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금융 부산은행-경남은행 행장 22일 윤곽
BNK금융그룹이 오는 22일 부산은행, 경남은행, BNK캐피탈 등 주요 자회사 3곳의 차기 최고경영자(CEO) 2차 후보군을 선정한다. BNK캐피탈 CEO 후보는 명형국 BNK저축은행 현 대표가 지난 20일 사퇴하면서 이미 후보군이 압축된 상황이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BNK금융그룹 임원후보추천위원회(임추위)는 22일 1차 후보군을 대상으로 프리젠테이션(PT) 평가를 실시한다. 아울러 외부 평판조회 결과도 반영해 2차 후보군을 압축할 계획이다. 1차 서류를 통과한 후보는 모두 내부 출신이다. 숏리스트(2차 후보군)를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결국 빈대인 신임 회장 내정자의 의중에 무게가 실릴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지주의 '은행장 추천권 행사'도 이를 고려해 이뤄졌을 것이란 분석이다. 이에 따라 2차 후보군의 최대 관심은 빈 내정자의 의중이 반영된 '추천권 후보자'와 조직 안정에 도움되는 '당연직 후보자'의 경쟁이다. 부산은행장에는 강상길 부산은행 부행장(여신운영그룹장), BNK금융지주 회장 직무대행인 정성재 일시 대표(그룹 전략재무부문 전무), 방성빈 전임 지주 전무 등 3명이 경쟁을 벌인다. 강 부행장은 부사장(부행장) 이상에 해당하는 당연 후보군으로 1차 관문을 통과했고 정 일시대표와 방 전 전무는 지주에서 '회장 추천권'을 행사하면서 후보군에 들어갔다. 모두 동아대 출신이라는 점과 부산은행에 입사해서 주요 보직을 두루 거쳤다는 공통점이있다. 별다른 차이점이 없어 보이지만 제각기 강점은 뚜렷하다. 강 부행장은 1983년 부산은행에 입행해 마케팅 분야에서 경험을 두루 쌓아왔다. 다만, 강 부행장은 부산은행 파벌 논란이 제기된 부산상고 출신이라는점이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방 전 전무는 1989년 입행해 경영전략그룹장(부행장보), 지주 그룹글로벌부문장 등을 거치며 기획 분야에서 두각을 보여왔다. 정 일시대표는 1991년 부산은행에 입행해 검사부장, 부산은행 상무, 금융지주 전무 등 다양한 경험을 경험을 쌓아 온 것이 장점이다. 특히 지난해 김지완 전 회장 사임 이후 빈자리를 대신하면서 안정적으로 그룹을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금융권에서는 이번 주 2명 정도로 압축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최고경영자 후보군(롱리스트) 18명 중 1차 심사 통과자가 3명으로 크게 압축된 상황에 이번에는 소폭 줄일 것이란 분석이다. 경남은행에서는 최홍영 현 은행장과 심종철 부행장, 예경탁 부행장보 등 경남은행 임원 3명이 경쟁을 펼친다. 최 은행장과 심 부행장은 당연 후보군이며, 예 부행장보는 '회장 추천권'으로 후보에 포함됐다. BNK캐피탈 대표는 명형국 BNK저축은행 대표가 후보직을 사퇴하면서 강문성 금융지주 전무(그룹 감사부문), 김성주 BNK신용정보 대표의 2파전으로 압축됐다. 두 사람 또한 모두 동아대 출신으로 강 전무는 '회장 추천권'으로, 김 대표는 당연 후보군으로 1차 관문을 통과했다. 임추위는 2차 후보군이 압축되면 이달 말까지 심층 면접을 통한 최종 후보자를 선정해 추천하고, 이사회에서 이를 확정할 계획이다. /구남영기자 koogija_tea@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