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메트로신문 4월 15일자 한줄뉴스

<산업> ▲프리미엄 TV 시장을 겨냥해 올레드(OLED ·유기발광다이오드)에 집중하고 있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남겨진' 액정표시장치(LCD) 수요를 외면하고 있는 사이, 중국 업체들이 그 공백을 빠르게 흡수하고 있다. 기술 경쟁력을 이유로 고부가가치 전략에 집중한 나머지 수익성이 남아있는 시장을 성급하게 접은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국내 주요 철강사들이 내수 부진과 중국산 저가 철강 공세에 고전하고 있는 가운데 업계의 1분기 실적도 급전직하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계절적 수요 회복과 정부의 반덤핑 조치 등 대내외 변수 개선에 힘입어 2분기에는 분위기 반전을 모색하려는 움직임이 감지된다. <금융·부동산> ▲ 작년 연말 이후 탄핵정국에 이어 조기 대선 날짜가 오는 6월3일로 확정되면서 아파트 공급 절벽이 현실화되고 있다. 탄핵정국으로 올 1분기 분양 물량이 역대급으로 저조한 가운데 대선 불확실성으로 당초 대선 전까지 2만 가구 이상 쏟아내려던 건설사들이 분양을 진행할 지 고심 중이다. ▲ 조기 대선 국면에 접어들면서 4번째 인터넷전문은행 출범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오는 6월3일 대통령 선거 이후 각 부처 장·차관과 공공기관 수장 등이 모두 교체되면 이전 정부가 추진하던 정책들이 폐기될 수 있어서다. 당장 오는 6월 예비인가 심사 결과도 예측하기 어렵다는 우려가 나온다. ▲ 앞으로 불공정거래·불법공매도를 한 사람은 상장사 등 임원으로서 선임과 재임을 최대 5년간 제한한다. 특정 불공정거래 행위에 사용됐다고 의심되는 계좌는 최대 1년간 지급 정지한다. ▲ 지난 2월 기준금리(연 2.75%) 인하 이후 시중은행의 예·적금 금리도 하락하고 있다. 기준금리가 내년 2.25%까지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만큼 만기가 2~3년으로 긴 예·적금 상품에 미리 가입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 조건 없이 연 3%대 금리를 지급하던 저축은행 파킹통장 금리가 모두 2%대로 내려 앉았다. 저축은행 파킹통장은 은행 정기예금상품 수준의 금리혜택과 유동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만큼 '금리 노마드족' 사이에 인기였다. <유통·라이프> ▲식음료업계가 빠른 여름 대비에 나섰다.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이 올해 첫 글로벌 현장경영 행보로 미국을 방문했다. ▲따뜻한 날씨로 야외 활동 수요가 늘면서, 유통업계가 러닝족 겨냥 마케팅에 본격 나서고 있다.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신약개발' 전문 자회사들이 성과를 내고 있다. ▲온라인 플랫폼들이 광고나 인력 중개 등 플랫폼 내에서 이뤄지는 3자 거래에 대한 검증을 소홀히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달의민족 운영사인 우아한형제들이 최근 진행한 사업의 면면을 들여다 보면 소외 계층 지원 프로젝트가 많은 걸 알 수 있다. ▲KT가 삼성전자와 협력해 스팸·스미싱 의심 문자에 '악성 문자로 의심'이라는 문구를 표시하는 '악성 문자 주의 알림' 서비스를 MMS로 확대 적용한다. ▲확장 현실(XR) 공간 컴퓨팅 플랫폼 기업인 딥파인이 오는 24일부터 26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2025 월드 IT 쇼(WIS 2025)'에 참가한다. <자본시장> ▲잇따른 회계 오류로 증권업계의 내부통제와 재무제표 신뢰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내 증권사들이 연이어 외화거래이익 산출 오류로 지난해 사업보고서를 정정하면서 내부통제와 재무제표에 대한 신뢰에 금이 가면서다. ▲코스피가 2400선을 회복하는 등 국내 증시가 최근 일부 반등세를 보이고 있지만, 투자 심리 위축으로 증시 대기성 자금이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자들이 실제 주식을 사고파는 금액뿐 아니라, 투자에 대비해 쌓아둔 자금도 줄어들었다. ▲국제 금값이 트로이온스(약 31.1g)당 3200달러를 넘나들면서 금 가격에 연동한 투자상품 가격도 뛰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예측 불가능한 관세 정책이 글로벌 금융시장에 불안을 키우면서, 안전자산인 금의 가치가 다시 주목받고 있는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2025-04-15 06:00:19 차현정 기자
기사사진
Steel industry forecasts "cloudy" Q1… aiming for a demand rebound in Q2.

