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이도식
기사사진
화성특례시, 아동정책 '화성 아이사랑키움 통합시스템' 기능 개편

화성특례시가 시민들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아동 대상 사업 및 정책 정보를 찾아볼 수 있도록 '화성 아이사랑키움 통합시스템'의 기능을 고도화해 개편했다고 6일 밝혔다. 화성 아이사랑키움 통합시스템은 생애주기별 아동 대상 사업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2023년부터 운영되고 있는 시스템으로 방대한 아동 관련 정책 및 사업 정보를 한곳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번 개편은 다양한 아동 관련 사업 및 정책 정보를 보다 쉽고 빠르게 제공해 시민들의 정보 접근성과 편의성 향상을 위해 추진됐다. 기능 고도화에 따라, 연관어 검색 기능을 포함한 검색창이 새롭게 설치됐으며, 이를 통해 이용자는 보다 직관적이고 신속하게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0세부터 17세까지 1살 단위로 세분화된 연령별 지원사업 검색이 가능해져 각 연령에 적합한 아동 대상 사업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됐다. 특히 화성시 어린이·청소년의회의 정책 제안을 반영해 아동정책 제안 창구가 신설됐다. 이 창구는 아동들이 직접 정책에 대한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추후 접수된 의견은 화성시 어린이·청소년의회의 정책의제로 활용될 계획이다. 한편, 화성시는 이번 시스템 개편을 통해 시민들에게 더욱 신뢰받는 아동정책 플랫폼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이용자의 시스템 활용 통계자료를 분석해 지속적인 시스템 모니터링으로 더욱 발전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은 "이번 화성 아이사랑키움 통합시스템 기능 고도화 개편은 아동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2025년 특례시 출범과 함께 아동을 위한 정책을 더욱 강화하고 시민들이 더 나은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2025-01-06 13:54:38 김대의 기자
기사사진
화성특례시, '특례시 민생경제 활성화 추진계획' 수립

화성특례시가 6일 화성형 기본사회 구현을 위한 '특례시 민생경제 활성화 추진계획'을 수립했다. 특례시 민생경제 활성화 추진계획은 경기 침체 및 불안정한 정치 상황에 따른 소비심리 경색으로 민생경제 어려움이 가중됨에 따라 2025년 화성 특레시 출범에 맞춰 민생경제 활성화를 신속하게 추진하고자 하는 정 시장의 의지를 표현한 것이다. 계획에는 상생과 혁신으로 이끄는 경제 특례시 구현을 위해 5개 분야 총 738억원 규모의 소득양극화 극복사업을 확대 편성해 ▲소상공인 지원확대 ▲중소기업 제조혁신 ▲희망일자리 창출 ▲기업 안전망 구축 ▲20조 투자유치 조기달성 등이 담겨있다. 특히 경제적 약자 중심의 맞춤형 지원으로 소상공인·자영업자 대상으로 희망화성지역화폐를 전국 최대인 5,000억 원 규모로 발행해 위축된 소비심리 회복에 기여하고 그 밖에도 경영안정화를 위한 ▲특례보증 ▲이자차액 보전 사업 ▲경영환경 개선 사업을 통해 소상공인의 사업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전통시장, 상점가 활성화를 위한 시장매니저 지원 ▲전통시장 행사 지원 ▲화재 예방 및 고객지원센터 조성 등을 지원하게 되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운전자금 ▲특례보증 등 저금리 맞춤형 운영자금 지원을 통해 경영애로를 대응할 계획이다. 시는 민생경제 활성화를 위해 신속하고 실질적인 예산 집행으로 올해 상반기 내 90%이상을 집행해 지역 경제의 순환을 촉진할 계획이다.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은 "고금리 고물가와 대내외적 불확실성이 증가 됨에 따라 자영업과 기업을 운영하시는 시민들의 고통이 매우 클 것으로 생각한다"며 "이를 해결하는 것이 최선의 급선무로 판단하고 민생경제 활성화 계획을 수립했다"고 말했다. 이어 "지역화폐를 전국 최대로 발행해 소비를 통한 경제활성화와 특례보증과 이자차액 보전 등을 통한 경제안정화를 동시에 추진해 대한민국 최고의 특별한 특례시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사회경제적 양극화와 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한 '화성형 기본사회'를 추진해 포용적 성장기반과 사회적 신뢰 및 경제적 안정성을 강화하고 기본이 보장된 사회, 지속가능한 환경을 조성해 지역경제 선순환 구조를 형성할 계획으로 이를 위한 조직 신설을 검토하고 있다.

