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이현진
기사사진
'내리는 역 놓칠까 걱정마요'…서울시, 지하철 역명 잘 보이게 개선

앞으로는 달리는 지하철 속에서도 열차 유리창을 통해 도착역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서울시는 지하철 역명 시인성 개선 사업으로 1~8호선 승강장 안전문(스크린도어)에 역명 표지 부착을 완료했다고 17일 밝혔다. 열차 안 좌석과 출입문 등 어느 곳에서나 사각지대없이 도착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스크린도어의 가동문과 고정문에 각 소형·대형 크기의 역명 표지를 붙였다. 눈에 잘 띄도록 디자인 개선과 함께 글씨 크기도 대폭 확대했다. 기존 스크린도어에 일부 부착된 역명 표지는 글씨가 작고 사각지대에 부착돼있어 도착역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는 지적이 많았다. 이번 조치로 출입문 쪽에 있는 승객들은 승강장 안전문 가동문을 통해, 좌석에 앉은 승객 등은 유리창을 통해 역명 표지를 파악할 수 있다. 역명 표지 부착 사업은 지난달 1~8호선 275개 모든 역사에 적용됐다. 단, 9호선과 우이신설선은 이달 내 적용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은 서울시가 처음 추진한 '창의행정' 공모에서 선정된 우수 사업이다. 열차 내에서 도착역 정보를 즉각 파악하기 어렵다는 시민 의견에 착안한 것으로 시행 5개월 만에 사업이 추진됐다. 시는 지하철 2·4호선 구형 전동차의 '행선안내기'도 정비했다. 행선안내기는 열차 중간이나 출입문 상단에 설치돼 도착역과 환승역 정보 등을 알려주는 장치다. 이에 시는 행선안내기에 불필요한 정보와 긴 환승역 안내 문구 대신 도착역명이 표시되도록 해 표출 시간과 빈도를 늘렸다. 그 결과 2호선의 국문 역명 표출시간은 기존 15초에서 59초로, 4호선의 경우 기존 52초에서 95초로 표출 시간이 늘어났다. 서울시는 2·4호선 구형 전동차 행선안내기 개선을 시작으로 신형 전동차 행선안내기 표출방식도 개선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도착역명을 상단에 고정 표출하고 기타 정보는 하단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전동차 행선안내기 개선 작업은 내년 2분기까지 완료될 예정이다. 윤종장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지하철을 이용하는 시민의 눈에 맞춰 스크린도어에 역명 표지를 부착하는 새로운 방식을 도입했다"며 "지하철 이용시 다양한 불편사항을 해결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3-09-17 12:58:28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올해 수시 ‘인서울’ 대학에 전년 比 3.8만명 더 몰려…중앙대·성균관대에 각 1만명↑

전국 대학 2025학년도 입시 수시모집 원서접수 결과 서울 주요 대학의 경쟁률이 지난해보다 오름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응시 고3 수험생이 지난해보다 2만여명 넘게 감소했음에도 서울에 위치한 이른바 '인서울' 대학 12곳의 수시 응시자는 전년보다 3만8000여명이 더 몰렸다. 수능에서 '킬러(초고난도)문항' 배제 정책이 시행되면서 N수생이 대거 몰리고, 상위권 수험생들이 안정 지원보다 상향 지원 경향을 보였다는 분석이 나온다. ■ 건국대·서강대·성균관대·중앙대 경쟁률 크게 올라 17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건국대·경희대·고려대·서강대·서울대·서울시립대·성균관대·연세대·이화여대·서강대·중앙대·한국외대·한양대 등 서울 소재 주요 12개 대학의 2024학년도 수시 모집 경쟁률은 전체 21.39대 1을 기록했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올해 수능 원서를 접수한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은 32만6646명으로 35만239명이던 지난해보다 2만3593명 줄어들었다. 주요 12개 대학의 올해 수시 모집인원은 2023학년도보다 395명 늘었지만, 지원자는 3만8712명 늘어 경쟁률은 1.42p 오르며 '인서울' 쏠림은 더 심화했다. 특히 올해 수시에서 성균관대와 중앙대에는 각각 7만1872명, 7만463명이 원서를 지원하며 12개 대학 중 지난해와 견줘 가장 많은 오름세를 보였다. 두 대학에 지난해에는 각각 6만968명, 6만836명이 원서를 넣었지만, 올해는 각 대학에 1만명씩 더 많은 수험생이 몰렸다. 