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값 인상에 일회용컵 보증금까지…새해 다짐은 커피 끊기?
국제시장 커피 원두 가격 급등으로 스타벅스가 일부 음료 가격 인상을 하루 앞둔 12일 오후 서울 시내 스타벅스 매장 앞으로 한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뉴시스 "'한 잔의 여유'가 '한 잔의 부담'이 되어 버렸네요. 아침에 커피를 사들고 출근하는 게 일상인데 계산해보니 한 달에 나가는 커피값만 10만원 가까이 되더라고요. 최근에 가격이 오르기도 했고 일회용컵 보증금도 지불해야 한다니 끊지는 못하더라도 줄이려는 노력은 해야할 것 같아요."(직장인 A 씨) 스타벅스를 시작으로 국내 주요 커피 프랜차이즈들이 줄줄이 가격을 인상한 가운데, 오는 6월부터는 일회용 컵 보증금까지 지불해야 한다고 전해져 소비자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투썸플레이스·할리스·탐앤탐스는 오는 27일부터 가격 인상을 단행한다. 투썸플레이스와 할리스는 최대 400원, 탐앤탐스는 최대 800원 인상한다. 투썸플레이스는 전체 54종 커피·음료 중 21종의 가격을 100~400원 올린다고 발표했다. 2012년 8월 이후 9년 5개월 만이다. 아메리카노와 카페라떼는 400원, 카라멜 마키아또 300원, 프라페 200원, 쉐이크 100원씩 가격을 올린다. 할리스는 2014년 이후 약 8년만에 가격 조정을 단행했다. 커피류는 400원, 할라치노는 200원, 그 외 주스 등 음료는 각각 100원씩 인상한다. 원두 가격과 국제 물류비, 인건비, 임대료 등 운영 비용 압박에 가격 인상을 결정했다고 업계는 입을 모은다. 탐앤탐스도 음료와 베이커리·디저트류 메뉴 총 44종의 가격을 100~800원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에스프레소류 음료는 300원씩 인상된다. 기타 탐앤치노와 티, 스무디 등 음료류 일부는 100~300원, 프레즐·브레드 등 베이커리와 디저트류 일부는 500~800원씩 인상된다. 지난 13일 스타벅스가 일부 제품의 가격을 인상한 가운데 투썸플레이스 및 할리스 등 유명 프랜차이즈 커피 전문점들도 잇따라 27일부터 가격을 인상한다고 밝혔다. 투썸플에이스는 2012년 8월 이후 9년 5개월 만에, 할리스커피는 2014년 이후 약 8년 만의 가격 조정이다. 사진은 25일 오후 서울 강남구 할래스 매장 모습/뉴시스 앞서 지난 13일 업계 1위인 스타벅스가 커피 가격을 올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커피 프랜차이즈들의 가격 인상이 현실화되자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저가 커피 전문점들도 가격을 인상할 것이라는 우려를 내놓고 있다. 실제로 메가커피, 컴포즈커피, 빽다방, 더벤티 등 국내 4대 저가 커피브랜드는 커피 가격 인상 여부를 두고 시장 상황을 지켜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저가 브랜드들의 고민이 상당한 것으로 알고 있다. 가격을 올리자니 소비자들의 반발심이 우려되고, 가격을 동결하자니 원재료 값이 부담될 것"이라고 말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오는 6월부터는 일회용 컵 보증금 제도가 도입된다. 환경부는 6월 10일부터 대형 프랜차이즈 카페와 패스트푸드 매장에서 플라스틱컵과 종이컵 등 일회용 컵에 음료를 담아 구매하면 '자원순환보증금' 300원을 내야하는 제도를 도입한다고 예고했다. 보증금은 컵을 반환하면서 매장에서 현금으로 돌려받거나 금융 계좌로 받을 수 있다. 보증금제 도입 대상은 매장 수가 100개 이상인 커피, 음료, 제과제빵, 패스트푸드 사업자다. 스타벅스, 파리바게뜨, 롯데리아 등 대형 프랜차이즈 매장 약 3만8000곳에서 해당 제도가 적용된다. 보증금은 구입처뿐 아니라 보증금제가 시행되는 매장 어디에서나 돌려받을 수 있다. 각 매장 내 반환기기에서 컵에 새겨진 바코드를 인식하면 현금이나 계좌이체 중 원하는 방식으로 환급된다. 재활용률을 높여 환경 문제를 타개하자는 취지다. 하지만 이를 두고 가맹점 업주와 소비자들의 시선은 곱지않다. 업주들은 '제품을 판매한 업체가 아닌, 다른 곳에 1회용컵 반납을 해도 된다'는 내용이 현실에 맞지 않는다고 지적하고 있다. 한 프랜차이즈 가맹점주는 "타 매장에서 음료를 구입한 뒤 지저분하게 사용한 일회용컵을 내 매장에서 처리해야 한다면 거기에 소비되는 수도세와 세제값, 인건비는 누가 부담하느냐"며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 위치한 가게는 보증금 반환컵이 쌓여 일회용컵만 세척하는 인력이 따로 필요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자신의 매장에서 판매하지 않은 일회용컵 회수가 영업에 지장을 줄 수 있다는 것. 소비자들 역시 개인 컵 사용자에게 할인해주는 정책을 도입하지는 않고, 보증금을 더 거둘 궁리만 한다고 환경부가 내놓은 보증금 제도를 꼬집었다. /신원선기자 tree6834@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