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거리두기 2단계 플러스 알파 택했다..경제적 타격 최소화
정부가 수도권 지역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를 2단계로 유지하기로 했다. 다만, 집단감염 발생 위험도가 높은 사우나와 한증막, 실내체육시설 등의 운영은 중단하는 방안을 추가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지난 한주간 일 평균 400명을 넘어서면서 거리두기 조치 2.5단계 격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았지만, 정부는 사회·경제 활동 제약을 최소화하기 위해 격상 대신 '정밀방역'을 택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코로나19의 급격한 확산세를 억제하기 위해 오는 12월 1일부터 전국의 '사회적 거리두기'가 1.5단계로 격상된다. 특히 7개 권역 가운데 감염이 심각한 부산, 강원 영서, 경남, 충남, 전북 등은 2단계 상향조정이 추진된다. ◆2단계 플러스 알파(α) 택했다 정부는 2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결과, 수도권 내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를 2단계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다만, 집단감염 발생 위험도가 높은 사우나와 한증막 시설 운영을 금지하고, 줌바댄스, 스피닝, 에어로빅 등 실내체육시설 역시 추가로 집합 금지 조치를 시행하기로 했다. 아파트내 헬스장과 사우나, 카페 독서실 등 복합편의시설 운영도 중단된다. 정부는 이와 함께 호텔 파티룸, 게스트하우스 등에서 열리는 연말연시 행사와 파티도 전면 금지하기로 했다. 관악기와 노래 등 비말 발생 가능성이 높은 학원과 교습소 강습도 금지된다. 단, 대학입시 준비생의 경우 방역을 철저히 한다는 조건 아래 금지 대상에서 제외된다. 정 총리는 "국민의 일상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면서도 방역효과를 다 거두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며 "2단계는 유지하되 플러스 알파 조치를 추가하는 '정밀방역'의 형태를 결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비수도권 지역의 경우 거리두기 조치를 1.5단계로 상향조정 된다. 다만, 위험도가 높다고 판단되면 지방자치단체의 판단 아래 2단계 격상도 가능해진다. 정부는 위험도가 높은 지역으로 전라북도, 경상남도와 강원도를 꼽았다. ◆확진자 2.5단계 기준 충족 하지만 현재 일일 신규 확진자수 증가세가 2.5단계 격상 범위에 들어오면서, 더욱 강한 거리두기 조치가 필요한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450명 늘어났다. 전일 대비 53명 줄어들며 500명대를 넘어서던 확진자 증가세는 나흘 만에 400명대로 다시 감소했다. 하지만 방역당국은 주말 검사 건수가 줄어든 영향일 뿐 확산세가 꺾였다고 단정할 수 없다고 평가했다. 지역발생 확진자수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날 지역발생 확진자수는 413명으로 이틀 연속 400명대를 넘어섰다. 최근 일주일간 하루 평균 신규 확진자 수는 441.7명, 이 중 지역발생 확진자는 400.1명으로 집계되면서 2.5단계 격상 기준을 충족했다. 특히 수도권 지역 최근 1주간 일일 평균 확진자 수는 279.4명으로, 전체 63%를 차지하고 있다. /이세경기자 seilee@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