이밖에도 건국대(25.83대 1)가 3.08p, 서강대(29.69대 1)가 2.54p, 서울대(8.84대 1)가 1.98p, 연세대(14.62대 1)가 1.93p 등 경쟁률이 크게 상승했다. 인서울 주요 대학에 지원자가 많이 늘어난 이유는 고난도 킬러문항 배제로 상위권 학생의 수능 자신감이 높아진 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최종 접수 시 서울권 상위권 대학에 집중화 현상 더 크게 나타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수시에서는 고등학교 3학년뿐만 아니라 재수생 또는 반수생도 학생부종합전형이나 논술전형에 상당수 지원한 것으로 해석된다"라며 "최종 합격 발표 이후 서울 상위권 대학 집중 현상으로 대학, 지역 간 격차가 크게 벌어질 수 있는 상황"이라고 내다봤다. ■'안정'보다 '도전'지원…학종·논술 경쟁률↑, 교과↓ 올해 수험생들은 안정 지원보다는 도전적 성향의 지원을 많이 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서울 주요 대학의 학생부종합전형 경쟁률은 상승했지만, 교과전형은 하락한 경향을 띠고 있다. 김병진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 소장은 "학생부교과전형에서 올해부터는 진로선택과목을 정량평가해 반영하거나 진로선택과목의 이수 여부와 '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을 바탕으로 한 정성평가를 실시하는 대학이 증가함에 따라 지원 심리가 다소 둔화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해석했다. 이는 평가 지표가 불확실한 학생부종합전형과 달리 최근 2~3년간의 입학 결과가 명확하게 나타나는 학생부교과전형의 특징이 반영됐다는 설명이다. 반면, 학생부 반영 항목 축소와 자기소개서 폐지 등의 외적 요인으로 각 대학의 학생부종합전형 평가 요소 변경이 불가피해지면서 합·불의 불확실성이 더욱 커진 학생부종합전형에는 수험생들이 대체로 공격적 지원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김병진 소장은 "지난해까지와는 다른 환경으로, 지난해까지의 입학 결과가 올해 그대로 적용되기 어렵다는 심리가 수험생의 적극적 지원을 끌어낸 것으로도 보인다"고 설명했다.

2023-09-17 12:05:15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덕성여대, 2024학년도 수시모집 경쟁률 15.98대 1

덕성여자대학교가 15일 오후 6시 2024학년도 수시모집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총 851명 모집에 1만3597명이 지원해 평균 15.98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고 17일 밝혔다. 지난해 대비, 모집인원(768명→851명)과 지원자 수(13,392명→13,597명)가 동시에 상향됐다. 전형별 경쟁률을 살펴보면 정원 내 모집은 ▲학생부100%전형 6.88대 1 ▲고교추천전형 7.81대 1 ▲기회균형전형Ⅰ_사회통합 6.24대 1 ▲덕성인재전형Ⅰ 13.14대 1 ▲덕성인재전형Ⅱ 16.20대 1 ▲기회균형전형Ⅱ_사회기여자 14.00대 1 ▲논술전형 48.94대 1 ▲미술실기전형 34.91대 1로 나타났다. 정원 외 모집은 ▲기회균형전형Ⅰ_특성화고교 12.08대 1 ▲기회균형전형Ⅰ_농어촌학생 8.31대 1 ▲기회균형전형Ⅰ_기초생활수급자 등 12.54대 1 ▲기회균형전형Ⅰ_장애인 등 대상자 4.80대 1 ▲기회균형전형Ⅰ_특성화고 등을 졸업한 재직자 2.39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이 중 논술전형 글로벌융합대학(인문사회)이 55명 모집에 3545명이 지원해 64.45대 1의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으며, 미술실기전형 Art & Design대학 기초디자인이 26명 모집에 1477명이 지원해 56.81대 1로 뒤를 이었다. 그 외에도 ▲논술전형 글로벌융합대학(유아교육과) 33.40대 1 ▲논술전형 과학기술대학 29.55대 1 ▲기회균형전형Ⅰ_특성화고교 Art & Design대학 22.00대 1 ▲미술실기전형 Art & Design대학 색채소묘 21.00대 1 ▲덕성인재전형Ⅰ 약학대학 20.15대 1의 순으로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덕성여대는 10월 14일~15일 미술실기고사, 11월 14일 기회균형전형Ⅰ_장애인 등 대상자 및 덕성인재전형Ⅱ 1단계 합격자 발표(면접대상자), 11월 18일 기회균형전형Ⅰ_장애인 등 대상자 면접평가, 11월 19일 덕성인재전형Ⅱ 면접평가, 11월 26일 논술고사를 실시할 계획이며, 12월 15일 최초합격자를 발표한다. 충원합격자 발표는 12월 21일부터 28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3-09-17 11:16:50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순천향대 경영학과, ‘제58회 공인회계사 자격시험’ 합격자 2명 배출

