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KT·LGU+, MWC 상하이 2015서 '신기술·상생' 보여준다
[메트로신문 정문경 기자]국내 이동통신 3사가 중국 상하이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의 정보통신기술(ICT) 박람회에서 앞선 기술력과 상생 협력을 보여준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는 15일 중국 상하이에서 개막하는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상하이 2015'에서 기가 LTE, 스마트홈 플랫폼, LTE 기반 음성통화(VoLTE) 등 차세대 통신서비스를 선보인다. 이에 덧붙여 SK텔레콤은 사내 협력 스타트업과 동행해 상생 협력을 위해 아낌없이 지원할 예정이다.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에서 주관하는 MWC 상하이는 상하이에서 2012년 처음 시작돼 올해로 4년째 열리고 있다. 작년에는 95개국, 3만 여명이 넘는 글로벌 관람객이 방문하는 등 아시아 최대 규모의 모바일 전시회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올해 행사에는 '무한 모바일(Mobile Unlimited)'이란 주제로 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전 세계 주요 ICT 기업 약 300개가 참가한다. ◇ SK텔레콤 '스마트 라이프' 선도할 차세대 플랫폼 선뵈… 스타트업 동반 전시·지원으로 상생 협력도 SK텔레콤은 '언팩 더 스마트 라이프'(Unpack the Smart Life)를 주제로 다양한 미래형 플랫폼을 전시한다. 관람객이 직접 스마트홈을 체험할 수 있는 스마트홈 플랫폼, 쇼핑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커머스 플랫폼, 이용자의 환경과 기호에 맞춰진 라이프웨어 등이다. 행사에서 최진성 SK텔레콤 CTO는 GSMA 산하 기술조직인 PSMC, GSMA 컨퍼런스에서 앞선 5G 기술 개발 현황을 공유하고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등 5G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SK텔레콤 경영진의 글로벌 행보 가속화와 선도적인 네트워크 기술력 전파에 힘쓸 예정이다. 또한 SK텔레콤은 벤처창업 지원 프로그램인 '브라보! 리스타트' 출신 기업 3개사가 중국 시장 개척을 지원함으로써 ICT 생태계를 조성하고 상생 협력의 모습을 보여준다는 계획이다. 이번 행사에 참가하는 스타트업은 반디통신기술, 제이디사운드, 마그나랩 등 3곳으로 스마트홈·미디어 분야의 창업기업이다. SK텔레콤은 스타트업들의 전시회 참가 기회를 대폭 늘리고, 이들에게 SK텔레콤내 부스를 제공함은 물론 전시 부스 설치 관련 일체의 비용과 항공권·숙박료·행사 입장권 등 행사 참가 경비를 지원한다. 이들 벤처기업들은 낮은 인지도를 극복하기 위해 SK텔레콤 전시 부스를 찾은 고객들 위한 다양한 체험존과 퍼포먼스를 선보인다. 올인원 휴대용 디제잉 기기인 '몬스터 고 DJ' 생산업체인 제이디사운드는 SK텔레콤 부스안에서 디제잉 공연 등 고객들을 대상으로 체험존을 운영한다. 마그나랩은 모바일 비디오 제작에 최적화된 비디오 제작도구를 들고 중국 시장의 문을 두드린다. 반디통신기술은 스마트홈 RF 점등 시스템을 개발하는 회사로 SK텔레콤과 함께 스마트폰으로 전동 스위치를 제어하는 기술을 시연할 예정이다. ◇ KT, MWC 상하이 행사장서 통신 인프라 구축 KT는 이번 행사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다양한 5G 선행 기술을 GSMA 측에 제공해 행사장을 찾은 관람객들이 KT가 구현할 기가토피아를 직접 체험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KT는 올해 행사장에 유무선을 아우르는 차세대 인터넷 서비스를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기가와이파이와 지능형 와이파이 컨트롤러(WiMS)를 비롯해 기가 LTE, 기가와이어를 구축했다. 기가와이파이 솔루션은 기존 와이파이 대비 3배 이상 빠른 최대 1.3Gbps 속도를 구현하는 기가와이파이 AP와 지능형 와이파이 컨트롤러로 구성돼 사용자들이 밀집된 환경에서도 속도 저하 없는 품질을 제공한다. 기가 LTE는 최고 1.17Gbps의 속도를 제공하는 이종망 융합 기술이고 기가 와이어는 최대 600Mbps의 기가급 속도를 구현할 수 있는 전화선 기반 인터넷 전송 기술이다. ◇ LG유플러스, VoLTE 연동 노하우 알려 LG유플러스는 오는 16일 오후에 열리는 'VoLTE의 성공경험 세션'에서 통신사간 VoLTE 연동 경험을 전 세계 VoLTE 서비스를 준비중인 글로벌 통신사업자 및 장비업체 관계자와 공유한다. 지난 2012년 이동통신 3사가 시작한 VoLTE 서비스는 통신사간 연동이 이뤄지지 않았지만, 2012년 말 고품질 통화서비스 확대 필요성을 공감하고 통신사 간 연동을 위한 기술 표준화를 착수했다. 그리고 9개월 뒤 연동 시연에 성공했다. 한편 LG유플러스는 최고경영자(CEO)가 행사에 기조 연설자로 나서 5세대(5G) 통신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상철 부회장은 행사 이틀째인 16일 오전 '5G로 가는 길'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며 포스트 LTE 시대가 가야 할 방향으로 '미센트릭'(Me-Centric)'을 제안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