2025-01-06 13:54:26 김대의 기자
기사사진
인천시교육청-뉴욕시교육청, '인천-뉴욕 고교생 국제교류 프로그램' 운영

인천광역시교육청이 전국 최초로 뉴욕시교육청과 손잡고 '인천-뉴욕 고교생 국제교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6일 밝혔다. 지난해 7월 도성훈 교육감과 다니엘 위즈버그(Daniel Wiesberg) 수석부 교육감과의 협의로 성사된 이번 프로그램은 양 도시 학생들의 상호 방문으로 문화 이해와 글로벌 역량 향상을 목표로 한다. 2025년 3월에는 인천 학생 30명이 뉴욕을 방문하여(3월 17일부터 3월 29일 예정) 뉴욕의 다양한 고등학교 수업에 참여하고, 언어·문화·역사 체험, 진로 탐색 활동 등을 경험한다. 7월에는 뉴욕 학생들이 인천을 방문할 예정이다. 프로그램 참여 학생들은 '인천 바로 알기', ' 글로벌 역량 강화 교육' 등 사전 활동을 거쳐 뉴욕 방문 시에는 현지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며 글로벌 역량을 키우게 된다. 도성훈 교육감은 "뉴욕시교육청이 직접 해외 교육청과 공동으로 학생 교류를 추진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며 인천시교육청의 '읽걷쓰 기반 세계로교육'과 '인천세계로배움학교'가 높이 평가받아 이번 국제교류가 성사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인천학생들이 다양한 뉴욕 학교의 교육과정에 참여하며 글로벌 진로진학 역량과 세계시민성을 함양하는 소중한 기회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2025-01-06 13:53:37 김대의 기자
기사사진
경남도,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양성 교육기관 확대

경남도는 산모의 산후 회복과 신생아의 건강한 양육을 지원하는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양성 교육 기관을 기존 7개소에서 11개소로 확대 지정·운영한다고 밝혔다.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서비스 사업은 출산 가정을 지원하는 경남도의 대표 출산 정책으로, 건강관리사가 출산가정을 방문해 산모의 산후 회복과 신생아의 건강한 성장을 돕는다. 또 경제적 부담 완화와 맞춤형 돌봄 서비스 제공을 통해 출산 가정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양성 교육 기관에서는 질 좋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신규자 60시간 ▲경력자 40시간의 교육 과정을 통해 이론과 실습을 병행해 산모와 신생아 돌봄에 필요한 전문 지식과 사례 중심의 기술을 제공한다. 이 과정은 산모 회복과 신생아의 건강한 양육에 기여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배출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번 교육 기관 확대는 지역별 서비스 수요와 교육생의 이동 편의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이뤄졌다. ▲창원 ▲김해 ▲양산 ▲사천 지역에 각 1개소씩 추가 지정됐다. 구체적으로는 ▲창원은 마산 지역에 1개소 ▲김해는 서부 지역에 1개소 ▲양산, 사천 지역에 각 1개소의 교육 기관이 추가 지정됨으로써 교육생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교육 수요 해소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이번 교육 기관 확대를 통해 증가하는 산모·신생아 돌봄 수요를 충족하고, 체계적인 사회적 지원 시스템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 많은 건강관리사가 양성돼 출산가정의 돌봄 서비스를 강화함으로써 건강한 임신, 출산, 양육 환경 조성이 가능해질 것을 기대된다. 배재영 경남도 보육정책과 과장은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는 산모의 건강 회복과 신생아의 올바른 성장을 돕는 중요한 전문 인력인 만큼 앞으로도 교육의 품질을 높이고, 교육 기관이 그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2025-01-06 13:53:24 손병호 기자
기사사진
최상목 권한대행, 국제투자협력대사에 최중경 전 지경부 장관 임명

