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이도식
기사사진
[오늘의 운세] 2025년 01월 04일 토요일

[오늘의 운세] 2025년 01월 04일 토요일 [쥐띠] 36년 양손을 주머니에 넣고서는 뭐든 할 수 없다. 48년 피곤하다는 말이 절로 나온다. 60년 발로 뛰는 일을 찾아보자. 72년 지치고 불행해도 가족을 생각하고 힘을 내자. 84년 모아둔 비상금을 활용하여 위기를 탈출해야. [소띠] 37년 지인과 금전 거래는 하지 말아야 한다. 49년 게으른 예술가가 만든 명작은 없다. 61년 고목에 꽃이 피니 좋은 일이 있다. 73년 얻고 싶은 것이 있다면 간절히 기도해보라. 85년 서두르지 말고 한발 물러서서 생각하라. [호랑이띠] 38년 우물에서 바라본 하늘은 선망의 대상일 뿐. 50년 익숙한 일도 가볍게 보지 마라. 62년 남이 던져주는 희망에 기대지 마라. 74년 여행은 신비로운 체험을 할 수가. 86년 다정도 병이니 배우자에게 지나친 간섭은 금물. [토끼띠] 39년 기쁨과 근심은 동전의 양면과 같다. 51년 이직은 반드시 손실로 이어진다. 63년 흘러간 세월은 돌이킬 수 없다. 75년 빨간색과 파란색을 섞으면 보라색이 나온다. 87년 하얀 옷이 행운을 불러오니 기분전환이 된다. [용띠] 40년 바람이 불어대니 인생이 허무하고 마음이 쓸쓸. 52년 남에게 준 상처는 내게로 돌아온다. 64년 간다는 사람을 잡지 마라. 76년 풍랑으로 거친 바다는 유능한 뱃사공을 만든다. 88년 외국에서 기다리던 소식이 온다. [뱀띠] 41년 상대의 마음을 여는 열쇠는 내 손안에 있다. 53년 원하는 바를 간절히 기도. 65년 원수를 외나무다리에서 만난다. 77년 마음이 상쾌하니 하는 일도 순조롭다. 89년 즐거움은 동물이나 식물이나 같이 반응한다고 하는데. [말띠] 42년 물을 무서워해서는 수영선수가 될 수 없다. 54년 광기와 천재의 차이는 성공으로만 측정. 66년 친구 병문안 갈 일이 생긴다. 78년 진인사대천명이니 최선을 다하라. 90년 청소를 즐겁게 하면 집안에 좋은 기운을 부른다. [양띠] 43년 행복한 사람은 감사할 줄 아는 사람이다. 55년 시작하지 않으면 변하는 것이 없다. 67년 열정을 가지고 취미생활을 시작하자. 79년 사랑을 포기하는 것에도 상당한 용기가 필요. 91년 시작을 하면 실행은 중요하고 결과가. [원숭이띠] 44년 판단력이 흐려지니 계약은 다음에. 56년 근래에 없던 즐거운 일이 생긴다. 68년 포기가 생각날 때가 성공이 눈앞에 온 것. 80년 만나기만 하면 사랑으로 진전되는 것은 착각. 92년 우물에서 숭늉 찾지 말고 매사 순서대로. [닭띠] 45년 사방으로 운이 열렸으니 미뤄둔 일을 마무리. 57년 이기적인 마음으로 거짓말을 하게 된다. 69년 누울 자리를 보고 다리를 뻗어라. 81년 시작은 미약하지만 끝은 창대하다. 93년 젊음이 있으니 열심히 하면 못할 것이 없다. [개띠] 46년 경쾌한 음악을 듣고 운동을 해보자. 58년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 70년 경계를 넘는 것을 두려워 마라. 82년 구름이 걷히고 햇살이 비춰주니 일이 순조롭다. 94년 결과에 대한 책임은 가장에게 따르게 되는 게 인생사. [돼지띠] 47년 다시 목표를 세우고 움직이면 새로운 삶은 시작된다. 59년 의견대립이 있을 수 있으니 신중. 71년 뜻밖의 선물을 받는다. 83년 더 많은 준비를 하고 시작해야 한다. 95년 적중률은 배움에서 시작되니 항상 공부하는 자세를 유지.

2025-01-04 04:00:03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SPC그룹, 파리바게뜨 글로벌 사업 조직 개편 "해외 사업 박차"

