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가구 3월중 전국 1000만개·서울 200만개 진입
국내 1인가구 수가 올해 3월 역대 처음으로 1000만 선을 넘어설 전망이다. 서울지역 1인가구 수는 이달 내 200만 진입이 확정적이다. 지난 10년간 홀로 거주하는 사람 수는 전국적으로 300만 명 이상, 서울에만 50만 명 가까이 늘어났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현상에 대해 비혼 청년층 및 고령층이 가파르게 늘어난 영향이라며, 증가세가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측한다. 또 작년 기준 1인가구의 소득·자산은 전체 가구 평균의 40% 수준이라는 통계치가 나온 바 있다. 사회적 비용 부담에 대한 우려가 점차 커지고 있다. 10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전국 1인가구(세대) 수는 지난달 말 기준 998만 개로, 전월(994만 명)에 비해 3만8000개 증가했다. 사상 최대를 경신 중이고, 오는 3월 말 집계는 1000만 개를 돌파할 것으로 추산된다. 만약 3월에 못 미치더라도 4월 집계에선 진입 가능성이 매우 짙다. 올해 2월 1인가구는 10년 전인 2014년 2월(690만 개) 대비 308만 개(+44.6%) 늘었다. 1년 전(2023년 2월, 977만 개)에 비해서도 20만3000개 증가했다. 서울지역 내 1인가구 수 역시 가파르게 늘어나는 흐름이다. 작년 2월 196만 개에서 올해 2월 199만 개로 1년간 3만 개 늘었다. 10년 전(151만 개)보다는 무려 48만 개 증가했다. 세부 수치로, 수도 서울에서 혼자 거주하는 사람은 지난달 기준 200만 명에 단 1명 모자란 199만9999명으로 집계됐다. 이와 함께 2인가구 수도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014년 2월 전국과 서울의 2인가구는 각각 418만 개, 81만2000개였다. 10년 후 전국 2인가구는 171만 개 늘어난 589만 개에 달했다. 서울 2인가구는 그간 18만 개 넘게 늘어나 100만 선(100만1000개)을 돌파했다. 지난 10년 동안 전국 3인가구 역시 증가세를 유지(380만→403만)했으나 4인가구는 411만에서 312만으로 100만 개 가까이 줄었다. 5인가구도 114만에서 73만5000개로 41만 개가량 감소했다. 지난해 12월 통계청이 발표한 '2023 통계로 보는 1인가구'에 따르면 작년 1인가구의 연평균 소득은 전체 가구 평균 6762만 원의 45% 수준인 3010만 원에 그쳤다. 자산 역시 2억949만 원으로 전체 가구 평균(5억2727만 원)의 39% 수준이었다. 또 1인가구 가운데 주택소유 비율은 30.9%로, 전체 가구의 주택소유 비율(56.2%)에 한참 뒤졌다. 현대경제연구원이 최근 펴낸 보고서는 1인가구의 주축인 노인인구 부양과 관련한 사회적 비용을 부각했다. 이 보고서는 "전체 인구 규모가 감소하는 가운데 노령인구는 지속해서 증가해, 2024년 사상 최초로 1000만 명을 웃돌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어 "고령층을 부양하기 위한 직·간접적 사회 비용이 시간이 갈수록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