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미래 신산업 육성 등, 결혼과 출생아수 증가에 긍정적 영향
대구정책연구원(원장 박양호)은 올해 1~8월 동안 대구의 출생아수와 혼인건수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7%, 16.6% 증가했다고 10월 31일 밝혔다. 대구의 혼인건수는 6,260건으로 대전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출생아수도 6,596명으로 인천과 서울 다음으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연구원은 이러한 증가 요인으로 일자리, 주거, 정책 요인이 결합되어 청년층이 대구에 정착하고 결혼과 출산을 선택하게 된 결과라고 분석했다. 개별 요인의 기여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일자리 요인이 46.2%로 가장 높은 기여를 보였으며, 주거 요인과 정책 요인이 각각 42.2%와 11.6%로 뒤를 이었다. 결혼 적령기인 30~34세 인구는 대구에서 타 대도시보다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2023년에는 2020년 대비 2.77% 증가한 146,165명으로 집계되어, 이는 서울(2.31%)과 부산(2.14%)보다 높은 수준이다. 또한, 청년층의 순유출도 감소해 2020년 -1,676명이었던 순이동자 수가 2023년 -51명으로 줄었으며, 경제활동참여율과 고용률도 각각 4.2%p, 6.6%p 증가해 대전 다음으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대구시는 청년층이 선호하는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며 고용 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왔다. 2022년 7월부터 2024년 9월까지 총 37개 기업과 9조 2천억 원 규모의 투자유치 협약을 체결해 청년들에게 매력적인 일자리 선택지를 제공했다. 안정적인 집값과 양질의 교육 및 문화 환경 역시 결혼 적령기 청년들이 대구를 양육에 적합한 도시로 인식하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대구형 온종일돌봄 운영, 공보육 강화,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소득제한 폐지 등 정책적 지원 역시 결혼과 출산을 촉진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연구진은 이러한 일자리, 주거, 정책 요인들이 청년층의 정착을 유도하며 대구가 '청년이 모이고 정주하는 중심 거점도시'로 성장할 가능성을 전망했다. 대구정책연구원 박양호 원장은 "대구의 미래 신산업 육성과 청년 고용환경 개선이 결혼과 출생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대구가 청년들이 선호하는 정주 도시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