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경기도 김동연 지사, 부천 온세미 방문 첨단산업 분야 협력강화와 투자확대 논의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9일 글로벌 반도체 기업 온세미(Onsemi)를 방문해 안정적 투자환경 조성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투자 확대를 독려했다. 지난 8일 주한 미국·유럽상공회의소 방문에 이은 '경제재건' 행보로, 국내 정세로 위기감을 느낄 수 있는 외국인투자자들을 안심시키기 위해 도내 외투기업을 방문한 것이다. 김동연 지사는 9일 오전 부천 온세미코리아 강병곤 대표이사와 만나 경기도의 외국인 투자 환경 개선 노력과 반도체 및 전기차 분야에서의 협력 가능성을 강조했다. 특히, 온세미가 경기도에서 지속적으로 투자와 고용을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김동연 지사는 "지금 한국에는 경제적으로 두 가지 쇼크가 같이 왔다. 하나는 트럼프 정부 출범으로 인한 국제경제의 대전환기라는 의미에서의 트럼프 쇼크이고, 또 하나가 윤석열 쇼크"라고 진단했다. 김 지사는 "2개의 쇼크가 와서 해외투자자들이 걱정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는데 저는 그간 교류해 왔던 세계 경제·정치 지도자들 2,500여 명에게 편지를 보내서 '걱정하지 마시라. 어려움 속에서 (위기를) 극복하고 만들어 온 게 지금 한국 경제다. 빠른 시간 내에 불확실성을 제거해서 다시 회복탄력성 보일 것'이라고 안심을 시켜줬다"고 소개했다. 그런 뒤 "말씀드린 것처럼 전혀 걱정하지 마시라. 온세미에 적극적인 협조를 조금도 의심하시지 마시라"고 말했다. 김동연 지사는 특히 "경제활동을 하는 데 보수, 진보 따질 것이 없다. 제대로 된 진보는 시장경제를 존중하고 기업의 활동을 기업이 충분히 하게끔 도와주는 것이다. 다만 시장과정에서의 불공정, 시장결과에서 나오는 불공평 문제에 대해서는 정책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금 (정국) 상황에 천착해서 더 큰 그림을 못 보는 게 많은데, 경제 돌아가는 거나 글로벌 흐름에 대해서 우리 정치가 신경을 써야 한다"면서 "빨리 불확실성이 제거되고 우리 경제, 그리고 새로 만들어진 정부가 잘 해나가기를 기대하며, 나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강병곤 대표이사는 "시스템 반도체 자체가 국가전략사업이듯이 개발과 생산에 있어 부가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코로나처럼 글로벌 위기가 있을 때 국내에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그런 것을 잘 살려서 국가경제에도 그렇지만 부천시, 경기도가 자랑하실 수 있도록 해보겠다"고 화답했다. 이어 "정치, 경제가 같이 묶여서 빨리 안정화 되는 게 중요하다. 저희들이 할 수 있는 것을 경쟁력으로 삼아 여기서 살아 남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방문은 경기도가 최근 진행한 외국인 투자기업 간담회의 후속 조치로, 첨단산업 분야에서의 협력 확대와 현장 중심의 소통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경기도는 온세미를 비롯한 외국인 투자기업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반도체, 전기차 등 미래 산업의 선두주자로 나아갈 계획이다. 1974년 부천에서 창업한 한국반도체의 후신 기업을 2016년 온세미가 인수하며, 온세미는 한국 반도체의 역사와 함께했다. 2023년 10월에는 부천에 차세대 비메모리 전력반도체 최첨단 연구소와 제조시설을 준공했다. 연간 200mm SiC 웨이퍼를 100만 개 이상 제조할 수 있는 세계 최대 규모의 최첨단 시설로 온세미가 업계 선두 자리를 더욱 공고히 하는 전략적 요충지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온세미는 2025년까지 1조 4천억 원을 부천시에 투자할 계획이다. 김동연 지사는 지난해 미국 방문 당시 피닉스 스콧츠데일시에 위치한 온세미 본사에서 하싼 엘 코우리(Hassane El-Khoury) 온세미 회장, 왕웨이청 최고운영책임자(COO), 강병곤 대표이사 등과 만나 경기도 중소기업과의 상호협력과 추가 투자 등을 논의하기도 했다.

