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포항시, 에너지복지사업 확대 추진

포항시가 도시가스 미공급 지역과 농어촌마을의 에너지복지 불균형 해소를 위해 도시가스 확대와 도시가스 수준의 LPG배관망 구축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이를 위해 올해 LPG배관망 구축사업은 중규모 읍면 단위 2개소(10개 마을)와 마을 단위 4개소로 사업비 114억 원으로 확대 추진한다. 기계면은 현내2리, 고지2리, 지가2리 마을에 실시설계 완료하고 올해 사업을 완료할 계획이며, 청하면은 내년까지 덕성리(추가), 하대리, 용두1~2리, 미남리, 월포1리, 이가리 등 적정 마을부터 순차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마을 단위 오천읍 항사리, 장기면 방산2리, 죽장면 상옥2리, 신광면 토성1리에는 올해 사업설명회부터 시작해 실시설계, 인허가, 시공사·연료공급사 선정 및 시공, 가스공급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지난해까지 LPG배관망 구축은 38개 마을 사업비 319억 원으로 사업을 완료하고 2,527세대에 안정적인 LP가스를 공급하고 있다. 또한 올해 6개 지역(흥해, 오천, 연일, 양학, 해도, 신흥동) 13개 구간, 294세대에 공급관 6.7km를 사업비 25억 원을 투입해 추진하는 도시가스 미공급 지역 보급사업은 도시가스사와의 업무협약을 시작으로 현장 상세 실사, 사유지 동의, 실시설계, 인허가, 시공업체 선정, 공급관 매설 등 단계적으로 진행한다. 지난해까지 도시가스 미공급 지역 보급사업은 18개 지역, 사업비 155억 원으로 본·공급관 39.5km를 설치해 도시가스를 공급하고 있다. 기존 LPG 용기보다 30~50%, 등유보다는 15~20% 이상 저렴한 LPG배관망 구축은 난방비 등 에너지비용이 급등하고 도시가스가 공급되지 않는 읍면 외곽지역의 난방비 부담을 경감하고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에너지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다"며, "반드시 전 시민 99%가 에너지복지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에너지복지 불균형을 해소하고 소외지역이 없도록 지속적으로 에너지 복지 정책을 확대 추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각 가정에서 LP가스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포항 LPG배관망 정보센터를 개소해 기 완료된 LPG배관망 구축시설 36개 마을에 위탁사업비 2억 8천만 원으로 매일 순회점검 및 안전관리를 하고 있다.

2025-01-15 16:23:13 최지웅 기자
기사사진
고려아연 "한국ESG연구소, 현 경영진 체제 유지에 힘 실어줘"

한국ESG연구소가 고려아연의 이사회 구도를 현재 상태대로 유지함으로써 그동안 현 경영진이 추진해온 각종 사업과 정책을 지속할 필요성을 인정했다. 15일 고려아연에 따르면 한국ESG연구소는 오는 23일 고려아연 임시주주총회에서 '집중투표제'와 '이사 수 상한' 등 고려아연 현 경영진이 제안한 모든 안건에 대해 투자자들에게 찬성을 권고했다. 한국ESG연구소는 기관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임시주총 안건인 ▲집중투표제 도입 ▲이사 수 상한 ▲집행임원제도 도입 ▲주식액면분할 등 이사회가 상정한 안건에 대해 모두 찬성할 것을 권고했다. 특히 MBK·영풍이 반대하고 있는 집중투표제 도입과 이사 수 상한 안건에 대해, 모두 도입이 필요하다고 말해 현 고려아연 경영진 판단에 힘을 실어줬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먼저 '이사 수 상한' 관련 정관 변경 안건을 찬성하며 현경영진 및 이사회 구도가 적절하다는 평가를 내렸다. 한국ESG연구소는 "이사회 수가 적정 수로 구성돼 효율적이고 책임 있는 의사 결정이 이뤄지는 것이 장기적 주주가치 제고에 부합한다"며 권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정관변경에 따른 주주가치 훼손 우려를 발견할 수 없다고도 덧붙였다. 이사회 몸집이 비대해지는 게 주주가치 제고에 반한다는 판단에서다. 이어 핵심 안건 중 하나인 '집중투표제'에 대해서도 찬성을 권고했다. 한국ESG연구소는 "경영권 분쟁 상황에서 집중투표제 도입은 일반 주주에게 캐스팅 보트 역할을 부여할 것"이라며 "결과적으로 일반주주 권익 보호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말했다. 특히 이사 선임 안건에 대한 설명에선 현경영진 체제가 유지돼야 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한국ESG연구소는 고려아연 측이 추천한 사외이사 후보 4명을 찬성하고, 영풍·MBK 측 3명만 이사회에 진입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권고했다. 한국ESG 연구소는 "고려아연 경영진의 그동안의 경영실적을 고려하고 기존에 수립된 주주친화 정책을 경영안정성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하되, 이를 예리하게 감독하고 견제할 수 있는 영풍·MBK측 이사 후보들을 일부 선임할 것을 권고한다"고 밝혔다. 앞서 글로벌 양대 의결권 자문사 중 한 곳인 글래스루이스는 MBK·영풍 추천 이사진 전원에 대해 반대를 권고하고, 현 경영진이 제안한 안건에 대해선 모두 찬성을 권고했다. ISS 역시 고려아연 현 경영진의 실적을 높게 평가하며 특히 새로운 이사 진입을 4명으로 최소화해야 한다고 권고한 바 있다. /차현정기자 hyeon@metroseoul.co.kr

