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외국인환자 38만명..10년간 226만명이 한국 찾았다
지난해 외국인 환자 38만명이 한국을 찾았다. 2009년 외국인환자 유치가 허용된 이후 우리나라를 찾은 외국인 환자는 200만명을 넘어섰다.
보건복지부는 2018년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환자 수는 2017년 32만 1574명 대비 17.8% 증가한 37만 8967명으로 집계됐다고 17일 밝혔다. 지난 10년간 한국을 찾은 외국인 환자는 누적 226만 명으로 10년 만에 200만 명을 넘어섰다.
2017년에 32만명으로 일시 감소했던 외국인환자 수는 지난해 다시 2016년 수준 이상으로 회복돼 2009년 유치 허용 이래 최고 실적을 거뒀다.
지난 한 해 동안 190개국의 외국인환자가 우리나라를 찾았고, 중국-미국-일본-러시아-몽골 순으로 많았다.
중국 11만8310명(31.2%), 미국 4만5213명(11.9%), 일본 4만2563명(11.2%), 러시아 2만7185명(7.2%), 몽골 1만442명(3.7%) 순으로 많았다. 일본·동남아(태국·인도네시아)·우즈베키스탄 환자도 많이 증가했다. 특히 중국인 환자는 전년보다 18.5% 증가해 2017년 사드 영향 이전(2016년 12만7648명) 수준을 회복했다. 일본인 환자는 전년 2만 7283명 대비 56.0% 크게 증가한 4만 2563명이 방문, 전체 국가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반면, 중동국가는 전년보다 4.8% 감소했다. 특히 아랍에미리트(UAE) 환자의 감소폭이 10.3%로 가장 컸다.
진료과목별로는 내과 통합 진료가 약 9만명으로 전체의 19.4%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성형외과(14.4%), 피부과(13.7%), 검진센터(8.9%), 산부인과(5.3%) 등 순이었다.
전년보다 피부과(47.0%), 성형외과(37.1%), 산부인과(21.5%), 일반외과(14.0%), 내과 통합(11.8%), 한방통합(8.5%) 순으로 늘었고, 치과(-6.2%)와 안과(-4.1%)는 다소 줄었다.
의료기관 종별로는 의원을 찾은 외국인 환자가 37.5%로 가장 많았고, 종합병원(25.0%), 상급종합병원(21.3%), 병원(10.2%)이 그 뒤를 이었다.
보건복지부는 그동안 외국인환자 유치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하여 유치기관에 대한 질 관리와 시장안정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을 통해 외국인환자 유치를 견인해 왔다.
유치기관 등록·의료사고배상책임보험 가입 의무화 등 관련 제도 마련해 외국인환자의 권익과 안전을 강화하고, 한국 의료기관을 믿고 찾을 수 있도록 유치 기관 관리를 강화했다.
보건복지부 김혜선 해외의료사업지원관은 "신남방·신북방 국가에 대한 보건의료 협력 강화를 통해 동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국가 등을 대상으로 외국인환자 유치시장의 폭을 더욱 넓혀 나갈 것"이라며 "외국인환자 유치활동과 연계해 의료서비스, 제약, 의료기기 등의 의료 해외진출 시장도 함께 개척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