SPC그룹이 글로벌 사업 조직을 개편하며 해외 사업 강화에 나섰다. SPC그룹은 파리바게뜨의 글로벌 조직에 AMEA 본부(아시아태평양·중동·아프리카 본부Asia pacific, Middle East and Africa Division)를 신설해 운영한다고 3일 밝혔다. AMEA본부는 현재 사업을 운영 중인 동남아시아 지역에 더해 새로 진출을 준비하고 있는 중동·아프리카·오세아니아 지역까지 관할한다. 동남아시아를 총괄하던 하나 리(Hana Lee)가 AMEA본부 CEO가 됐다. CFO는 문태환(Taehwan Moon) 상무가 맡는다. SPC그룹은 올해 초 본격 가동 예정인 말레이시아 조호르바루 제빵 공장 완공을 앞두고 이번 인사를 실시했다. 해당 공장은 할랄 인증 기준에 맞춰 건립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물론 중동과 아프리카 지역 등 이슬람권 국가에 제품을 공급할 수 있다. 2조 달러 규모의 세계 할랄(Halal) 푸드 시장 공략을 위해 현지 시장 경험이 많은 경영자들을 전진 배치한 것으로 풀이된다. SPC그룹은 이에 앞서 2024년에도 파리바게뜨 아메리카 본부(America Division)의 인사를 시행하며 조직을 정비했다. 대런 팁튼(Darren Tipton)이 2021년부터 CEO를 맡고 있는 가운데, COO에 닉 스카치오(Nick Scaccio), CMO 캐시 샤브넷(Cathy Chavenet), CSCO 에릭 걸킨(Eric Galkin), CFO 박세용(Saeyong Park), CHRO 미셸 자그루프(Michelle Jagroop)를 선임했다. SPC그룹은 미국에서도 텍사스(Texas)주 벌리슨 시(City of Burleson)에 현지 생산공장 건립을 추진하고 있으며, 아메리카 본부는 미국과 캐나다를 중심으로 향후 진출 예정인 중남미 지역까지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 SPC그룹은 파리바게뜨 국내 본사와 해외 법인들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빠른 의사결정 체계를 지원하기 위해 국내에 '글로벌지원실'을 운영한다. 서일원(Ilwon Seo) 상무가 실장을 맡는다. SPC그룹 관계자는 "해외 각 지역 본부의 책임과 권한을 확대해 글로벌 사업을 현지화 하고, 국내 본사가 보다 효과적으로 해외 법인들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번 조직개편을 실시했다"고 말했다. 한편, 파리바게뜨는 현재 미국, 캐나다, 프랑스, 영국, 중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총 14개국에 진출했으며, 630여 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2030년까지 1만 2000개 매장 달성이 목표다. /신원선기자 tree6834@metroseoul.co.kr

2025-01-03 22:41:30 신원선 기자
기사사진
목포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희생시민 화장장 사용료 면제

목포시가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희생자 유가족 지원을 위해 총력을 다하고 있다.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희생자를 애도하기 위해 목포시가 마련한 목포역 광장 합동분향소에 목포시민들의 발걸음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시에서는 목포시에 주소를 둔 희생자 유가족들을 위해 필요물품 확인 및 지원, 장례절차 안내, 희생자 관련 행정처리 지원을 위한 1:1 전담팀을 2교대로 운영하고 있다. 또, 장례절차가 본격화되면서 목포추모공원 화장장(승화원)에서도 목포시에 주소를 둔 희생자의 화장장 사용료를 전면 면제하고, 사고 희생자를 대상으로 화장로를 하루 9차례 긴급 확대 운영 중에 있다. 목포시는 목포에 위치한 장례식장에 안치된 희생자 유가족을 대상으로 화장절차를 안내하고 화장 절차가 우선적으로 진행 될 수 있도록 희생자 화장 사전 예약절차도 진행하고 있다. 박홍률 목포시장은 "이번 사고로 슬픔에 빠진 유가족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을 될 수 있도록 시 차원의 가능한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목포시민은 14명이 희생되었고, 이분들을 추모하기 위해 목포역 광장에 마련된 합동분향소는 오는 10일 오후 9시까지 운영된다.

2025-01-03 20:00:41 이대호 기자
기사사진
김해시의회, 복지재단 대표 후보자 인사청문회 개최

김해시의회 인사청문특별위원회는 3일 김해시복지재단 대표 이사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진행했다. 이번 인사청문특위는 ▲송유인 위원장 ▲김진일 부위원장을 비롯해 ▲허윤옥 ▲류명열 ▲박은희 ▲조팔도 ▲김창수 ▲이혜영 ▲허수정 의원으로 구성됐다. 김해시복지재단 대표 이사 임용 후보자로 인사청문이 요청된 임주택 후보자는 1991년 공직에 입문해 칠 서부동장, 문화재과장, 생활안정과장을 거쳐 2019년 4급 서기관으로 승진했다. 이후 상하수도 사업소장, 복지국장을 지낸 뒤 2024년 6월 명예 퇴직했다. 이날 인사청문회는 임주택 후보자가 김해복지재단 대표 이사로서 ▲직무 수행 및 정책 능력 ▲전문성 ▲도덕성 등을 충분히 갖췄는지를 다각적인 관점에서 심도 있게 검증했다. 위원들은 ▲복지재단 인력 배치 불균형 등에 대한 인력 관리 방안 ▲사회복지 종사자 처우 개선과 복지 증진 계획 ▲지역별 특성에 맞는 노인 일자리 프로그램 ▲경력 단절 여성을 위한 복지 정책 ▲안정적인 재정 기반 마련 계획 등 후보자가 정책 추진 방향성 및 계획에 대한 뚜렷한 대안은 갖고 있는지 등을 중점적으로 질의했다. 특히 후보자의 복지재단 재정 자립도 향상 기반 마련을 위해 제시된 두 가지 전략 중 '자체 수입금 증대를 위한 이용 요금 현실화 추진'에 대해서는 복지 대상자의 부담이 커질 수도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위원들은 재단 자체 경영 개선 노력만으로 재정 자립도 향상은 한계가 있겠지만, 복지 대상자에게 부담이 되지 않도록 합리적인 방안을 마련해 줄 것을 요청했다. 임주택 임용 후보자는 "사회복지는 실천하는 현장도 중요하고 현장의 소리를 담아 기준과 근거를 만드는 정책 수립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그간 복지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더 전문성 있는 복지재단을 발전시켜 나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송유인 위원장은 "복지재단 대표 이사는 김해 시민 누구도 소외받지 않도록 촘촘하고 질 높은 복지 서비스 제공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야 하는 막중한 자리"라며 "긴 시간 동안 후보자가 충분한 역량과 자질을 갖췄는지 동료 의원들과 철저하게 검증하고자 최선을 다했다"고 말했다. 한편, 인사청문특위는 오는 6일 임주택 김해시복지재단 대표 이사 임용 후보자에 대한 종합 의견을 담은 경과 보고서를 채택해 집행부에 송부할 예정이다.

