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이국명
중국 LTE 시장 5배 커진다···삼성·LG·레노버·화웨이 진검승부

중국 LTE 시장을 잡아라. 전 세계 스마트폰 업계에 내려진 특명이다. 성장세가 눈에 띄게 줄어든 대부분의 국가들과는 달리 중국 LTE시장이 올해에만 5배가 넘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는 올해 중국 LTE 스마트폰 시장이 지난해보다 547% 성장해 1억3500만대 규모가 될 것이라고 17일 전망했다. 이는 올해 중국 휴대전화 전체의 36%에 해당한다. 10대 중 3~4대는 최신 LTE 스마트폰으로 대체된다는 이야기다. 중국 LTE 시장이 지난해 12월에야 시작돼 현재 점유율이 6%에 불과한 것을 감안하면 놀라운 성장세다. 이같은 성장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SA는 내년에 중국 LTE 폰 판매량이 2억3100만대로 처음으로 전체 휴대전화의 과반을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4년 뒤인 2018년에는 3억6000만대로 전체 휴대전화 10대 중 8대가 LTE를 지원하는 제품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중국 LTE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세는 고가 스마트폰 수요 포화로 성장 침체 국면에 빠져들고 있는 스마트폰 업계에는 일단 희소식이다. 현재 중국 시장 1위 업체인 삼성전자는 이미 갤럭시S4와 갤럭시S4 미니를 통해 중국 시장 공략을 준비하고 있다. LG전자도 패블릿(휴대전화와 태블릿PC의 합성어)인 G프로의 변종 제품으로 중국 시장을 노리고 있다. 애플 역시 최근 차이나모바일을 통해 아이폰 공급을 시작하며 중국 시장 정복에 나섰다. 하지만 최근 모토로라를 인수한 레노버를 비롯해 '중국의 애플'로 통하는 화웨이 등 중국업체들의 반격도 만만치 않을 조짐이다. 중국업체들은 24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14'에서 삼성·LG·애플 등 스마트폰 업계 '거물'들과 맞상대를 벼를 정도로 기술적인 면에서도 괄목상대를 거듭하고 있다. 스마트폰 업계 한 관계자는 "올해 전 세계 LTE 시장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율이 40%로 급증할 것으로 예측된다"며 "중국 시장을 잡기 위한 삼성·LG·애플과 중국 업체들 간의 혈투가 치열하게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2014-02-17 15:18:41 이국명 기자
주 5일제 연봉 2660만원 직장 없나요···구직자 희망 조건

구직자들은 주 5일제를 준수하면서 연봉 2600만원 이상인 기업에 취업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취업포털 사람인이 신입 구직자 639명을 대상으로 첫 취업 시 가장 중요한 조건을 조사한 결과, 연봉이 40.4%로 1위를 차지했다. 복리후생(13.1%), 근무환경(12.2%), 성장성·비전(8.9%), 조직·기업문화(6.6%) 등이 뒤를 이었다. 구직자들이 희망하는 연봉수준은 2400만~2800만원 미만이 31.9%로 가장 많았다. 2000만~2400만원 미만(28.6%), 2800만~3200만원 미만(18.3%), 2000만원 미만(8%), 3200만~3,600만원 미만(7%) 등의 순이었다. 희망연봉 평균은 2661만원으로 집계됐다. 희망하는 복리후생으로는 주 5일제 근무 준수(76.5%,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초과근무수당 지급(62.9%), 연·월차제도 시행(55.9%), 보너스 지급(50.2%), 사내식당 및 식비 지원(37.6%), 자기계발비 지원(34.7%) 등이 있었다. 조직문화 분위기는 개성을 존중하는 자유로운 문화(36.6%)를 첫 번째로 꼽았다. 사생활 간섭 없는 공과 사가 확실한 문화(18.8%), 가족친화적 문화(13.6%)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첫 직장에서 만나고 싶은 이상적인 상사의 유형으로는 ‘업무적으로 배울 점이 많은 능력자 유형’(23.5%)이 1위에 올랐다. 아낌없는 칭찬으로 기운을 북돋워주는 유형(16.4%), 변화와 혁신으로 나를 성장시켜주는 유형(14.1%), 믿고 일을 맡겨주는 유형(11.3%) 등을 꼽은 구직자도 많았다.

