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스마트플레이스, 소상공인 디지털확장 지원...경제적 가치 年 46조원
네이버의 '스마트플레이스'가 중소상공인(SME)에게 연간 46조1000억원에 달하는 경제적 가치를 제공했다고 강조했다. 스마트플레이스는 지도 검색에 업체를 등록할 수 있는 무료 서비스를 의미한다. 네이버는 23일 서울대 경영대학 유병준 교수 연구팀이 진행한 '스마트플레이스의 경제적 가치 평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D-플레이스 리포트 2021'을 발간했다. D-플레이스 리포트는 온라인 플랫폼이 오프라인 SME에게 제공하는 효용을 분석한 리포트로, 이번에 처음 발간됐다. 유 교수팀은 무료 플랫폼인 스마트플레이스의 홈페이지 기능과 네이버예약, 네이버주문, 톡톡 , 스마트콜, 오프라인 SME를 위해 설계된 디스플레이광고 '지역소상공인 광고' 등 다양한 비즈니스 도구가 오프라인 SME에게 제공하는 비용절감 효과와 매출증대 효과를 추정했다. 스마트플레이스는 연간 총 46조1000억원에 달하는 경제적 가치 창출에 기여하고 있으며, 이 중 비용절감 효과가 약 12조9000억원, 매출증대 효과가 약 33조2000억원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스마트플레이스에 등록된 오프라인 SME의 가게 정보는 네이버 검색결과, 지도뿐만 아니라 '스마트어라운드' 등 다양한 장소 추천 기술을 통해서 잠재고객에게 노출된다. 이를 통해, 오프라인 SME는 주간 평균 202회의 사용자 클릭을 획득했다. 직간접적으로 절감되는 광고비는 연간 12조6000억원으로 추정된다. 유 교수팀에 따르면, 글로벌 평균 CPC(클릭당 과금액)가 약 712원으로 추정되는 것을 고려할 때, 오프라인 SME는 스마트플레이스를 활용하기만 해도 주간 약 14만원 가치의 사용자 클릭을 확보할 수 있다. 오프라인 SME가 스마트플레이스를 활용하면 별도로 홈페이지를 구축하거나 유사한 비즈니스 도구를 사용할 때 소요되는 비용을 아낄 수 있다. 절감되는 총비용은 연간 2192억원으로 추정된다. '지역소상공인 광고'는 CPM(Cost Per Mile, 100회 노출 당 과금액)이 500원으로 저렴해, SME가 타 플랫폼에서 유사한 디스플레이 광고를 집행할 때보다 일주일에 약 6만3000원을 아낄 수 있다. 지역소상공인 광고를 통해서만 절감되는 연간 총 금액은 약 725억원으로 추산된다. 유 교수팀은 스마트플레이스가 절감하는 연간 광고비(12조6000억원)를 기준으로 글로벌 정보조사 기업이 측정한 '광고비 지출 대비 평균 수익률'을 곱해, 스마트플레이스의 매출증대 효과를 계산했다. 스마트플레이스는 연간 33조2000억원의 매출증대 효과를 일으켰고, 오프라인 SME가 영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평균경비를 제외하더라도 약 3조4000억원에 달하는 순이익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유 교수팀은 "이는 오프라인 SME에게 각각 2천 739만 원의 연간 경제적 가치를 제공하는 수준이며 통계청이 집계한 '2019년 국내 소상공인 연간 평균 매출액'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오프라인 SME 매출의 7.9%, 순 이익의 5.8%를 높이는 효과"라고 밝혔다. 권혁상 네이버 스마트플레이스 리더는 "스마트플레이스는 오프라인 SME에겐 영업 효율화를, 사용자에겐 다양한 장소를 발견하는 즐거움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경제적 가치 창출과 높은 만족도 제공을 위해 노력하겠다"며 "취향기반의 장소추천 기술 등 네이버의 다양한 기술과 시너지를 강화해 오프라인 SME가 상권의 한계를 뛰어넘고 고객과 보다 잘 만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