Amid sluggish domestic demand and the aggressive push of low-cost Chinese steel products, Korea's major steelmakers are facing tough conditions, and the industry’s Q1 performance is expected to sharply decline. However, with seasonal demand recovery and government anti-dumping measures, there are signs that efforts are being made to turn the tide in Q2.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on the 14th, more than 200 construction companies in China purchased a total of 5.14 million tons of construction steel in March, marking a 23.6% increase from the previous month. The estimated purchase volume for April is projected to reach 5.91 million tons. With the seasonal peak period arriving in most regions of China, construction steel demand is rising, leading to optimistic projections that the oversupply in the local steel market may ease somewhat. Chinese steel companies, which produce around 1 billion tons annually, have been shifting export volumes abroad due to domestic stagnation, leading to a surge of competitively priced Chinese steel products into the Korean market, directly impacting domestic steelmakers. The steel industry is facing a tough business environment ahead of Q1 earnings announcements. Securities firms predict poor results for major steelmakers. Financial data firm F&Guide estimates that the combined operating profit of the three major steel companies for Q1 will decrease by 16% year-on-year, totaling approximately 580 billion won. Hyundai Steel's performance is expected to stand out with a significant decline. Hyundai Steel’s Q1 revenue is expected to be 5.5615 trillion won, with an operating profit of 25 billion won, marking a 96% decline from the same period last year. Industry sources suggest that Hyundai Steel's operating profit could potentially fall into the red due to additional costs from a strike at its Dangjin plant and inventory valuation losses, which could total around 90 billion won. Dongkuk Steel is also expected to report disappointing results. Dongkuk Steel’s Q1 operating profit is expected to be 12.6 billion won, marking an 86% decrease from the same period last year. The primary factors behind the decline include reduced sales of rebar and long steel products due to the prolonged slump in the construction sector. POSCO, among the major steelmakers, is expected to perform relatively well. POSCO Holdings' Q1 operating profit is expected to be 565 billion won, a 3.1% decrease from the same period last year. Compared to other steelmakers, this decline is relatively mild, and considering the previous quarter’s operating profit of 95.4 billion won, there is widespread optimism about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POSCO’s performance. The industry remains hopeful for a recovery in Q2. Hyundai Steel, in particular, is seen as well-positioned for a recovery as it has recently resolved labor disputes, which could help normalize production and meet the expected demand surge in the peak season. Additionally, the Korean government’s decision to impose anti-dumping duties of up to 38% on Chinese hot-rolled steel is expected to create favorable conditions for price increases, which is a positive factor. Domestic steelmakers are also taking measures, such as fully shutting down production of long steel products, to maintain supply-demand balance. An industry insider commented, "Given the increasing market uncertainty due to the U.S.'s aggressive tariff imposition, concerns remain that the rise in steel demand in China could be limited. However, there is cautious optimism that both prices and demand have reached their bottom, and we may see gradual recovery moving forward."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4-14 17:18:31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군위군, 편입 후 첫 대구시 종합 감사…'불필요한 읍·면장 관사 폐지'

대구로 편입된 군위군이 불필요한 예전 읍·면장 관사를 계속 운영하다 대구시 감사에서 지적받았다. 대구시는 최근 '2024년 군위군 종합감사 결과'를 발표하고 군위군에 대해 불필요한 읍·면장 관사 폐지를 권고했다고 14일 밝혔다.. 대구로 편입된지 2년여 만에 처음 실시된 이번 종합 감사에서 군위군은 각종 행사, 자연재해 비상대기 등을 이유로 9개의 읍·면장 관사를 현재까지 유지하다 불필요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대구시는 감사에서 교통과 통신이 발달해 읍·면장만을 위한 관사는 불필요하다며 읍·면 비상근무자들이 쉴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게 우선이라고 밝혔다. 또 읍면장 관사를 없애는 대신 군위에 연고가 없는 대구 거주 하위직 공무원들의 숙박비, 교통비 등 경제적 이중고를 덜어줄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경상북도 11개 군 가운데 청송과 봉화를 제외한 9개 지자체에서는 읍·면장 관사가 운영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대구시는 처분요구서에서 "존치 필요성이 낮은 읍·면장 관사를 매각하여 그 매각대금을 군위 비연고 하위직 공무원들의 관사 마련에 사용"하거나 "비상근무 및 대민 지원업무 등으로 고생한 읍·면 근무 직원들이 취침 및 샤워를 할 수 있는 휴게공간을 읍·면 청사내에 마련하는 재원으로 활용"하라고 권고했다. 한편, 대구시는 2021년 4월부터 2024년까지 4년간 추진된 군위군 업무를 대상으로 시행된 이번 감사에서 시정 19건, 주의 41건 등 61건의 행정상 처분과 2억8천여 만원의 환수처분을 내렸다.