순천향대학교 경영학과는 최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제58회 공인회계사 자격시험에서 2명의 합격자를 배출했다고 17일 밝혔다. 올해 시험에서 경영학과 졸업생 강지석(12학번), 홍해진(17학번) 씨가 합격했다. 올해 시험은 작년보다 468명이 늘어난 4187명이 지원했으나, 합격자는 전년 대비 137명이 감소했다. 합격률은 최근 5년 사이 처음으로 30% 밑으로 떨어진 26.3%다. 이번 시험에 합격한 강지석(경영학과 졸업, 12학번) 씨는 제대 후 공인회계사로 진로를 결정하고, 3학년 때부터 본격적으로 시험 준비를 시작했다. 그는 "경영학과에서 들었던 수업들이 합격의 밑거름이 된 것 같아 교수님들께 감사드리고, 어려운 문제를 접할 때마다 수업 시간에 교수님들이 가르쳐 주신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문제해결 능력을 키웠던 것이 좋은 성과로 이어진 것 같다"라고 말했다. 홍해진(경영학과 졸업, 17학번) 씨는 ▲국가 공인 자격시험 스터디 ▲회계 전공 기초과목 멘토링 ▲모의 토익 솔루션 제공 ▲선배가 들려주는 진로 특강 ▲회계 실무진 네트워킹 등 학과와 동아리로부터 지원을 받았다며 "항상 가까이에서 격려하고 응원해 준 교수님들과 선후배께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라고 말했다. 최재원 경영학과 학과장 교수는 "경영학과는 설립 이래 다수의 인원이 공인회계사로서 배출되어 오고 있으며 이번에도 그 전통을 이은 합격자들이 매우 자랑스럽다"라며 "경영학과의 한 분야인 회계학에서 공인회계사 합격을 위해 열심히 노력해 좋은 결과를 만들어낸 학생들의 역량에 박수를 보낸다"라고 말했다. 한편, 순천향대 경영학과는 지도교수 면담을 통한 그룹스터디 활동, 회계 동아리 'ACCTIVATION' 운영 등을 통해 다수의 회계사 및 세무 관련 자격 합격자를 배출하고 있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3-09-17 11:12:18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세종대-취리히연방공대, 한-스위스 수교 60주년 기념 워크숍 성료

세종대학교는 지난 4일부터 6일까지 세종대 대양AI센터와 주한 스위스 대사관에서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와 함께 확장현실(XR, eXtended Reality) 워크숍 'ICCTARVR 2023'을 개최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워크숍은 한-스위스 수교 60주년 기념과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서 지원하는 한-스위스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개최됐다. 5일 세종대에서 열린 XR 워크숍에서는 '가상/증강현실을 위한 지능형 콘텐츠 제작 도구 개발'을 위해 양국이 진행하고 있는 연구내용 발표 및 토론, 데모 시연, 산업체 강연 등이 진행됐다. 한국 측에서는 총괄책임자인 세종대 최수미 교수, 세부책임자인 세종대 이종원, 송오영 교수, 참여기업 ㈜퍼펙트스톰의 연구진 등 총 60여 명이 참석했다. 스위스 측에서는 취리히연방공대 교수겸 디즈니 리서치 스튜디오 부소장인 로버트 섬너(Robert Sumner) 교수, 취리히연방공대 게임 테크놀로지 센터 상무이사 패비오 준드(Fabio Zund) 박사를 비롯해 총 10명의 연구진들이 방한해 참석했다. 6일 주한 스위스 대사관에서 진행된 XR 워크숍은 한-스위스 수교 60주년 공식행사로 세종대, 취리히연방공대, 주한 스위스 대사관이 공동으로 주최했다. 한편, 워크숍에서는 스위스 방한한 사절단 10명, 한국에서 참석한 교수, 연구원, 기업인 등을 포함해 총 60여 명의 한국과 스위스 연구자들이 정보교류의 시간을 가졌다. 지난 3년여 동안의 사업 성과로는 다수의 SCI 논문 출판, 국내외 특허 출원 및 등록, 기술이전 등이 이뤄졌다. XR 워크숍을 주최한 최수미 세종대 초실감XR 연구센터장은 "국제 워크숍, 정기 화상회의 등을 통해 국제협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XR 고급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3-09-17 09:36:55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울산대 2024 수시모집 경쟁률 3.85대 1

