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의료원, '골반재활치료실'...골반건강에 특화된 물리치료 선보여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이 골반저 기능장애를 치료하고 나아가 골반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전략을 환자 개인 맞춤형으로 제시한다. '골반저 기능장애'는 여성의 골반에 위치한 골반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하거나 수축하는 증상으로, 허벅지 주위에 찌르는 듯한 통증과 압박감은 물론, 욱씬거리는 증상이 함께 나타난다. 요실금, 골반장기탈출증, 만성골반통증 등을 통해 골반저 기능장애를 호소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각종 비뇨기계 수술 후 재활과정에서는 환자의 골반저 기능에 특화된 재활이 필요하다. 이화의료원은 지난 9월 국내 대학병원 최초로 이대서울병원이 '골반재활치료실'을 열었다고 9일 밝혔다. 이번에 이대서울병원이 선보이는 '골반재활치료실'의 특징은 골반저 물리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골반저 물리치료는 방광, 자궁, 질, 직장 등 주요 장기를 떠받치고 있는 해먹 모양의 골반저근육을 강화시키거나 이완해 준다. 나아가 체간의 움직임을 개선하고 요실금 등 하부 요로계 증상을 치료한다. 아울러 미국 물리치료사협회에서 주관하는 골반건강물리치료 교육과 산전산후 물리치료교육을 수료한 물리치료사팀의 골반저기능부전에 대한 전문 물리치료도 있다. 골반저 물리치료는 40년 이상 적용돼 온 치료법으로 미국, 유럽, 호주, 캐나다 등에서 주로 연구하고 있다. 요실금, 골반장기탈출증 치료에서 초기 1단계 진료 지침으로 제시될 만큼 효과가 입증됐고 치료의 부작용 또한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윤하나 이대서울병원 비뇨의학과 교수는 "이대서울병원의 '골반재활치료실'을 통해 선진국의 치료체계를 국내 비뇨의학 분야의 실정에 맞게 도입하기 위한 기준점을 제시하겠다"며 "국내 최초로 도입한 비뇨심리통증척도 검사와 함께 잘 치료되지 않는 비뇨기계 만성 기능 이상의 원인을 면밀히 감별하고 최적의 진단과 치료를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청하기자 mlee236@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