2025-04-14 16:00:45 김강석 기자
기사사진
울진교육지원청, 2025년 학교폭력 책임교사 역량강화 연수 실시

울진교육지원청은 지난 11일 대회의실에서 관내 학교폭력 책임교사들을 대상으로 2025학년도 학교폭력 책임교사 역량강화 연수를 실시 했다. 이번 연수는 학교폭력 예방 및 사안 발생 시의 신속하고 공정한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및 시행령』 개정사항 및 학교별 우수 대응 사례 등을 공유하여 책임교사의 실무 전문성을 제고하고자 마련되었다. 특히 단위 학교의 책임교사들이 실제 현장에서 맞닥뜨리는 다양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현장 중심의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영덕중학교 우재용 교감이 강사로 나서 학교폭력 사안처리 절차 전반과 도박예방교육 등을 주제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사례 중심의 강의를 진행했다. 책임교사들은 실제 사안 처리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절차, 학생 및 학부모와의 소통 방법, 도박과 같은 비행행위의 예방 교육 방향 등에 대해 심도 있게 배우고, 현장에서의 어려움과 고민을 공유하며 전문성을 함양하는 시간을 가졌다. 연수에 앞서 교육지원과장은 참석자들에게 인사를 전하며, "책임교사는 학생 생활지도와 학교폭력 예방의 최일선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번 연수를 통해 사안 처리의 전문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학생과 학부모가 신뢰할 수 있는 교육현장을 만들어가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2025-04-14 16:00:33 손기섭 기자
기사사진
인천 동구의회, 상가 공실 해소 추진...‘상가 의무비율 개선 연구회' 출범

인천 동구의회가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한 본격적인 움직임에 나섰다. 동구의회(의장 유옥분)는 14일 세미나실에서 의원연구단체 '동구 상가 의무비율 개선 연구회' 출범식을 열고 상업 및 준주거시설 내 비주거시설 의무비율 완화를 통한 상가 공실 문제 해소에 나선다. '동구 상가 의무비율 개선 연구회'는 최훈 의원이 대표를 맡고 장수진 의원, 김종호 의원, 윤재실 의원이 참여해 11월까지 연구 활동을 이어간다. 연구회는 ▲동구 상가 공실 현황 실태조사 및 지원정책 분석 ▲우수 사례 벤치마킹 ▲전문가 초청 강연 등을 통해 실질적인 정책 대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날 출범식에는 연구단체 소속 의원들과 함께 인천도시경영연구원의 김남기 대표, 이웅규 교수, 마경남 교수가 참석했다. 행사에서는 이웅규 교수가 '동구 상가 공실률 해결을 위한 통합 지원 방안 연구용역' 착수보고를 통해 연구 방향과 추진 계획을 공유했다. 최훈 의원은 "최근 대형 복합쇼핑몰과 온라인 쇼핑 활성화로 오프라인 상권이 위축되면서 상가 공실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고 지적하며 "동구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연구 활동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2025-04-14 16:00:07 김학철 기자
기사사진
고양시, 은둔 청년·중장년 위한 촘촘한 복지안전망 구축 추진

