에 대한 이용도 늘고 있다. 전체 조사 대상자의 81.3%는 최근 1개월 내에 모바일금융서비스 이용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모바일금융서비스는 은행, 증권사, 카드사, IT기업 등이 모바일 기기를 통해 제공하는 금융서비스(상거래 대금 지급, 잔 액·거래내역 조회, 송금, 금융상품 가입 등)을 말한다. 20~40대의 경우 95% 이상, 50대는 90%에 가까운 이용 경험을 나타냈다. 60대 이상도 절반 이상 이용해 본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한은 관계자는 "신용카드, 모바일 카드 등의 이용으로 개인정보와 결제 정보 유출 가능성이 증가해 보이스피싱, 스미싱 등의 지급서비스 관련 보안 사고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금융 보안 체계를 고도화하고 사고 발생 시 소비자 보호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나유리기자 yul115@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