울산대학교가 2024학년도 수시모집을 마감한 결과 2319명 모집정원(정원내)에 모두 8917명이 지원해 3.85대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고 17일 밝혔다. 올해 의예과를 제외한 일반 모집단위에서는 모집인원이 180명 감소에도 불구하고 전년도 3.35보다 0.33p 증가한 3.68로 나타나 학령인구 감소 등을 고려하면 실제 지원율은 높아졌다. 울산대는 올해 수시모집에서 의학계열, 공학계열 등 전통적인 강세 학부가 높은 지원율을 보였다. 의예과는 30명 모집에 490명이 지원해 16.33대1로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으며, 다음으로 ▲간호학과 8.77대 1 ▲화학공학부 6.11대 1 ▲기계자동차공학전공 5.64대 1 ▲스포츠과학부 5.45대 1 ▲IT융합학부 AI융합전공 4.94대 1 ▲사회과학부 경찰학전공 4.56대 1 ▲나노반도체공학과 4.27대 1 ▲사회과학부 사회․복지학전공과 생활과학부 식품영양학전공 각각 4.25대 1 순을 보였다. 나노반도체공학과는 미래사회의 수요에 맞춘 첨단학과로 경쟁률이 전년도 3.97대1에서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울산대는 내달 6일 음악학부 실기를 시작으로 ▲10월 13일 미술/섬유디자인 실기 ▲10월 21일 디자인/실내공간/경기실적우수자 실기 ▲10월 28일 스포츠과학부 실기 ▲11월 25일 학생부종합전형 및 의예과 지역인재전형 면접▲12월 2일 의예과 학생부종합전형 면접을 실시한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3-09-17 08:33:59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상명대, 2024 수시모집 원서 서울캠퍼스 10.45대 1…천안은 8.84대 1

상명대학교가 15일 18시까지 진행된 '2024학년도 수시모집' 원서접수 마감 결과 9.61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수시모집에는 총 1809명 모집에 1만7386명이 지원했다. 지난해 10대 1의 경쟁률과 비교하면 소폭 하락했다. 캠퍼스별로 보면 서울캠퍼스 866명 모집에 9054명이 지원해 10.45대 1의 경쟁률을 보였고, 천안캠퍼스는 943명 모집에 8332명이 지원해 8.84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서울캠퍼스는 ▲학생부교과(고교추천전형) 5.37대 1 ▲학생부종합(상명인재전형) 15.73대1 ▲실기/실적(실기전형) 14.07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각 전형 별 경쟁률이 지난해 대비 소폭 하락한 데 비해 학생부종합(상명인재전형)은 지난해 대비 700여 명 지원자가 늘어 경쟁률이 상승했다. 천안캠퍼스는 ▲학생부교과(학생부교과전형) 6.12대 1 ▲학생부종합(상명인재전형) 12.39대 1 ▲실기/실적(실기전형) 12.47대 1의 경쟁률을 보였고, 천안캠퍼스도 학생부종합(상명인재전형)이 지난해 대비 300여 명 지원자가 늘었다.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인 모집 단위는 서울캠퍼스는 SW 융합학부 애니메이션전공이 학생부종합(상명인재전형)에서 7명 모집에 256명이 지원해 36.57대 1의 경쟁률을 보였고, 천안캠퍼스는 실기/실적(실기전형)의 연극전공(연기)이 8명 모집에 186명이 지원해 23.2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후 진행되는 2024학년도 수시모집 전형 일정은 캠퍼스별, 전형 별로 다름으로 자세한 사항은 상명대 입학 홈페이지를 확인하면 된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3-09-17 08:26:56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순천향대 2024 수시모집 최종 경쟁률 7.05대 1로 마감

순천향대학교가 15일 2024학년도 신입생 수시모집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2111명 모집에 1만4880명이 지원해 7.0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16일 밝혔다. 순천향대는 이번 수시모집에서 정원내 모집(학생부교과전형·학생부종합전형·실기/실적전형)과 정원외 모집으로 구분해 학생을 모집했으며, 정원내 모집은 총 1812명 모집에 1만3891명이 지원해 7.67대 1을 보였다. 정원외 모집은 299명 모집에 989명이 지원해 3.31대 1을 나타냈으며, 정원내·외를 포함한 종합 경쟁률은 7.05대 1로 지난해 5.93대 1의 경쟁률보다 큰 폭으로 상승했다. 