최중경(68세) 전 지식경제부 장관이 국제투자협력대사에 임명됐다. 정부는 6일 "우리 경제의 견조한 펀더멘탈을 국제사회에 적극 설명함으로써 대외신인도를 제고하고, 역대 최고실적을 경신 중인 외국인 투자 유치 모멘텀을 유지하기 위해 최중경 전 지식경제부 장관을 대외직명대사인 국제협력투자대사로 임명했다"고 밝혔다. 대외직명대사는 각 분야에서 전문성과 인지도를 겸비한 인사에게 대사의 대외직명을 부여해 정부의 경제외교활동에 활용하는 제도로, 임기는 1년이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겸 경제부총리가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임명했다. 정부는 "최 대사는 지식경제부 장관, 한국공인회계사회 회장, 기획재정부 차관 등 경제·산업·실물경제 전반에 걸친 다양하고 폭넓은 업무경험과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은행 상임이사, 주필리핀 대사 등 국제기구 및 외교관 근무 경력과 함께 한미협회 회장 재임 중으로 한국의 대외신인도 제고를 위한 대외활동의 적임자"라고 평가했다. 향후 최 대사는 국내외 외국인 투자자 및 관련기관 대표 면담, 외국인 직접투자(FDI) 관련 해외기관 방문 및 주요 인사 면담, 해외 투자설명회(IR)시 국가 홍보 등을 통해 외국인 투자 모멘텀을 유지·확대해 나가기 위한 노력을 전개해 나갈 예정이다. /한용수기자 hys@metroseoul.co.kr

2025-01-06 13:51:27 한용수 기자
기사사진
Refining Industry Accelerates Development of SAF and Bio-Marine Fuel Technologies Amid Expectations for Government Support

The oil refining industry is expected to face significant uncertainty this year due to complex factors such as the prolonged global economic downturn and rising exchange rates. In response, there is a growing trend of seeking breakthroughs through eco-friendly business initiatives.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on January 5, the European Union (EU) has mandated that all aircraft departing from European airports must use a fuel blend containing at least 2% Sustainable Aviation Fuel (SAF) starting this year. The mandatory blending ratio is set to increase to 6% by 2030 and 70% by 2050. Similarly, the United States has set a goal to replace all aviation fuel with SAF by 2050. In line with this trend, the need for government support in the fields of SAF and bio-marine fuel was highlighted at the recent government-led "Petroleum Conference." Consequently, the industry is optimistic that concrete support measures will be introduced starting next year. On December 26,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long with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eld the second plenary meeting of the "SAF Blending Mandate Design Task Force." SAF (Sustainable Aviation Fuel) is an alternative aviation fuel that reduces carbon emissions by up to 80% compared to conventional jet fuel. The SAF market, valued at approximately 1 trillion KRW in 2021, is projected to grow to around 29 trillion KRW by 2027, according to industry forecasts. Previously, the government announced plans to mandate a 1% SAF (Sustainable Aviation Fuel) blending requirement for all international flights departing from South Korea starting in 2027. This aligns with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s (ICAO) Carbon Offsetting and Reduction Scheme for International Aviation (CORSIA), which will become mandatory that year. In response, the oil refining industry has begun developing SAF to pioneer the eco-friendly aviation fuel market. SK Energy, a subsidiary of SK Innovation, has established a dedicated production line for SAF using the co-processing method and has commenced commercial production. Notably, SK Energy became the first South Korean oil refiner to export SAF to Europe. The exported SAF was produced through the co-processing method, which processes bio-feedstocks such as used cooking oil and animal fats. HD Hyundai Oilbank became the first in South Korea to export SAF to Japan in May 2024. The company reportedly exported products certified under the ISCC EU system, which is recognized by the European Union. GS Caltex supplied CORSIA-compliant SAF to Japan last year by blending general aviation fuel with SAF sourced from Finland’s Neste. The company also plans to invest in facilities (CAPEX) for direct production of SAF in the future. S-Oil also established a co-processing production line and began supplying SAF to Korean Air's regular passenger routes once a week in August 2024. In September, the company expanded its supply to include Asiana Airlines and T'way Air's regular passenger routes. Bio-marine fuel is emerging as a key eco-friendly business area for oil refiners. The market is projected to grow to 11 trillion KRW by 2034. Bio-marine fuel is a blend of traditional marine fuel and biodiesel, offering significant advantages such as eliminating the need to retrofit ship engines or fuel supply systems. Additionally, it can utilize the existing marine fuel supply infrastructure, making it a highly practical alternative. The government conducted a 1.5-year pilot project on bio-marine fuel from July 2023 to December 2024.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plans to establish quality standards and refine legal and institutional frameworks to support the domestic commercialization of new biofuels. As a result, bio-marine fuel is expected to become commercially available in South Korea as early as this year. An industry official stated, "Eco-friendly fuels such as SAF and bio-marine fuel are gaining attention as growth drivers for refiners, especially in light of stricter global regulations." They added, "With government support and advancements in technology, the domestic refining industry can secure a competitive edge in the global market."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1-06 13:48:01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김포시, 2025년 평생학습관 정규강좌 1기 수강생 모집