2025-01-09 14:54:08 유진채 기자
기사사진
동의과학대 헤어뷰티과, LINC 3.0 성과 확산 워크숍 성료

동의과학대학교 헤어뷰티과는 지난달 23일 '2024년 3단계 산학연 협력 선도 전문대학 육성 사업(LINC 3.0) 헤어뷰티과 성과 확산 워크숍'을 성료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성공적인 사업 수행과 성과 확산을 위해 ▲채용 약정형 주문식 교육 과정 운영 ▲비교과 과정 운영 ▲우수 가족 회사 교류 확대 ▲표준 현장 실습 학기제 운영 등 다양한 우수 사례를 공유했으며 박승철 헤어스튜디오, 이철 헤어커커, 펠리아 헤어에서 채용 약정형 주문식 교육 과정에 참여한 우수한 학생들에게는 표창장을 수여하는 시간을 진행했다. 또 헤어뷰티과 학생들의 각종 미용 대회 시상식도 진행됐다. 수상자는 ▲국제 뷰티 마스터 콘테스트 그랑프리 대상 김예랑 외 16명 ▲제12회 민간 기능 경진대회 부산시장상 강산들, 부산지방고용노동청장상 문혜정, 한국산업인력공단 부산지역본부장상 이가영 외 10명 ▲부산시장배 대학생 캡스톤 미용 경진대회 대상 임대규 외 2명으로 학생들의 수준 높은 실무 역량을 대외적으로 인정받았다. 이번 워크숍은 프로그램의 성과를 효과적으로 전파해 확산시키는 기회를 제공하고 참가자들 상호 간 다양한 경험과 지식 공유·협력을 강화함으로써 LINC 3.0의 성과를 다양한 환경에서 확산시키는 데에 중점을 뒀다. 동의과학대 헤어뷰티과 김태영 학과장은 "2024년의 다양한 성과는 사업에 참여한 구성원 모두가 지난 1년 동안 협력해 열심히 노력한 결과"라며 "헤어뷰티과 학생들이 업계에서 인정받고 성공적 경력을 쌓아 나가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헤어뷰티과 송주령 학생은 "이번 워크숍으로 프로그램의 성과를 직접 느끼고 미래 교육과 산학연 협력에 기여하고 싶다는 다짐이 들었으며 다양한 경험을 나눠 함께 협력하는 소중한 기회였다"고 말했다. 한편, 동의과학대 헤어뷰티과는 ▲대학 혁신 지원 사업 ▲LINC 3.0 사업 ▲지방 전문대학 활성화 사업 ▲미용사 과정 평가형 국가 기술 자격 사업 ▲고숙련 일 학습 병행제(P-Tech) 사업 ▲재학생 단계 일 학습 병행제 사업 운영으로 지방 인구 소멸 시대에 지역 정주형 인재 양성을 위한 다양한 국고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2025-01-09 14:53:53 이도식 기자
기사사진
"Riding High on the Strong Exchange Rate... Power Equipment Sector Expected to Boost Profitability with Foreign Exchange Gains"

Recently, the rapid rise in the won-dollar exchange rate has become a negative factor for industries across the board. In contrast, the power equipment sector is showing positive signs for profitability. Since most of the power equipment business is driven by expanding overseas operations, it is expected to benefit from the increase in foreign exchange gains due to the rise in the won-dollar exchange rate.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on January 9, power equipment companies are expected to achieve strong performance in the fourth quarter. This is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transformer demand as data center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I) operations expand in the United States. With the inauguration of Donald Trump's second administration, there is growing sentiment that the need to replace power infrastructure will increase. President-elect Trump has maintained the position that the U.S. must maintain dominance in the global AI industry,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lead to additional demand for AI data centers. Moreover, the high exchange rate is also being cited as a factor contributing to the growth in performance. The won-dollar exchange rate surged to the 1,430 KRW range in early December 2024 due to a