정원내 모집에서는 ▲학생부교과 교과면접전형 7.91대 1 ▲학생부종합 일반학생전형 12.58대 1 ▲학생부종합 지역인재전형 19.42대 1 ▲학생부종합 SW융합전형 7.08대 1 ▲실기/실적 일반학생전형 16.30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특히, 최고경쟁률을 기록한 학과는 학생부종합 일반학생전형 ▲간호학과 43.60대 1 ▲의예과 40.83대 1 ▲임상병리학과 36.00대 1 ▲경찰행정학과 31.00대 1, 그리고 실기/실적(일반학생전형) 사회체육학과 22.63대 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원외 모집에서는 ▲학생부교과 기초차상위전형 6.97대 1 ▲학생부교과 특성화고교졸업자전형 6.83대 1 ▲학생부종합 기초차상위전형 21.25대 1 ▲학생부종합 농어촌학생전형 20.00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민세동 입학처장은 "우리 대학은 MZ세대 수험생들의 눈높이에 맞춰 AI 챗봇, 전공 특강 등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대입전형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고교 맞춤형 입시 상담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일 예정이며, 대학 입학전형의 공정성 제고를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펼칠 예정"라고 말했다. 한펴느 순천향대는 최근 ▲대전·세종·충남 유일 글로컬대학30 예비지정 선정 ▲미래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4A 하이플렉스 교육혁신' 주도 ▲메타버스형 하이플렉스 강의실 구축 ▲2023 THE·QS 세계대학평가 세계 순위권 달성 등 그간 국내외에서 교육·연구 역량을 쌓아왔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3-09-16 10:11:41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중앙대 2024 수시모집 7만 9117명 지원… 5년 연속 최다 지원자 기록

중앙대학교가 15일 2024학년도 수시모집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5년 연속 가장 많은 수험생이 지원해 전체 경쟁률 28.35대 1을 기록했다고 16일 밝혔다. 서울캠퍼스는 경쟁률이 33.62대 1에 달했다. 중앙대는 15일 2024학년도 수시모집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2791명 모집에 7만9117명이 지원해 28.3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는 2788명 모집에 6만8860명이 지원해 기록한 지난해 경쟁률 24.7대 1과 비교했을 때 대폭 높아진 수치다. 지원자 수만 보더라도 1만257명이나 늘어났다. 28.35대 1의 경쟁률은 서울캠퍼스와 다빈치캠퍼스를 모두 합했을 때 기준으로, 서울캠퍼스만 놓고 보면 경쟁률은 더 높다. 서울캠퍼스는 2096명 모집에 7만470명이 지원해 33.6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원자 수 증가 폭도 9634명이나 됐다. 전형유형별로 보면 478명 모집에 4만642명이 지원해 85.0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논술전형의 경쟁률이 가장 높았다. 실기전형이 22.57대 1, 학생부종합전형 21.91대 1로 그 뒤를 이었다.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인 모집단위는 논술전형에서 모집한 의학부로 203.42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같은 전형의 약학부가 176.65대 1을 기록하며, 의약학 계열을 향한 높은 선호도를 실감하게 했다. 다음으로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129.22대 1, 소프트웨어학부 111.25대 1, 전자전기공학부 107.72대 1 순이었다. 학생부종합전형에서는 생명과학과가 CAU융합형인재 90대 1, CAU탐구형인재 58.33대 1로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인 모집단위였다. 실기전형(실기형)에서는 공연영상창작학부 영화전공이 160.38대 1, 연극(연기)전공이 101.71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김영화 입학처장은 "중앙대는 올해 수험생들의 학업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들였다. 학생부교과전형인 지역균형전형과 논술전형 수능최저학력기준 적용 시 영어 2등급까지 1등급으로 산정하며, 자연계열 논술에서 과학논술을 과감히 폐지했다"라며 "이러한 수험생 친화 정책들이 가장 인기가 많은 대학이란 명성을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배경"이라고 말했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3-09-16 10:06:38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인하대, 2024 수시모집에 4만3천여명 지원…경쟁률 16.52대 1