고양시(시장 이동환)는 지난 11일, 일산서구 6개 동 행정복지센터(주엽2·일산3·송포·가좌·대화·덕이동)와 고양시문촌7종합사회복지관이 '은둔 청년·중장년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각 동 동장과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민간위원장, 복지사각지대 발굴 담당자 및 문촌7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 등 30여 명이 참석해 협력 의지를 다졌다. 이번 협약은 문촌7복지관이 추진하는 '웰빙노마드(Well-being Nomade)' 사업의 일환으로, 은둔가구 발굴과 사회복귀를 위한 복지서비스 연계 강화를 목표로 한다. 특히 외부와 단절된 삶을 살아가는 은둔 청년·중장년을 지역 네트워크를 통해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이들이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일상생활을 회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둔다. 문소원 문촌7복지관 과장은 "대상자 대부분이 집 안에만 머물러 있어 은둔세대 발굴 자체가 매우 어렵다"며 "동 협의체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이들을 찾아내고 자립적 사회 적응을 돕겠다"고 말했다. 고양시는 이미 2024년 은둔형 외톨이에 대한 실태조사를 진행한 바 있으며, 현재 고양연구원을 통해 '은둔형 외톨이 지원 기본계획 수립' 연구도 함께 추진 중이다. 앞으로도 민관 협력을 바탕으로 은둔형 외톨이 발굴과 지원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고양시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은둔 세대를 위한 맞춤형 지원체계를 강화하며, 시민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포용적 복지도시로 나아간다는 방침이다.

2025-04-14 15:41:29 안성기 기자
기사사진
(재)고양국제꽃박람회, 2025 고양국제꽃박람회 ‘캐치! 티니핑’과 함께하는 정원으로 변신

(재)고양국제꽃박람회(이사장 이동환)는 오는 4월 25일부터 열리는 '2025 고양국제꽃박람회'에서 인기 캐릭터 '캐치! 티니핑'을 테마로 한 '알록달록 티니핑 정원'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알록달록 티니핑 정원'은 SAMG엔터테인먼트의 대표 애니메이션 IP '캐치! 티니핑' 속 캐릭터 4종을 대형 화훼 조형물로 구현한 공간으로, 캐릭터 특유의 색감에 맞춘 식물들을 활용해 화려하고 이색적인 정원으로 조성된다. 정원 인근 제1게이트는 '슈팅스타 캐치! 티니핑' 시즌5에 등장하는 '셀레스티얼 캐슬'을 형상화해 관람객을 맞이할 예정이다. 어린이 관람객을 위한 특별 이벤트도 마련된다. 어린이날인 5월 5일에는 티니핑 프린세스 '로미'가 등장해 퍼레이드 및 포토타임을 진행, 어린이들에게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할 계획이다. 이동환 이사장은 "올해 꽃박람회는 아이들과 부모가 함께 공감하고 즐길 수 있도록 '캐치! 티니핑'과의 콜라보를 기획했다"며 "가족 모두가 함께 정원을 거닐며 소중한 추억을 만들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2025 고양국제꽃박람회는 4월 25일부터 5월 11일까지 17일간 일산호수공원 일원에서 개최되며, 현재 사전 입장권 예매가 진행 중이다. 자세한 내용은 고양국제꽃박람회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5-04-14 15:41:09 안성기 기자
기사사진
청송군, 이재민 임시 주거용 주택 신속 지원

청송군은 최근 대형 산불로 주거지를 잃은 이재민들을 위해 임시주거용 조립주택 지원을 신속하게 추진하고 있다. 군은 이재민들의 조속한 일상 복귀를 지원하기 위해 부군수를 단장으로 한 '임시주거용 조립주택 지원 TF팀'을 구성, 지난 1일부터 임시주택 설치를 위한 부지 조사 및 선정 작업에 착수했다. 현재 부지 선정은 마무리 단계에 있으며, 토지 사용 승낙이 완료된 마을부터 순차적으로 기반시설 공사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에 따라 가설건축물 축조 신고를 포함한 각종 인허가 절차와 국‧공유지 사용 승인도 신속히 병행해 진행되고 있다. 설치될 임시 조립주택은 향후 영구주택으로도 활용 가능하도록 기준에 맞춰 제작 중이며, 전체 예상 물량의 80% 이상(전체 530여 동 중 400동 이상)이 이미 발주 완료된 상태이다. 청송군은 상·하수도 등 기반시설 공사가 완료되는 즉시 조립주택을 설치하고 즉각 입주가 가능하도록 철저히 준비 중이다. 현재 대피소와 임시거주시설에 머무르고 있는 이재민들이 하루빨리 안정된 생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임시 조립주택 설치는 오는 5월 말까지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윤경희 청송군수는 "산불 피해조사가 마무리 된 만큼 본격적인 복구에 총력을 다하겠다."며, "이재민들의 요구에 부응해 신속히 피해 건축물 및 구조물을 철거하고, 조립주택 지원을 통해 하루빨리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2025-04-14 15:40:35 손기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