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히트상품스토리] 엄마의 손맛 35년 해태 고향만두
해태제과의 '고향만두'는 전국 만두시대를 개막한 원조 냉동만두다. 1987년 출시돼 오늘날까지 소비자들에게 사랑받고 있는 최장수 만두 브랜드다. '고향만두'가 출시되기 전에도 삼포식품, 천일식품 등 몇몇 업체에서 냉동 만두를 생산하고 있었으나 일반 소비자들에게 냉동만두가 대중적으로 팔리게 된 것은 1980년대 후반 고향만두가 대히트한 이후부터다. ◆'냉동만두' 대중화 포문 88올림픽을 앞두고 국내 생활 수준 급격히 향상될 당시 냉장고 보급률이 늘면서 가정에서도 냉동만두를 보관해 먹을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됐다. 이에 해태제과는 냉동만두를 개발했다. 만두는 이전까지 명절 같은 특별한 날에나 맛볼 수 있는 별식으로 통했다. '고향만두' 출시 첫 해 매출은 200억원을 기록하는 등 큰 인기를 구가했다. 어머니 손맛을 연상시키는 '고향만두'라는 브랜드 이미지는 인기에 한 몫을 차지했다. 소비자 인기에 출시 후 현재까지 '고향만두' 누적매출은 약 1조7000억원이며, 연매출 600억대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해태제과는 1987년 국내 최초로 대규모 자동화 설비를 도입했다. 대규모 투자로 냉동만두 대량생산 체제를 구축한 것. 만두소 배합기와 자동성형기 도입으로 손으로 빚은 것과 동일한 모양과 맛을 구현할 수 있었다. 당시 구축한 생산방식은 현재까지 업계 표준방식으로 통하고 있다. 당시 1봉지(30개) 가격은 1200원으로 4인가족 한끼 식사로 충분하다는 평을 받았다. ◆시장 규모 확대에 힘써 '고향만두'가 출시된 후 소규모 제조사의 저품질 제품들이 시장에 난립하자 이듬해 해태제과는 핵심기밀인 제품 배합비를 전격 공개했다. 단, 만두피 제조법은 고향만두 전용피 노하우로 공개하지 않았다. 이러한 제품 배합비 공개는 갓 태동한 냉동 만두시장을 키우고 만두에 대한 국민적 신뢰를 쌓기 위한 해태제과의 결단이었다. 높은 품질의 경쟁제품이 늘수록 시장도 커질 것이라는 믿음과 자신감이 있었기 때문이다. '고향만두'의 핵심은 20가지 만두소 원재료 배합비와 최적의 수분함량이다. 급속냉동, 냉동유통, 해동, 조리과정을 거쳐도 갓 빚은 만두 모양과 맛을 유지하는 제조 노하우가 여기에 있다. 제품 배합비 공개 이후 제일냉동(1988), 롯데햄우유(1988), 대상(1990) 등이 시장에 진출했고, 1년만에 냉동 만두시장 규모는 2배로 커졌다. '고향만두'의 생산량은 하루 150만개에서 250만개로 증가했다. 1987년 100억원 규모이던 냉동만두 시장은 1997년 1000억원에 달하는 등 10년동안 10배 이상 커졌다. 2010년대까지 30년 가량을 국내 냉동만두의 대명사격인 제품으로서 시장에서 독보적인 지위를 차지했다. ◆친숙한 브랜드 '고향만두' 해태제과는 출시 당시 '만두' 관련 소비자 인식조사를 실시했고, 그 결과 가장 많은 키워드로 언급된 단어가 '시골' '엄마'로 드러나자 이를 바탕으로 브랜드 네이밍 사내 공모를 진행했다. 임직원 투표와 소비자 조사 통해 선정된 최종 후보는 '엄마손만두'와 '고향만두'였다. 이중 부르기 쉽고, 친숙하게 기억되는 '고향만두'로 브랜드명이 최종 선정됐다. 고향만두 패키지 디자인은 우리 민족 전통의 색동저고리에서 착안했다. 멀리서도 한눈에 알아볼 수 있고, 전통적인 칼라여서 더 친근한 느낌이라는 평이다. 지금도 30년이 넘도록 브랜드를 유지하고 있고 패키지 디자인도 변화는 약간씩 있었지만 녹색과 적색을 기본으로 하는 베이스는 바꾸지 않은 것만으로도 이 제품이 여전히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만두피에 진심 해태제과는 국내 최초 냉동만두 전용 밀가루를 개발하기도 했다. 만두피에 적합한 가장 이상적인 밀가루(강력분, 중력분, 박력분) 비율을 연구 개발해 다양한 조리에도 탄성과 수분을 유지할 수 있게 했다. 축적된 만두피 노하우를 바탕으로 현재 가장 얇은 만두피(0.65㎜)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시대에 따라 만두피도 진화했다. 양(量)이 미덕이던 시절(80~90년대)에는 1㎜의 도톰한 피로 제작했고,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조리법과 내용물, 모양에 따라 각각 다른 피를 사용했다. 현재는 식감을 자극하는 얇은 피로 만두를 만들고 있다. 찰감자전분을 사용해 탄력 있으면서 가장 얇고 투명한 만두피를 개발했다. 최고급 국내산 원재료를 사용한 고향만두 수(秀)(2007), 고향만두 궁(宮)(2008), 고향만두 순%(2014), 소담(2019), 고향만두 명가(2021) 등을 선보이며 만두의 프리미엄화를 선도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전통 만두에서 탈피한 모양과 맛을 자랑하는 '콘치즈톡톡', '토마토톡톡', '날개달린교자', '아이비카나페'와 요리만두 시리즈 '불낙교자', '깐풍교자', '치즈갈비교자', '지짐교자', '면교자' 등을 선보이는 등 소비자 선택지를 넓혔다. /신원선기자 tree6834@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