인하대학교는 2024학년도 수시모집 원서접수 결과 2595명 모집에 4만2858명이 지원해 16.5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수시모집 경쟁률 16.37대 1과 비교해 상승한 결과이다. 주요 전형별로 살펴보면 학생부종합(인하미래인재)전형은 13.48대 1(973명 모집에 1만3119명 지원)의 경쟁률을 보였으며, 학생부교과(지역균형)전형은 604명 모집에 3818명 지원해 6.3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논술우수자전형은 459명 모집에 2만345명이 지원해 44.32대 1의 경쟁률을 보였으며, 실기/실적전형은 전체 83명 모집에 1843명이 지원하여 22.20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모집단위별로 보면, 학생부종합(인하미래인재)전형은 자연계열 생명과학과가 41.91대 1, 인문계열 의류디자인학과(일반) 35.38대 1로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였으며, 학생부교과(지역균형)전형은 자연계열 스마트모빌리티공학과 11.57대 1, 인문계열 소비자학과 24.80대 1로 가장 높았다. 논술우수자는 자연계열 의예과가 660.75대 1, 인문계열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45.25대 1로 가장 높은 경쟁률을 나타냈다. 인하대 수시모집전형 세부일정은 10월 3일 실기/실적전형 조형예술학과(인물소묘) 실기고사부터 시작되며, 10월 7일 의류디자인학과(실기) , 10월 8일 디자인융합학과 실기고사를 치른다. 연극영화학과(연기) 실기고사는 10월 13일부터 15일까지 3일간 실시한다. 학생부종합(인하미래인재)전형 면접고사는 11월 18일과 19일 사이에 계열별/모집단위별로 진행하고, 논술우수자전형 논술고사의 경우 인문계열은 12월 2일, 자연계열은 12월 3일에 실시한다. 최초합격자 발표는 실기/실적의 경우 11월 14일, 그 외 학생부종합, 학생부교과, 논술전형의 경우에는 12월 15일으로 나눠 진행한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3-09-15 19:04:08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국민대 2024 수시 경쟁률 12.13대 1…지난해보다 5천여명 더 몰려

국민대학교가 15일 18시 2024학년도 수시모집 원서 접수를 마감한 결과, 모집인원 1995명에 총 2만4193명이 지원해 평균 12.1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경쟁률은 9.35대 1로, 전년에 비해 4881명 더 많은 수험생이 지원했다. 가장 높은 지원 경쟁률을 기록한 전형은 연기실기우수자전형으로, 20명 모집에 총 1528명이 지원해 76.40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주요 전형별로는, 교과성적우수자전형이 493명 모집에 3320명이 지원해 6.73대 1의 경쟁률(작년대비 256명 감소)을 기록했다. 교과성적우수자전형 중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한 학과는 정치외교학과로 7명 모집에 113명이 지원해 높은 16.14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국민대 학생부종합전형은 크게 나누어보면, 면접이 있는 국민프런티어전형과 면접이 없는 학교생활우수자전형이 있다. 국민프런티어전형은 490명 모집에 9143명이 지원해 18.66대 1의 경쟁률(작년대비 2245명 증가)을 나타냈으며, 학교생활우수자전형에는 403명 모집에 4251명이 지원해 10.55대 1(작년대비 1685명 증가)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학생부종합전형에서는 주로 스포츠건강재활학과(46.38대 1)와 바이오발효융합학과(43.00대 1)가 경쟁률이 높았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3-09-15 18:55:33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삼정이엔씨, 독자기술로 개발한 ‘수소가스 제어시스템’ 전면 공개

