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코로나19 위험도 '매우 높음'..방역조치 강화 필요하다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 3주차, 수도권의 코로나19 위험도가 가장 높은 수준인 '매우 높음'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도 '높음' 상황이어서 방역 조치 강화 필요성이 높아졌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2일 11월 3주차(14~20일)의 코로나19 주간 위험도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정부는 매주 코로나19 위험도를 수도권의 병상 가동률, 확진자 증가세, 감염재생산지수 등을 고려해 5단계로 평가한다. 이번 결과에 따르면 3주차 전국은 높음, 수도권은 매우높음, 비수도권은 중간으로 평가했다. 정부 발표에 따르면 지난 주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은 주간 평균 62.6%이며, 수도권은 77%로 악화됐다. 수도권의 경우 69.5%에서 77%로, 비수도권은 34.9%에서 40.1%로 높아졌다. 수도권에서 의료 대응 역량 대비 발생 비율이 55.2%에서 70.1%로, 감염병 전담병원 병상 가동률은 75.8%에서 76.5%로 증가했다. 비수도권 의료 대응 역량 대비 발생비율은 24.3%에서 29.5%로, 병상 가동률도 44.5%에서 48.8%로 높아지고 있다. 방역망 내 관리 비율도 35%로 지속 낮아지고 있다. 방역망 내 관리 비율은 신규 확진자 중 자가 격리 상태에서 확진된 비율로, 지역사회 감염 노출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일주일간 하루 평균 확진자 수는 2172명에서 2733명으로 늘었고, 주간 사망자 수도 127명에서 161명으로 늘었다. 특히, 지난 4주간 60세 이상 확진자 비율은 24.5%→29.6%→32.6%→35.7%로 지속 증가하며 지난 달 마지막 주보다 2배 이상 늘었다. 60세 이상 추가접종률(부스터샷)도 7.5%로 여전히 낮은 상황이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수도권 중환자실 병상 여력은 거의 없는 상황이며 확진자 수, 감염재생산지수 등 방역 선행 지표가 악화되고 있어 전국적으로 병상 여력은 당분간 악화될 전망"이라며 "방역지표가 매우 빠른 속도로 악화되는 상황을 고려해 현 시점부터 방역 조치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방역당국은 핵심지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병상 회전율 제고, 추가 병상 확보 등 의료대응역량 확보를 위한 전 방위 대책도 지속 추진하며, 중대본 중심으로 필요한 조치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세경기자 seilee@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