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車 업계, '반도체 직격탄' 10월 판매량 '뚝'…르노삼성 수출 덕분에 증가세
국내 완성차 로고. 국내 완성차 업계가 자동차 반도체 공급 부족의 직격탄을 맞았다. 일부 완성차 업체는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반토막'으로 감소하는 등 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 10월 전년 동기 대비 20.7% 감소한 30만 7039대를 판매했다. 내수는 5만 7813대, 해외는 24만 9226대로 각각 12.0%, 22.5% 감소했다. 내수 시장에서 세단과 SUV는 비슷한 수준으로 판매됐다. 세단은 그랜저 9448대 , 쏘나타 6136대, 아반떼 3368대 등 총 1만 8978대가 팔렸다. 레크리에이션차량(RV)는 팰리세이드 2582대, 싼타페 3494대, 투싼 2911대, 아이오닉5 3783대, 캐스퍼 2506대 등 총 1만 8194대가 팔렸다.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는 G80 6119대, GV70 2892대, GV80 1828대 등 총 1만 1528대가 팔렸다. 기아는 같은 기간 글로벌 시장에서 내수 3만 7837대, 해외 18만 35대 등 전년 동기 대비 18.9% 감소한 21만 7872대를 판매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내수는 21.2%, 해외는 18.4% 감소한 수치다. 차종별 실적은 스포티지가 3만 174대로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판매됐으며 셀토스가 2만 7468대, K3(포르테)가 1만 6627대로 뒤를 이었다. 쌍용차는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 현상으로 글로벌 4779대 판매하며 전년 동기 대비 53.1% 감소했다. 현재 쌍용차는 반도체 공급 부족 현상이 장기화 되면서 내수 및 수출 포함 적체 물량만 1만 2000대에 달하는 등 적체 현상이 확대되고 있다. 한국지엠은 국내외 시장에서 전년 대비 78% 이상 줄어든 총 6875대를 판매하는데 그쳤다. 내수와 수출 판매량은 2493대, 4382대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4.7%, 82% 줄어들었다. 쉐보레 스파크가 10월 내수 시장에서 총 1074대 판매된 가운데, 쉐보레 트래버스는 같은 기간 총 310대 판매돼 전년 동월 301대 대비 3.0% 증가세를 기록했다. 쉐보레 트래버스는 압도적인 차체 사이즈와 동급 최고 수준의 동력 성능으로 대형 SUV 시장에서 다시 한 번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또 지난 9월 총 255대가 신규 등록되며 3개월 연속 국내 수입 대형 SUV 시장 내 1위를 달성한 바 있다. 반면 르노삼성은 국내 완성차 업체 중 유일하게 증가세를 기록했다. 르노삼성은 국내 5002대, 수출 6625대 등 전년 동기 대비 54.3% 증가한 1만1627대를 판매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내수 판매는 30% 감소했으나, 수출은 1590.1% 증가한 수치다. 10월 전체 판매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한 차량은 XM3다. 내수 792대, 수출 4819대를 더해 총 5611대가 판매됐다. 지난달 대비 46.9% 줄었지만 여전히 해외서 인기를 얻으며 10월 판매 실적을 견인했다. 글로벌 자동차용 반도체 부품 수급 문제가 해소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그동안 수출 차량에 한해 공급이 안정됐지만 향후에는 국내 판매용 물량도 안정될 전망이다. 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자동차 반도체 부품 수급 차질과 코로나19 영향으로 경영 불확실적이 지속되고 있다"며 "생산 일정 조정을 통해 공급 지연을 최소화하는데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