2025-01-15 16:23:05 차현정 기자
기사사진
농어촌공사, '2025년 농지이양 은퇴직불' 고령신청자 모집

한국농어촌공사가 '농지이양 은퇴직불사업'의 신규 신청자를 모집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는 고령 농업인이 사용하던 농지를 청년 농업인이나 후계농에게 양도하면 매월 일정 금액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사업이다. 올해 97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며 예산 소진 시까지 접수 받는다. 신청 대상은 최근 10년 이상 계속하여 농업경영을 하고 있는 만 65세에서 만 84세까지의 농업인이다. 신청 가능한 농지는 3년 이상 본인 소유의 농업진흥지역 내 농지 또는 경지 정리가 완료된 농지로 최대 4헥타르(ha)까지 신청할 수 있다. 신청방식은 2가지로, 매도 또는 매도 조건부 임대가 가능하다. 매도 방식의 경우 농지 매매 대금 외에 1ha당 매월 50만 원(연 600만 원)을 최대 10년간 지원받을 수 있다. 올해부터는 보조금을 한꺼번에 받을 수 있는 일시 지급 방식을 새로 도입하여 가입자 개인의 경제 상황에 따라 보조금 지급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매도 조건부 임대는 은퇴직불형 농지연금, 농지임대료 외에 1ha당 매월 40만 원(연 480만 원)을 최대 10년간 안정적인 소득으로 보장받는다. 사업 신청과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농지은행 상담센터 또는 농지은행 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영훈 한국농어촌공사 농지은행처장은 "농지이양 은퇴직불사업은 농업의 선순환식 세대교체의 기반이 될 것"이라며 "은퇴·고령 농업인에게는 안정적인 노후 생활을, 청년 농업인에게는 농지 확보와 영농 정착의 기회가 될 수 있도록 적극 힘쓰겠다"고 말했다. 지난해 1686명의 고령 농업인이 농지이양 은퇴직불사업에 참여해 보조금을 지원받았다. 이를 통해 1062ha의 농지가 청년 농업인들에게 이양됐다. /세종=김연세기자 kys@metroseoul.co.kr

2025-01-15 16:22:02 김연세 기자
기사사진
삼성 관계사, 협력사 물품대금 5600억 조기 지급…"내수경기 활성화"