(사)스마트4차산업혁명협회는 회원사인 ㈜삼정이엔씨(대표이사 김승섭)가 13일~15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개최되는 'H2 MEET 2023'에 참가해 기존의 '수소 냉각기(H2 Chiller)'는 물론 올해 독자 기술로 개발한 수소가스 제어시스템(H2 Control System)을 전면 공개했다고 15일 밝혔다. 수소가스 제어시스템은 수소 생산, 저장, 이송, 활용 등 수소산업 전 과정에서 사용이 가능한 핵심 설비이다. 이번 전시회에서 ㈜삼정이엔씨는 기존 수소 냉각기 기술력을 바탕으로 수소충전소용 초고압 수소가스 제어시스템을 자체적으로 개발한 기술 혁신을 통해 구성품 설계부터 설치, 상업 운전에 이르기까지 안전한 수소가스 활용을 위한 새로운 시스템을 개발, 선보였다. 수소충전소는 700 Bar~850 Bar의 초고압 수소가스 압력을 사용해 수소가스 제어판넬에 구성된 부품 신뢰성과 안전성이 최대 화두이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수소가스 누출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기술 개발과 그에 따른 부품의 안정적 공급이 가능한 국산화다. 이 부분을 삼정이엔씨가 개발했다. 정호연 ㈜삼정이엔씨 기술연구소장은 "기존의 수소가스 제어판넬의 경우 고질적인 가스 누출 포인트, 복잡한 배관회로, 폐쇄적 유지보수 공간, 중복된 부품사용, 비대한 설치공간, 수입부품의 활용 한계 등의 문제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기술을 계속 사용했지만 삼정이엔씨의 기술력 확보를 통해 이러한 문제가 해결되게 됐다"라며 "삼정이엔씨의 신기술로 개발된 블록 헤더(Block Header) 부품을 수소가스 제어시스템에 적용해 가스 누출 포인트율을 80% 이상 감소시켜 제어 효과성과 안전성을 극대화했다.고 강조했다. 기존 수소가스 제어 판넬시스템은 수입 부속품을 약 85% 이상 사용해야 조립 완성도가 높았을 뿐만 아니라 고가의 부속품을 사용, 경제적 부담과 가스 누출의 위험을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신개발품 수소가스 제어시스템은 약 65% 이상의 국산화 제품으로 구성되어 수입 대체 효과가 뛰어나며, 기술 혁신을 통해 피팅류 46%, 부품 19%, 밴딩 67%의 부품사용을 줄여 구성 효율성을 증대했다. 이를 통해 수소가스 제어시스템의 설치면적 또한 31%로 축소되어 수소충전소 내 공간 활용성을 높였으며, 기존 기술보다 총 45% 이상 성능 및 기술력을 확보했다. 삼정이엔씨는 이와 같은 기술력을 인정받아 지난 13일 오후 H2 MEET 조직위원회로부터 'H2 이노베이션 어워드' 본선 진출 기업으로 선정돼 '우수상'을 받았다. 김승섭 대표는 "제어판넬은 삼정이엔씨가 올해 특허기술로 만든 제어판넬과 기존 방식의 기술로 만든 제어판넬 등 두 가지가 있는데, 삼정이엔씨에서 개발한 '블록 헤더'를 적용했을 경우 수소 누출 포인트가 획기적으로 감소할 뿐만 아니라 비용절감, 수입의존도 탈피 등 많은 차이가 있다"라며 "지금껏 수소 전문기업으로 R&D에 많은 투자를 하고, 기술력을 확보한 특허로 비교우위에 서 있었음에도, 이 부분을 더욱 강화해 확고한 경쟁력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국가 수소경제 발전의 견인차가 되는 기업으로써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1993년 설립된 ㈜삼정이엔씨는 산업용 냉각 장비를 약 3만7000대 이상 국내·외로 공급했으며 2015년 새로운 에너지인 수소충전소 구축 인프라 제품 개발에 참여했다. 여주 휴게소를 출발해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수소충전소 구축참여와 세계 최초로 국회에 설치된 규제 샌드박스 1호 사업인 국회의사당 수소충전소 등 2023년 현재까지 약 8년 동안 154여 곳의 수소충전소 수소 냉각기를 납품 상업화에 성공했다. 삼정이엔씨는 우리나라 최초 수소 냉각기 국산화 비율 87% 달성, 수소 냉각기 에너지 절감 32%, 설치면적 축소 49% 달성했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3-09-15 09:22:58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서울대 수시, 전년보다 5천명 더 몰려 ‘8.84대 1’…고려대 ‘12.9대 1’