김포시는 2025년 제1기 평생학습원 정규강좌 수강생을 오는 15일까지 모집한다고 7일 밝혔다. 평생학습관은 작년 운양역 환승센터로 이전하여 개관한 이후 정규강좌 접수 인원이 전년 대비 최대 50%가 증가했다. 이는 교통 편리성 확대와 함께 다양한 맞춤형 교육 제공으로 시민들의 관심이 높아진 결과라고 김포시는 설명했다. 이번 정규강좌 모집 규모는 53개(대면 45개, 비대면 8개) 강좌로 모집인원은 1072명이며, 교육 기간은 2월 1일부터 4월 28일까지다. 수강 신청은 김포시 평생교육 통합플랫폼에서 온라인으로 진행하며 이후 추첨으로 수강생을 선발할 예정이다. 또한 3040세대 직장인들을 위한 기술, 취·창업 자격증 강좌 및 다양한 세대가 함께 배울 수 있는 맞춤형 평생교육 프로그램으로 ▲챗 GPT의 이해 ▲창업스타트(AI활용 마케팅) ▲수제맥주만들기 ▲케이크 디자이너 자격과정 등 8개의 강좌를 신설했으며, 평생학습관 야간·주말 강좌를 확대 운영하여 전년 대비 70%가 증가한 17개 강좌를 편성했다. 김포시 관계자는 "시민들의 자기 계발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과 야간 및 주말 강좌 확대를 통한 세대별 교육의 장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김포시 평생교육 통합플랫폼(http://gimpo.gseek.kr)를 참조하거나 김포시 평생학습관 또는 김포시 민원콜센터(031-980-2114)로 문의하면 된다.

2025-01-06 13:43:22 윤휘종 기자
기사사진
교육부, 교원 양성 11개 대학 중 9곳에 A등급 부여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교육대학 10곳과 종합교원양성대학인 한국교원대학교를 대상으로 역량 진단을 실시하고 9개 학교에 A등급을, 2개교에 B등급을 부여했다고 6일 밝혔다. A등급 대학은 ▲공주교대 ▲광주교대 ▲대구교대 ▲부산교대 ▲서울교대 ▲전주교대 ▲청주교대 ▲춘천교대 ▲한국교원대다. 경인교대와 진주교대는 B등급으로 판정됐다. 교육부는 A등급 대학에 장관 표창을 수여한다. B등급은 '현행 유지' 조치를 받게 된다. C등급과 D등급은 각각 양성 정원의 30%, 절반을 감축해야 하고, 최하위 E등급은 '기관 폐지' 처분을 받게 되는데 이번 평가에서 C∼E등급이 매겨진 대학은 없었다. 교육부는 교원양성기관의 종합적인 역량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예비 교원을 기르기 위한 정책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지난 1998년부터 교원양성기관에 대한 역량 진단을 진행해 오고 있다. 이번 역량 진단 기간은 최근 3년(2022∼2024학년도 일부)이다. 교원양성기관 역량 진단 세부 지표는 전공과목 전임 교원 확보율, 수업 운영의 적절성, 학생 지도 체제 구축 및 개선 계획, 재학생 만족도를 포함 총 23개로 구성됐다. 교육부는 진단 결과 분석 자료를 제공해 대학의 자율적인 개선을 도울 방침이다. 장미란 교원학부모지원관은 "교직 전문성을 갖춘 예비교원을 배출하기 위해 교원양성기관의 역량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미래형 양성 체제로 전환, 기관 특성화 방향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2025-01-06 13:41:49 김현정 기자
기사사진
게임업계, 지난해 '변화·도전' 넘어 올해는 '장르다양→실적개선'에 총력