삼성 관계사들이 설 명절을 앞두고 협력사에 물품대금을 조기 지급하고 온라인장터를 운영하며 내수경기 활성화에 앞장선다. 15일 삼성은 협력회사들의 원활한 자금 운영을 위해 물품대금 5600억원을 최대 3주 앞당겨 지급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기 지급에는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삼성SDS,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11개 관계사가 참여한다. 삼성전자는 2015년부터 '스마트공장' 프로그램을 통해 3200개 이상의 중소·중견기업을 지원해왔다. 지원 대상 기업은 제조혁신 노하우 전수, 미활용 특허 무상 개방, AI시스템 접목, 전문인력 양성 등의 혜택을 받는다. 대상 기업은 삼성전자와의 거래 여부와 무관하게 선정된다. 삼성전자와 삼성디스플레이는 협력회사들의 ESG 경영 전환을 돕기 위해 1조원 규모의 '협력회사 ESG 펀드'를 조성했다. 이를 통해 중소·중견 협력회사들은 최대 20억원을 최장 3년간 무이자로 대출받을 수 있다. 삼성전자는 2018년부터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인건비 상승분을 납품단가에 반영하는 납품대금 연동 제도를 선제적으로 도입했다. 또 삼성 17개 관계사는 설 명절을 맞아 온라인 장터 운영과 협력회사 물품대금 조기 지급을 통해 내수경기 활성화를 돕는다. 이번 설 명절 대책에는 삼성전자, 삼성물산,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생명을 포함한 15개 상장사와 삼성디스플레이, 삼성바이오에피스 등이 참여했다. 삼성 관계사들은 설 연휴 직전까지 사내 게시판과 지자체 쇼핑몰, 소상공인 직거래몰 등에서 온라인 장터를 운영한다. 임직원들은 이 장터를 통해 농축수산물 등 전국 특산품과 스마트공장 제품, 자매마을 상품 등을 구매할 수 있다. 지난해 설과 추석 온라인 장터를 통한 총 구매액은 28억원에 달했다. 이는 농어촌과 중소기업의 판로 확대와 수익 증대에 기여했다는 평가다. 특히 이번 설 명절 온라인 장터에는 삼성전자가 제조기술 노하우를 전수한 '스마트공장' 업체 60개 이상이 참여해 홍삼액, 배도라지 농축액, 돌미역, 떡국떡 등을 판매한다. 삼성 관계자는 "앞으로도 협력회사들과 지속적으로 동반성장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구남영기자 koogija_tea@metroseoul.co.kr

2025-01-15 16:20:30 구남영 기자
기사사진
칼가는 애플, 올 상반기 신형 아이폰 쏟아낸다 …SE4부터 에어17까지 출시설 '솔솔'

애플이 올 상반기 '아이폰SE4'와 함께 '애플17 에어'를 연이어 공개하며 점유율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간 아이폰은 스마트폰 시장 1위를 자랑했지만 최근 중국서 판매가 급감하면서 명성에 금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한때 자취를 감쳤던 아이폰SE 시리즈 신제품은 물론 애플 17에어까지 출시해 다시 입지를 되찾을 것이란 분석이다. 15일 모바일 매체 폰아레나에 따르면 아이폰 SE의 새로운 버전이 오는 3월 또는 5월에 열릴 애플 이벤트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새로운 아이폰은 코드명 '로마(Roma)'로 알려졌지만 아이폰 SE4와 같을 가능성이 유력하다. 블룸버그 기자는 지난해부터 새로운 아이폰 SE가 올해 초 출시될 것이라고 언급해 왔다. 아이폰SE4는 아이폰14의 본체를 채택해 홈 버튼을 없애고 상단에 노치가 있는 엣지 투 엣지 화면을 갖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아이폰14와 달리 아이폰16E는 애플 인텔리전스를 실행할 수 있도록 8GB RAM과 함께 제공될 예정이다. 애플 전문 분석가 궈밍치도 자신의 블로그 글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궈밍치는 아이폰SE4가 올해 상반기 중반에 출시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IT매체 맥루머스는 아이폰SE 4의 이름이 '아이폰16E'로 바뀔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이에 더해 애플은 올 상반기 초슬림 모델 '아이폰17 에어'도 출시할 예정이다. 이날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아이폰17 에어는 프로 모델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출시될 예정이다. 원가 절감을 위해 단순한 카메라 시스템을 탑재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이폰17 에어 가격은 아이폰16프로맥스 가격인 1200달러(약 174만원)보다 비쌀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보다 낮은 실제 899달러(약 130만원)로 책정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아이폰16 플러스와 비슷한 가격대다. 아이폰17 에어는 애플이 역대 출시한 아이폰 모델 중 가장 얇은 스마트폰이다. 폰아레나에 따르면 아이폰17 에어의 두께는 6.25㎜로, 아이폰16 프로 두께인 8.25㎜보다 2㎜ 더 얇을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되면 아이폰17 에어는 2014년 애플이 출시한 아이폰6의 두께인 6.9㎜보다 얇아 가장 슬림한 아이폰이 된다. 이에 프로 모델에서 제공하는 고급 기능은 일부 탑재되지 않지만 파격적으로 달라진 디자인만으로도 인기를 끌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애플이 올 상반기 신형 스마프폰을 대거 내놓는 이유는 최근 떨어진 점유율을 회복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간 애플은 스마트폰 시장 선두를 굳건히 유지했지만 중국 시장은 물론 전체 시장에서도 출하량이 하락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 업체 IDC에 따르면 지난해 애플은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18.7%로 1위, 삼성전자는 18.0%로 2위를 차지했다. 하자미나 이는 각각 전년 대비 1.4%포인트(p), 1.5%p감소한 수치다. 특히 애플의 출하량 감소는 중국 시장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궈밍치는 지난해 12월 중국 내 스마트폰 시장에서 아이폰 출하량이 10%에서 12% 감소했다고 밝혔다. 중국 스마트폰 시장의 전체 출하량이 전년 대비 정체된 상황에서 아이폰의 출하량은 상대적으로 크게 감소한 것이다. 그러면서 궈밍치는 올해 4월을 전후해 아이폰 SE4를 출시하더라도 상반기 출하량은 전년 대비 6%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출시될 SE4와 아이폰17에어 시리즈 등 두 모델이 애플이 현재 중국 시장에서 판매하지 않는 이심(eSIM)만 지원할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궈밍치는 "이 두 모델은 디자인을 수정하지 않으면 애플이 중국에서 출하량을 늘리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구남영기자 koogija_tea@metroseoul.co.kr