state of emergency, and on December 19, the U.S. Federal Reserve's announcement to adjust the number of interest rate cuts in 2025 pushed the rate past 1,450 KRW. Following that, after the impeachment vote of the acting president on December 27, the exchange rate surpassed 1,470 KRW, and it has remained around the 1,450 KRW range since then. In this situation, the power equipment sector is expected to benefit from positive effects due to increased sales in North America. With the rise in the won-dollar exchange rate and the completion of investments in ultra-high-voltage transformers, there is ample potential for profitability growth, according to analysis. The securities industry also predicts that the power equipment sector will see an increase in fourth-quarter performance. HD Hyundai Electric is expected to achieve a revenue of 985.5 billion KRW in the fourth quarter, representing a 23.6% increas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his growth is attributed to expanded production capacity, seasonal leverage effects, and the benefits of the high exchange rate. Additionally, although there was a gap in North American distribution transformers in the third quarter, it is estimated that smooth deliveries are taking place in the fourth quarter. According to HD Hyundai Electric's public disclosure, the exchange rates applied to the contracts for "380kV high-voltage circuit breakers and transformers" signed with Saudi Arabian companies in October and November 2023 were 1,357.6 KRW and 1,295.7 KRW, respectively. With forecasts suggesting that the exchange rate could break through the 1,500 KRW mark, there are opinions that the profitability of these existing contracts could improve due to the rising exchange rate. LS Electric's fourth-quarter revenue is expected to reach 1.1 trillion KRW, marking an 11.2% increas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Operating profit is forecasted to be 88.7 billion KRW, reflecting a 30.3% year-on-year increase. This growth is anticipated due to the benefits from the high exchange rate, particularly from transformer sales to North America in the power infrastructure sector. Hyosung Heavy Industries is also expected to achieve positive results. The fourth-quarter revenue is estimated to reach 1.4 trillion KRW, a 10.7% increas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Operating profit is projected to be 125.8 billion KRW, marking a 98.5% year-on-year increase. However, some point out that there are still uncertainties, such as concerns over domestic economic slowdown due to the high exchange rate, making it difficult to be overly optimistic without considering these risks. An industry insider