지난해 도전과 변화에 초점을 맞춘 게임업계가 올해는 이를 기반으로 한 수익개선에 속력을 낸다. 우선 게임사들은 본업인 신작개발에 집중한다. 특히 그간 모바일,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에 주력했다면 올해부터는 장르 확장에 주력하기 시작했다. 오픈월드 액션 RPG, 시뮬레이션 게임 등 장르가 다양하고 대부분 PC와 콘솔 등 멀티플랫폼으로 출시할 예정이다. 서비스 장르 확장이 글로벌 진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실적 개선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6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우선 넥슨은 하드코어 액션 멀티플랫폼 역할수행게임(RPG) '퍼스트 버서커: 카잔'(카잔)을 오는 3월28일 글로벌에 정식 출시한다. 카잔은 중국에서 역대급으로 흥행 몰이를 한 '던전앤파이터' IP의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할 예정이다. 우선 중국 출시를 필두로 현지화 작업을 이어간다. 중국출시는 텐센즈 게임즈와 퍼블리싱 계약을 맺었다. 이 외에도 올해 넥슨은 서바이벌 슈터 '아크 레이더스' 등을 선보인다. 같은날 크래프톤도 시뮬레이션 게임 '인조이(inZOi)'의 얼리 액세스를 시작한다. '인조이'는 해외 게이머들도 기대하고 있는 신작이다. 글로벌 이용자들이 첫 시연했던 지난해 8월 독일 게임스컴에서는 5시간이 넘는 체험 대기줄이 늘어섰을 정도로 이목이 쏠린 바 있다. 인조이는 기술적·사업적 측면에서 특이점을 지닌다. 크래프톤은 AI(인공지능) 딥러닝본부가 개발한 소형언어모델(sLLM) 기반의 챗봇 기능과 모션 생성 기술을 인조이에 첫 적용한다. 이른바 '스케일업 더 크리에이티브' 전략이다. 인조이는 또 크래프톤의 '배틀그라운드' 단일 의존도를 줄여 기업가치 향상 뿐만 아니라 포트폴리오 확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넷마블은 올해 8종의 신작을 글로벌 시장에 공개한다. 상반기엔 '킹 오브 파이터 AFK', 'RF 온라인 넥스트', '왕좌의 게임: 킹스로드', '세븐나이츠 리버스'를, 하반기엔 'The RED: 피의 계승자', '일곱 개의 대죄: 오리진', '몬길: 스타 다이브, 데미스 리본' 등이다. 지난해 대한민국게임 대상을 수상한 나혼랩의 성공으로 앞서 8종의 신작이 넷마블의 실적 개선을 이끌지 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펄어비스가 6년간 개발한 '붉은사막'도 올 4·4분기 공개된다. 붉은사막은 펄어비스의 차세대 게임 엔진 '블랙스페이스 엔진'으로 개발 중인 오픈월드 액션 어드벤처 게임이다. 붉은 사막은 멀티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다는 특징을 지닌다. 멀티 플랫폼은 모바일과 ·PC·콘솔 등의 플랫폼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으로 수익 파이프라인이 다변화된다는 의미를 지닌다. 엔씨는 아이온2에 실적 반등의 기대를 걸고 있다. 각각 독립 스튜디오 체제로 개발중인 'LLL'과 'TACTAN(택탄)'도 올해 공개된다. 카카오게임즈의 자회사 라이온하트 스튜디오의 '발할라 서바이벌'은 올 1분기 정식 출시를 앞두고 사전예약 7일 만에 100만명을 넘어서며 유저들의 기대를 높이고 있다. 이처럼 국내 게임사들은 장르 확장을 통한 수익화에 초점을 맞추고 , 개발에 집중하기 위해 조직개편을 개편하거나 단발성 투자에 나서는 등 막바지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게임업계는 국내 게임업계가 침체되고 있는 상황에 올해를 수익성과 지속성까지 함께 가져가야 하는 중요한 일년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업계 관계자는 "그간 국산 게임이 주력했던 MMORPG는 높은 개발비와 유지비용, 이용자 입장에서는 시간과 자금을 투입해야 하는 호흡이 긴 게임이었다면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의 게임 트렌드는 조금 더 가벼우면서도 많은 유저들이 쉽고 가볍게 즐길 수 있는 게임으로 장르가 다양해 지고 있다"며 "경쟁력을 높이고 유저 확보를 위해 앞으로 대처에 유연해 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2025-01-06 13:41:17 최빛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