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이식 대기중 사망자 하루 5.2명..8년새 배로 늘어
국내 장기이식을 기다리다 숨지는 환자가 하루 5.2명꼴로, 8년 새 두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뇌사 장기기증자 수는 2016년 이후 해마다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9일 질병관리본부, 한국장기조직기증원 등에 따르면 국내 장기이식 대기 환자는 2010년 1만4595명, 2014년 2만151명, 2018년 3만544명으로 8년 새 2.09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식 대기 중 사망한 환자도 2010년 962명, 2014년 1120명, 2018년 1910명으로 같은 기간에 1.98배 늘었다. 하루 평균 사망자 수로 보면, 2010년 2.63명에서 2018년 5.23명으로 8년 새 2배 가까이 증가한 셈이다. 이는 이식 대기자가 증가하는 만큼 장기기증이 늘지 않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연간 뇌사 장기기증자 수는 2010년 268명에서 2016년 573명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2017년 515명, 2018년 449명으로 2년째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그 사이 연간 장기기증 희망등록도 2010년 20만1359명에서 10만8016명으로 절반 가까이 줄었다. 장기를 이식한다고 해도 일부 장기는 대기시간이 몇 년이나 걸리는 상황이다. 신장이식은 2018년을 기준으로 평균 대기시간이 1955일(약 5년4개월)이나 된다. 또 심장, 간장, 폐도 이식까지 각각 234일, 155일, 116일을 기다려야 한다. 전문가들은 국내에서 장기기증을 활성화하려면 무엇보다 '옵트-아웃(Opt-out)'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옵트 아웃은 뇌사자가 생전에 장기기증 거부 의사를 밝히지 않았다면, 이를 '잠정적 동의'로 추정해 사망 후에 이식용 장기 적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도를 말한다. 스페인, 프랑스 등 유럽 국가 대부분이 옵트-아웃제를 시행 중인 반면 한국은 사망 이전에 별도의 장기기증 동의 의사가 없었으면 사망 후에도 장기기증에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는 '옵트-인(Opt-in)' 제도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또 사전에 장기기증 희망등록을 해놓고도 마지막 단계에서 가족의 반대에 부딪혀 기증에 실패하는 문제를 해결하려면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하는 사회 분위기가 조성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국내에서 장기기증 적합 환자에 대한 가족 동의율은 2014년 52%에서 지난해에는 35% 수준으로 하락했다. 더욱이 가족 중 선순위 동의자가 동의한 이후에 다른 가족이 나서 기증을 철회는 비율도 11.8%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