stated, "As the export scale is increasing across the power equipment sector, we can expect the benefits of the high exchange rate in terms of performance. However, if the high exchange rate trend continues, it will be necessary to continuously monitor the impact on the overall business, including the rise in raw material prices." He continued, "With the development of AI technology, the replacement of aging power grids in North America, and the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 in Europe, among other factors, the boom in the power equipment market is expected to continue throughout this year."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1-09 14:43:37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목포시, 지역 발전 이끌어 낼 승부수...‘목포신안 통합’ 총력

목포시는 지역 발전을 견인할 승부수로 목포-신안 통합을 선정하고 통합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시는 과거 6차례 통합이 무산된 사례를 거울삼아 민간 중심의 통합 공감대 형성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인식하에 신안군 14개 읍면과 자매결연을 맺고 도농상생교류를 활발하게 추진하면서 민간 통합 추진기구인 목포신안통합추진위원회를 가동하여 민간 교류, 농촌 봉사, 섬 지역 순회 홍보, 시민교육 등을 통해 주민들간 벽을 허물고 목포와 신안은 하나라는 통합 공감대를 확산해 나가고 있다. 또한 목포시는 신안군과 공동으로 목포신안 통합 효과분석 용역을 발주하여 긍정적 통합 효과를 도출하였고, 주민편의 위주 상생협력과제를 발굴 추진하기로 하면서 양 지역 발전 비전을 제시하는 성과를 이루었다. ▲목포신안 통합 효과분석 공동 연구... 행·경제적 파급효과 등 양지역 공유 및 적극 전파 강화 시는 지난해부터 추진했던 목포신안 통합 효과분석 공동연구 용역을 완료했다. 목포·신안 통합 효과분석 연구용역은 인구감소 및 고령화로 인한 지역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행정구역 통합에 따른 공동발전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해 5월부터 목포시와 신안군이 공동으로 추진했다. 통합효과 분석 연구 결과 행정부문에서는 비용 63억 대비 편익 9,735억원, 경제적으로는 생산유발효과 및 부가가치 유발효과 1조 9,656억원이라는 효과가 도출되었다. 이는 취업과 고용 창출의 효과로 이어질 전망이다. 관광 부문에서는 2022년 8,887천명에서 2027년에는 2,200만명으로 관광객 수 증가가 예상되며 관광객 증가로 인한 직접 지출 효과는 약 3조 3천억 원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시는 도출된 통합의 긍정적 효과를 토대로 한 교육 및 홍보자료 배포 등으로 직원, 자생단체, 시민들에게 통합의 필요성을 전파해 나가고 있다. 아울러 목포신안 통합의 긍정적 효과는 양질의 일자리제공, 정주여건 마련 등으로 이어져 젊은 인구가 지역에 정착해 아이를 낳고 기르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지역소멸을 막고 지역 발전을 이끌어내는 길임을 양지역민이 공감할 수 있도록 찾아가는 순회 홍보 등에도 적극 나설 예정이다. ▲ 다양한 민간주도 상생교류로 통합 공감대 형성 2023년 목포시 23개 동 행정복지센터와 신안군 14개 읍면의 자생조직이 자매결을 맺은 이후 꾸준한 상생교류를 통해 목포신안 통합공감대 형성 및 신뢰를 쌓아오고 있다. 양지역의 축제 참여, 농촌일손돕기를 비롯 김장나눔과 환경정화활동 등 다양한 활동으로 현재까지 총 280여 회에 5,900여 명이 참여하여 활발한 교류활동을 해오고 있다. 또한 민간통합 활동기구인 목포신안통합추진위원회(위원장 최태옥)에서도 통합 필요성과 당위성을 알리는 메신저 양성 프로그램인 어울아카데미 개최, 찾아가는 섬 봉사활동, 귀성객 대상 목포신안 통합 효과 홍보, 양 지역 주민단체의 교류 등 통합 분위기 조성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해오고 있다. 특히 지난해 12월 출범한 목포신안통합추진위원회 청년분과 위원회에서는 목포신안 청년 친선 축구대회, 대광해수욕장 환경 정화활동, 통합 워크숍 등을 펼치며 양 지역 청년간의 협력과 상생을 위한 가교역할을 톡톡히 해오고 있다. 앞으로도 청년분과 위원회에서는 양지역 청년 중심으로 통합 반대의 벽을 허물고 지역미래를 위한 통합의 필요성을 적극 공유하고 전파해 가는 주요한 역할을 감당해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위원회 관계자는"통합까지의 과정은 어렵고 더디지만 지역경쟁력 강화와 미래세대를 위해 반드시 이루어야할 과제이다."