2025-01-15 16:19:58 구남영 기자
기사사진
하승철 하동군수, ‘읍면정 보고회’로 양방향 소통 강화

하승철 하동군수가 '2025년 읍면정 보고회'를 열며 본격적인 새해맞이 읍면 순회를 시작했다. 하 군수는 이번 기회를 통해 군민들과의 양방향 소통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읍면정 보고회는 ▲군정 업무 보고 ▲읍면정 업무 보고 ▲군민과 대화 순서로 진행되며 군정 비전과 주요 정책을 함께 공유하는 자리가 될 예정이다. 보고회 일정은 ▲13일 적량·횡천 ▲14일 하동읍·금남 ▲15일 양보·고전 ▲16일 북천·옥종 ▲17일 악양·화개 ▲20일 청암 ▲21일 진교 ▲22일 금성으로 이어진다. 하승철 군수는 주민들에게 민선 8기 성과와 함께 ▲컴팩트 매력 도시 별천지 하동 ▲미래 도시 발전 계획 ▲예쁜 거리 조성 사업 등 2025년 주요 사업을 설명하며 군정에 대한 관심도를 높여가고자 하는 의지를 보였다. 이후 군민과의 대화 시간에도 형식적인 문답을 넘어 지난해 '이동 군수실'을 통해 청취한 군민들의 구체적인 건의 사항과 그에 따른 처리 현황을 공유하며 내실 있는 소통을 이어갔다. 하 군수는 "군민들에게 군·면정 전반을 상세히 설명하고, 소중한 의견들을 귀담아듣고자 읍면정 보고회를 준비했다"며 "군민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2025년 군정에 역동성을 더하고, 군민과 함께 성장하는 하동군을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하동군은 이번 읍면정 보고회를 통해 군민의 목소리를 행정에 적극적으로 반영하며 민선 8기의 군정 비전을 실현해 나갈 계획이다.

