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어벤져스2' 촬영 장소·일정 빼고 모두 극비리 추진…스칼렛 요한슨 방한도 비밀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한국 촬영이 극비리에 추진돼 눈길을 끈다. 제작사인 마블 스튜디오와 국내 배급사인 한국소니픽쳐스릴리징브에나비스타 측은 국내 촬영 계획과 일정만 18일 밝혔을 뿐 촬영 직전까지도 배우들의 방한, 엑스트라 참여 등 대다수를 비밀에 부쳐 궁금증을 자아내고 있다. 이로 인해 영화를 둘러싸고 각종 추측들만 난무하는 상황이다. 국내 촬영에는 현재로선 크리스 에반슨과 스칼렛 요한슨이 참여한다는 추측만 있다. 한국 여배우인 수현 역시 참여한다는 사실만 알려졌을 뿐 어떤 역할을 맡았는지 전혀 알려지지 않았다. 이같은 마블 스튜디오의 입장 속에서 인터넷에는 국내 촬영 엑스트라 모집 공고를 사칭하는 글이 올라와 영화팬들을 혼란스럽게 하기도 했다. '어벤져스 2' 국내 홍보사 측은 "마블 스튜디오 측은 매번 영화와 관련된 부분은 공식적으로 밝히지 않는다는 입장을 고수해 왔다. 촬영도 해외 스태프들이 직접 와서 할 예정이라 국내 스태프들에게도 상세한 내용을 공유하지 않는다"면서 "할리우드 스타들이 온다는 것만 정해졌을 뿐 누가 오는지는 밝히지 않았다"고 밝혔다. 한편 '어벤져스 2'는 2012년 개봉 당시 전세계에 흥행 돌풍을 일으킨 '어벤져스'의 속편으로 국내에는 내년 4월 개봉된다.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크리스 햄스워스·마크 러팔로·크리스 에반스·스칼렛 요한슨 등 1편에 출연한 할리우드 스타들이 총출동 한다. 한국 촬영은 오는 30일부터 4월13일까지 서울 마포대교·청담대교·새빛둥둥섬·상암동DMC·한강뚝섬공원·강남사거리 등에서 진행된다.

2014-03-18 17:48:58 탁진현 기자
기사사진
'개인정보 보호 소홀 혐의' KT 보안팀장 입건(종합)

KT 해킹 사건과 관련, KT 보안담당팀장이 개인정보 보호를 소홀히 한 혐의로 불구속 입건됐다. 인천경찰청 광역수사대는 18일 KT 개인정보 보안팀장 이모(47)씨를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등에 관한 법률위반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다고 밝혔다. 이씨는 지난해 2월부터 최근 1년간 해커 김모(29·구속)씨가 KT 홈페이지를 수시로 드나들며 해킹해 1200만 명의 개인정보를 탈취했는데도 막지 못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은 KT의 이용자 인증방식이 '쿠키' 방식으로, '세션' 방식을 적용하는 타 업체보다 개인정보 보호조치가 미흡했던 사실을 확인하고 이씨를 입건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지난 10일 이씨를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 조사한데 이어 이날 오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 추가 조사를 벌였다. 경찰은 이씨 외에 KT의 개인정보 관리자들을 추가로 입건할지는 추후 조사를 벌여 결정할 방침이다. 경찰의 한 관계자는 "현행법에 따르면 개인정보 취급자는 개인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필요한 조치를 다하지 않았을 때 처벌할 수 있도록 돼 있다"며 "관계기관과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 KT가 개인정보 보호에 소홀했다는 점이 인정돼 관련자를 입건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해커 김씨 일당은 최근 1년간 '파로스 프로그램'을 이용한 신종 해킹 프로그램을 개발, KT 홈페이지 가입고객 1600만 명 중 1200만 명의 고객정보를 탈취해 휴대전화 개통·판매 영업에 활용했다. 이들은 주로 약정기간이 끝나가는 고객에게 전화를 걸어 시세보다 싼 가격에 휴대전화를 살 수 있다고 현혹해 최근 1년간 1만1000여 대의 휴대전화를 판매, 115억원의 매출을 거둔 것으로 조사됐다.

2014-03-18 17:34:20 안용기 기자
기사사진
통신 트렌드 '사물 인터넷' 기업 성장 동력 대두

통신 업계에서 사물인터넷(loT)이 최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사물인터넷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사물과 사물 사이를 연결해 소통하고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다. 앞서 지난 1월 미국에서 열린 세계 최대 전자박람회 CES와 2월 스페인에서 열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에서 사물인터넷을 정보통신 업계 핵심 성장 동력으로 소개하기도 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통신 3사가 사물인터넷으로 사업 영역을 넓히고 있다.통신 3사의 사물인터넷 가입자는 2011년부터 매년 10만명 이상씩 증가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이날 서울 을지로 본사에서 사물인터넷의 글로벌 차원 논의와 협력을 위한 '국제 IoT 포럼'을 개최했다. 당초 이 행사는 국내 중소·벤처기업들을 대상으로 추진됐으나 높은 관심 속에 퀄컴, 시스코, ARM 등의 해외 유수 기업이 참여하는 국제 포럼으로 열리게 됐다. KT는 사물통신을 활용해 건물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사업 솔루션을 선보였다. 사물 간 통신 기술을 활용해 전력 소비량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 기술은 전국 KT 건물에 적용되고 있으며 타 사업장으로도 확산되고 있다. 사물인터넷은 중소기업의 신 경쟁력으로도 떠올랐다. LG유플러스의 'LTE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는 최근 사물인터넷 분야 이용건수 누적 4000건을 넘어섰다. 이 센터 프로그램에 참여한 기업 솔루션아이티·에스엔브이는 LTE 망을 이용해 재고 파악은 물론 오류확인, 상품 매출 증대까지 꾀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자판기 사업화를 진행하고 있다. 태양광 압축 쓰레기통을 개발·운영하는 이큐브랩의 권순범 대표는 "무선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번거로운 선 없이도 기계를 작동하고 운영할 수 있다는 인식이 널리 퍼졌다"면서 "사물 인터넷 시장은 앞으로 더욱 확산될 것"이라고 말했다. 쓰레기통이 쓰레기 부피를 인식해 태양광으로 자동 압축하는 제품을 개발한 그는 지난 여름 해외 최대 통신 기업 보다폰과 손잡았다. 사물 인터넷 기술이 없었다면 태양광 쓰레기통은 청년 벤처의 아이디어로만 남았을지 모른다. 권 대표는 "보다폰에서 중소기업용 맞춤 요금제를 신설한 점이 도움이 되었다"면서 "사물 인터넷 성장을 위해 기업 유형과 규모에 따른 다양한 요금제 마련 및 보안 프로그램 강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2014-03-18 17:23:47 장윤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