며 "운영위, 홍보분과, 청년분과가 통합이란 시대적 사명을 이루기 위해 전방위적으로 공감대 형성을 위해 통합노력을 지속해 가겠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사)대한노인회 목포시지회, (사)전국이통장연합회 지회 등 민간단체에서도 상호교류를 통해 목포․신안은 하나라는 공감대를 꾸준히 쌓아가고 있다. ▲ 목포·신안 상생협력과제 추진 및 적극 발굴로 통합기반 마련 시는 신안군과 양 시군의 통합분위기 조성 및 주민 편의 증진을 위한 상생협력과제 25건을 채택하고, 상생협력과제 추진을 위한 실무기구인'목포·신안 상생협력과제 실천 실무협의체'를 구성하여 사업추진을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다. 양 시군이 채택한 상생협력과제는 ▲신안 섬 주민편의 화장로 증설(1기) 및 목포시민·신안군민 화장장 우선예약시스템 도입 ▲목포·신안 관광상품 공동개발 ▲목포시 학교급식지원센터 신안군 친환경 농산물 구입 ▲목포시 학생 신안 농어촌 학교 유학프로그램 운영 등 25개 사업으로 일부 사업은 현재 추진 중이다. 특히 시는 신안군민의 4일장 문제 해결을 위해 화장로 1기 증설과 목포시민·신안군민 화장장 우선 예약 시스템을 2025년부터 도입하기로 하고, 이를 위한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또한, 양 시군은 관광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관광상품을 공동 개발하고 있으며, 신안군 농업인의 소득 증대를 위해 목포시 학교급식지원센터를 통해 신안군 친환경 농산물을 10억 원 상당 구입하고 있다. 아울러, 생태친화적 교육 제공을 위한 목포시 학생 신안 농어촌 학교 유학프로그램은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2025년부터 거주형 프로그램으로 시행할 예정이었으나, 임자초등학교 증·개축 공사 지연 등으로 인해 방과 후 승마 주말 프로그램으로 대체하여 내년에 시범 추진할 계획이다. 양 시군은 업무협약을 통해 상생협력과제의 이행력을 확보하고, 상생협력 과제의 지속적인 추가 발굴을 통해 주민 편의를 증진하고 통합을 위한 행정협력체계 구축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 관계자는 "지역의 미래를 위해 통합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과제."라며 "목포신안 통합에 한발 더 나아가 무안반도 통합 광역 행정체제 구축으로 서남권 지역의 공동 발전을 이끌어 내겠다."고 밝혔다.

2025-01-09 14:42:43 이대호 기자
기사사진
경남도, 주요 해역 이번 겨울 첫 저수온 예비 특보 발표

경남도는 차가운 대륙 고기압의 남하에 따른 한파 영향으로 9일 오후 1시부로 도내 사천만, 강진만 해역 및 남해·하동군 연안에서 통영 수우도 서단까지 올해 첫 저수온 예비 특보가 발표됐다고 밝혔다. 저수온 예비 특보는 어업인이 사전 준비에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수온 7℃를 기준으로 발표되며 저수온 주의보 기준인 4℃까지 하강하는 데 평균 12일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저수온 예비 특보는 지난해보다는 다소 늦게 내려졌으며 비교적 수심이 얕은 남해 강진만 해역은 현재 5.7~7.4℃로 도내에서 가장 낮은 수온으로 보인다. 돔류 등 양식 어류는 겨울철 수온이 10℃ 이하로 내려가면 사료 섭취율과 소화율이 급격히 감소하고, 면역력이 현저히 약해져 한파가 장기간 지속되면 동사 피해가 우려된다. 도는 지난달 저수온 피해 예방 계획을 수립해 2년 연속 '저수온 피해 제로'를 위해 도내 중점 관리 해역 13곳을 선정해 집중 관리하는 등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중점 관리 해역의 수온 정보를 경남도가 운영하는 누리 소통망을 통해 공무원, 어업인 등 860여 명에게 진행간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예비 특보 발표 이후에는 양식 어장별 현장 밀착 지도로 저수온 피해 최소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지난달 17일 거제, 20일에는 통영 해상 가두리 양식장의 저수온 대응 상황 현장을 점검하고, 유관 기관과 한파 대책을 논의하는 등 저수온 피해 최소화에 총력 대응하고 있다. 이상훈 경남도 해양수산국장은 "도내 주요 양식 해역의 수온이 하강해 어업인의 피해가 우려되므로, 민관이 협력해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며 "어업인들은 제공되는 수온 정보를 참고해 ▲사육 밀도 조절 ▲사료 공급 감소·중단 등 양식장 관리에 관심과 주의를 기울여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2025-01-09 14:42:13 손병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