2014-02-17 09:32:08 이국명 기자
'윈텔 시대' 이대로 끝나나···윈도8 판매 부진 PC 판매량도 급감

전 세계 PC시장에 드리운 먹구름이 갈수록 짙어지고 있다. '구세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마이크로소프트(MS) 최신 운영체제(OS)인 '윈도8'마저 판매부진에 시달리자 PC시장은 점차 나락으로 빠져들고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윈도8은 실패작'이라는 이야기가 여기저기서 터져 나오고 있다. 최근 MS의 마케팅 책임자인 타미 렐러 수석부사장이 밝힌 '윈도 8' 판매실적이 기대에 훨씬 못미치기 때문이다. 윈도8은 출시 15개월 만에 2억 부 판매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출시 12개월 만에 2억4000만 부 팔린 전작 '윈도7'에 비해 20% 이상 감소한 수치다. 더 큰 문제는 윈도8의 실사용자 수는 더 적다는 점이다. 시장조사기관 '넷마켓셰어'에 따르면 PC 사용자 중 윈도8이나 8.1을 쓰는 비율은 8%에 불과하다. 48%가 윈도7을 사용하며 29%는 12년 묵은 윈도XP를 아직도 쓰고 있다. 이는 윈도8이 출시초기 '시작버튼' 논란으로 혼란을 겪으면서 주로 기업 라이선스 계약으로 판매됐기 때문이다. 윈도8이 기대했던 PC교체수요를 이끌어내지 못하자 PC시장은 그야말로 아사직전이다. 시장조사기관 가트너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PC 출하량은 3억1590만 대로 전년 대비 10% 감소했다. 이는 4년 전인 2009년 수준에 불과한 수치다. 이에따라 '바이오' 브랜드로 유명했던 소니는 직격탄을 맞고 최근 PC사업에서 철수하기로 결정했다. 삼성전자와 LG전자 등도 PC사업 몸집 줄이기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IT업계 한 전문가는 "스마트폰·태블릿의 공세를 막아줄 것으로 기대했던 윈도8의 판매 부진으로 PC시장은 되살아날 기회를 잃어버렸다"며 "한때 IT시장을 주도했던 '윈텔(윈도와 인텔의 합성어)'시대가 점점 저물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2014-02-16 18:41:09 이국명 기자
기사사진
여자 컬링 영국에 석패···남은 경기 전승해야 4강 희망

한국 여자 컬링의 '4강 진출' 가능성이 희박해졌다. 김지선(27), 이슬비(26), 신미성(36), 김은지(24), 엄민지(23·이상 경기도청)로 구성된 한국 대표팀(세계랭킹 10위)은 15일(한국시간) 러시아 소치 아이스큐브 컬링센터에서 열린 2014 소치 동계올림픽 여자 컬링 예선 6차전에서 영국(세계랭킹 3위)에 8-10으로 아쉽게 패했다. 한국은 2-3으로 뒤진 4∼5엔드에 연달아 후공을 잡고도 점수를 내지 못하고 오히려 1점씩을 헌납하는 결정적인 실수를 범했다. 하지만 한국은 6엔드 2점, 8엔드 2점을 내며 6-7로 계속 영국을 뒤쫓았다. 영국도 스킵 이브 무어헤드가 후공을 잡은 9엔드 마지막 샷에서 하우스 중앙을 앞뒤로 에워싼 한국의 스톤을 피하지 못하는 실수를 저질러 2점을 헌납해 8-7로 역전당했다. 하지만 10엔드에 1점만 내준다면 후공을 잡는 연장 11엔드에서 절대적으로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었으나 한국은 10엔드에 3점을 내줘 대역전극을 완성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한국은 2연패에 빠지며 전체 전적 2승 4패를 기록했다. 4강권의 팀들이 서로 물고 물리는 접전이 벌어지는 상황이라 아직 가능성이 사라진 것은 아니다. 하지만 남은 3경기에서 전승을 거둬야 4강 진출의 실낱같은 희망을 품을 수 있을 것을 보인다.

2014-02-15 17:00:37 이국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