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건강검진률 크게 낮아..진료비 부담은 3배
장애인 건강검진 수검률이 비장애인에 비해 크게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장애인의 진료비 부담은 전체 국민보다 3배 이상 높았다. 24일 보건복지부와 국립재활원은 '2016년 장애와 건강통계' 자료집을 발간했다. 자료집에 따르면 2016년 장애인 건강검진 수검률은 64.8%로 비장애인 74.1%보다 12.9%포인트 낮다. 중증장애인의 경우 54%로 전체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장애유형 중 신장장애의 일반건강검진 수검률이 43.4%로 가장 낮고, 정신·뇌병변장애(46.1%) 순, 수검률이 가장 높은 유형은 자폐성장애(75.6%), 안면장애(71.4%), 지체장(70.2%)로 최저와 최대의 차이가 32.2%포인트로 격차가 컸다. 장애유형별 등급별 수검률은 자폐성 2급(78.3%), 지체 5급(72.1%), 자폐성 1급(70.7%) 순으로 높고, 뇌병변(27.0%), 장루·요루(33.3%), 신장(36.1%) 순으로 낮았다. 2016년 장애인의 생애전환기 건강진단 수검률은 69.3%로 비장애인보다 6.2%포인트 낮고, 중증장애인(56.5%)은 비장애인에 비해 19.0%포인트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40세 생애전환기 건강진단의 장애인 수검률은 62.8%, 66세 생애전환기 건강진단 장애인 수검률은 71.7%, 비장애인 76.5%로 4.8%포인트 낮았다. 건강검진과 암검진 결과도 장애인의 건강상태가 비장애인보다 나쁜 것으로 조사됐다. 일반건강검진 결과를 보면 질환 의심이 없는 정상 판정 비율은 장애인의 경우 24.1%에 그쳐 비장애인(42.5%)보다 크게 낮았다. 유질환비율(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폐결핵으로 판정받고 현재 약물치료를 하는 경우)은 40.9%로 비장애인(20%)의 2배 이상이었다. 암검진 결과를 보면 장애인의 위암 위험(위암의심, 위암)은 비장애인보다 2배 높았다. 장애인의 위암검진 판정결과를 보면 정상 16.1%, 양성질환 75.8%, 위암의심 0.2%, 위암 0.2%였다. 반면 비장애인의 경우 정상 13.6%, 양성질환 79.0%, 위암의심 0.1%, 위암 0.1% 등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의 의료비 부담은 비장애인보다 컸다. 2016년 등록된 장애인은 우리나라 인구의 약 5% 수준이지만, 총 진료비는 약 11조2402억원으로 국민 전체(71조9220억원)의 15.6%를 차지했다.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진료비는 약 479만원으로 국민 1인당 진료비(146만원)보다 3.3배 높은 수준이다. 특히 고령 장애인의 총 진료비는 6조원으로 전체 장애인 진료비의 53.8%를 차지했다. 고령 장애인의 1인당 연평균 진료비는 약 586만원으로 노인의 1인당 진료비(396만원)보다 1.5배 높았다. 장애인의 사망률도 전체 인구의 사망률보다 5배 넘게 높았다. 장애인의 조사망률(10만명 당 사망률)은 2천813명으로 전체 인구의 조사망률 549.4명의 5.1배였다. 특히 어린 나이에서 사망률 차이가 컸다. 10대 미만 장애인의 연령별 조사망률은 전체 인구의 조사망률보다 13.5배, 10대 18.3, 20대 9.5배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