13일 마감한 서울대 2024학년도 수시모집 결과, 지난해보다 5000여명이 더 몰리며 8.84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반면 고려대의 경우 모집 인원은 37명 늘어난 데 반해 지원 인원은 2580명 감소해 전체 경쟁률이 하락했다. ■ 서울대 1만9279명 지원……"과탐Ⅱ지정 폐지해 지역균형전형 증가" 14일 대학가에 따르면, 2181명(정원 외 포함)을 선발하는 2024학년도 서울대 수시모집에 1만9279명이 지원해 8.84대 1로 지원율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 지난해 서울대 수시 지원자는 1만4108명으로 올해는 이보다 5171명 더 많은 수험생이 원서를 냈다. 세부 전형별로 보면, 지역균형전형 경쟁률은 4.97대 1(전년도 3.93대 1), 일반전형은 10.07대 1(전년도 8.12대 1)로 두 전형 모두 지원율이 크게 상승했다. 인문계의 경우 ▲윤리교육과(6.33대 1) ▲소비자아동학부 소비자학전공(5.83대 1) ▲인문계열(4.81대 1) 순이었고, 자연계열은 ▲생명과학부(11.86대 1) ▲응용생물화학부(11.44대 1) ▲약학계열(9.64대 1) ▲의예과 (8.03대 1)순으로 경쟁률이 높았다. 특히 전년도와 달리 경쟁률이 2대 1 미만인 모집단위는 한 곳도 없었다. 일반전형의 경우 신설된 첨단융합학부(98명 모집)의 지원율이 10.96대 1로 나타나, 기존 공과대학모집단위들보다 높은 지원율을 보였다. 인문계열은 ▲철학과(20.78대 1) ▲사회학과(17.30대 1) ▲소비자학전공(17.14대 1)의 지원율을 보였으며, 자연계는 바이오시스템·소재학부(16.00대 1)가 경쟁률이 가장 높았고, ▲의예과(15.64대 1) ▲식품·동물생명공학부(15.56대 1) ▲응용생물화학부(14.07 대 1)순이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서울대는 올해부터 과탐Ⅱ지정을 폐지해 고3의 지역균형전형 지원 수가 증가했고, 수시 수능최저충족 가능성도 확대돼 최상위권 학생들이 더 몰렸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재수생이 큰폭 증가한 상황에서 주요 상위권대에 재학중인 반수생 중 내신이 우수한 반수생 상당수가 서울대 수시에 지원한 것"이라며 "고난도 킬러문항 배제로 수능 고득점 확보에 자신을 가진 고3 수험생도 대거 서울대 수시에 소신지원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 '학교추천-학업우수' 중복 불가 '고려대', 경쟁률↓…경희대, 전년과 비슷 고려대는 서울대와 달리 지난해보다 지원율이 크게 하락했다. 고려대는 올해 전년 대비 수시 선발인원을 60명 늘려 2593명을 선발하지만, 지원자 수는 2194명 줄어 3만3501명다. 이에 따라 경쟁률은 지난해 14.09대 1보다 낮아진 12.92대 1의 경쟁률(정원 외 포함)을 나타냈다. 전형별로 보면, ▲학교추천전형 10.31대 1(전년도 11.32대 1) ▲학업우수자전형 15.07대 1(전년도 17.09대 1) ▲계열적합전형 13.09대 1(전년도 15.18대 1)의 지원율을 보였다. 경쟁률 하락에도 전년도 입시결과가 낮았던 모집단위를 중심으로 지원율이 상승하기도 했다. 학과별로 보면, 학교추천의 경우 인문계열 ▲보건정책관리학부(14.38대 1) ▲언어학과(13.20대 1) ▲불어불문학과(12.29대 1) ▲통계학과(12.33대 1)순으로 지원율이 높았고, 자연계열은 ▲간호대학(26.50대 1) ▲의과대학(23.44대 1) ▲환경생태공학부(23.25대 1) ▲산업경영공학부(21.00대 1)의 경쟁률이 높았다. 이투스는 "고려대는 올해 수시에서 학교추천전형과 학업우수형전형의 중복 지원이 불가능해져 지원자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라며 "모집 인원 감소 규모가 컸던 학교추천전형에서 합격 가능성이 작다고 판단한 지원자들의 지원 추세가 둔화한 것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부분 대학이 15일 수시모집 원서접수를 마감하는 가운데, 서울대·고려대와 함께 13일 마감한 경희대는 2896명 선발에서 6만8270명이 지원해 23.57 대 1의 경쟁률(정원 외 포함)을 보였다. 전년도 22.90대 1보다 소폭 증가한 수치다. 서울캠퍼스는 논술우수자전형 경쟁률이 95.62대 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네오르네상스전형(20.38대 1), 지역균형전형(6.97대 1) 등의 경쟁률을 보였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소장은 "경희대는 학생부교과전형인 지역균형전형의 경쟁률이 예년에 비해 많이 감소했는데, 이는 경쟁 대학들에 비해 원서접수를 일찍 마감한 것에서 기인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3-09-14 13:50:43 이현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