2025-01-03 20:00:20 손병호 기자
기사사진
부산 기장군, 관광 홍보 래핑 버스 운행

부산 기장군은 최근 운행을 개시한 관광 홍보 래핑 버스가 지역 주민과 시민들의 이목을 집중시키며 큰 호응을 이끌고 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래핑 버스는 천혜의 자연 환경과 다채로운 볼거리 및 즐길거리가 가득한 기장군의 관광 자원을 이동식으로 상시 노출하면서, 군 이미지 제고와 지역 관광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됐다. 군은 지난해 말 군 소유 대형 버스 2대를 대상으로 지역 내 관광 자원을 담은 래핑 시공을 완료하고, 관련 법령에 따라 '옥외 광고물 표시 신고' 절차를 마쳤다. 차량 외부에는 대표적 해양 관광 도시인 기장군을 상징하는 바다를 배경으로, 기장군 기장읍 지역 내 주요 관광지인 ▲죽성 드림 세트장 ▲해동 용궁사 ▲국립부산과학관 ▲젖병등대를 그래픽으로 삽입했다. 래핑 버스는 평상시 직원 통근 버스로 활용돼 해운대 등 인접 도시를 매일 오가고 있으며 주요 행사 시 참가자 수송을 위해 공항, KTX 역사 등 다중 밀집지와 수도권 및 지방 도시까지 누비면서 군 관광 자원 홍보의 첨병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또 군은 이번 기장읍 지역 관광자원 홍보를 시작으로, 장안읍·정관읍·일광읍·철마면 지역의 관광 자원을 차례대로 반영해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정종복 기장군수는 "이번 버스 래핑이란 새로운 이동식 관광 자원 홍보로 관광객들이 우리 기장군을 더 많이 방문하길 기대한다"며 "군 관광 자원의 효율적인 홍보를 위해 다각적인 방안을 꾸준히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2025-01-03 20:00:07 이도식 기자
기사사진
부산 사상구, 미취업 청년 자격시험 응시료 지원 3배 확대

부산 사상구는 지역 내 미취업 청년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취업 준비를 돕기 위해 올해부터 '미취업 청년 자격시험 응시료 지원 사업' 예산을 3배로 대폭 확대 편성했다. 지원 대상 시험은 ▲어학 능력 시험 ▲국가 기술 자격시험 등 약 800종이며, 2025년 진행된 자격 시험에 응시한 경우 1인당 연 1회 최대 10만원 내 실비를 지원한다. 응시료 지원 대상은 신청일 기준 사상구에 1년 이상 주민 등록이 돼 있는 19세 이상 39세 이하 미취업·미창업 청년으로 사업자 등록이 없고 미취업 상태인 청년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특히 올해는 더 많은 청년이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전년 대비 예산을 3배로 대폭 확대 편성했으며 지원 시기도 전년 3월보다 빠른 1월부터 시작해 연말까지 지원 예정이다. 다만 예산 소진 시 사업이 조기 종료될 수 있다. 한편, 사상구는 2024년 '미취업 청년 자격 시험 응시료 지원 사업'을 시작해 140여 명의 청년에게 1000만원을 지원했다. 또 ▲청년 면접 컨설팅 '면접 A to Z' 사업 ▲'새싹 창업 교육' 사업 ▲청년 창업 기업 성장 모멘텀 지원 사업 등 다양한 방식으로 청년 취업 활동을 돕고 있다. 조병길 사상 구청장은 "지역 청년들이 자격증 응시료 걱정 없이 꿈을 향해 매진할 수 있도록 사업비를 대폭 확대했다"며 "앞으로도 청년들을 위한 맞춤형 정책을 통해 청년들의 꿈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자세한 사항은 사상구청 미래 청년 기획단으로 문의해 확인할 수 있다.

2025-01-03 19:59:03 이도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