2025-01-15 16:17:29 이도식 기자
기사사진
삼성바이오로직스, '초격차' 강화 전략..."2027년 6공장 완공 계획"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14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 2025'에서 행사 핵심 무대인 '그랜드 볼룸' 무대를 통해 삼성바이오로직스 사업 비전과 로드맵을 공개했다고 15일 밝혔다. 특히 이 무대는 주최 측이 초청한 기업 가운데 선별된 27개 기업만 설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고, 발표 순서도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일라이 릴리, 아스트라제네카 등 글로벌 빅파마들과 함께 배정됐다. 이날 발표 무대에 오른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5공장 건설, 포트폴리오 강화, 지난 2024년 기록한 사상 최대 실적 등에 대해 설명했다. 우선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해는 5공장 본격 가동, 항체·약물접합체(ADC) 생산 등을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오는 4월 5공장 완공을 앞두고 있다. 당초 계획했던 공사기간을 35개월에서 24개월로 줄이면서 삼성바이오로직스만의 경쟁력에 격차를 벌린 것이다. 18만 리터의 5공장이 더해지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세계 최대 규모인 총 78만4000리터의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시설을 확보한다. 또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해부터 지난해 말 인천 송도에 완공한 ADC 의약품 전용 생산시설도 가동한다. 이와 함께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오는 2032년까지 '제2 바이오캠퍼스' 건설을 마칠 예정이다. 무엇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오는 2027년 준공을 목표로 6공장을 증설할 계획이다. 6공장은 5공장과 동일 규모인 18만 리터인데 향후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총 생산능력을 96만4000리터로 확장해 세계 1위 수준의 '초격차'를 유지한다는 전략이다. 생산 능력뿐 아니라 품질 면에서도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창립 13년 만인 지난 2024년 글로벌 규제기관에서 누적 제조 승인 건수 340건을 올리고, 99%에 달하는 배치 성공률을 기록하는 등 고성장을 이뤄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의약품 위탁개발(CDO) 관련 신규 플랫폼도 잇따라 선보여 왔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 에스-텐시파이, 에스-에이퓨초 등 5개의 신규 플랫폼 및 솔루션을 추가해 총 9개의 기술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객 맞춤형 서비스와 포트포리오를 강화하게 됐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포트폴리오 측면에서는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기존 항체, 완제의약품, mRNA 등에서 항체·약물접합체(ADC)를 비롯한 아데노연관바이러스(AAV), 세포·유전자치료제(CGT) 등과 같은 차세대 바이오의약품으로 생산 영역을 넓힌다. 향후 완전 자동화된 사전충전형주사기 생산에도 적극 대응한다. 존림 대표는 "미래성장동력 강화를 위해 앞으로도 사업 비전과 로드맵에 발맞춰 선제적이고 과감한 투자를 지속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2024년 연간 수주 금액 5조원 시대를 열였고, 현재까지 누적 수주액도 176억달러를 넘겼다. 2024년 기준 연간 매출액도 전년 대비 15~20% 증가할 전망되는 가운데, 이는 상장 연도인 2016년 매출 2946억원의 약 15배에 달하는 성장세라는 것이 삼성바이오로직스 측의 설명이다.

2025-01-15 16:17:26 이청하 기자
기사사진
With the growth potential of the Indian shipbuilding industry, K-Shipbuilding is poised to seize order opportunities.

The domestic shipbuilding industry is focusing on strengthening its market position by capitalizing on India's large domestic market and the growth potential of the shipbuilding sector. As India plans to place large-scale ship orders and foster its shipbuilding industry, South Korean shipbuilders are carefully monitoring market trends with an eye on potential partnership opportunities.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on the 15th, the size of the Indian shipbuilding industry is expected to grow from $90 million in 2022 to $8.12 billion by 2033. In particular, Clarkson Research, a British shipbuilding and shipping market analysis firm, reported that India plans to place orders for more than 1,000 new ships. Currently, India has a fleet of approximately 1,500 vessels and plans to expand it to 2,500 ships in the future. However, there are currently only 28 shipyards in India, so expanding construction capacity is essential to secure 1,000 new vessels. Additionally, while India relies on shipping for about 95% of its total trade volume, its domestic shipbuilding industry remains vulnerable. As a result, it is reported that India spends approximately 110 trillion won annually on renting foreign vessels. To reduce these costs, there is an analysis suggesting that India needs to be able to build large container ships, very large crude carriers, and car carriers domestically. The Indian government is also making concerted efforts to foster its shipbuilding industry. The government has outlined a roadmap to raise India's shipbuilding capacity, which currently holds less than a 1% share of the global shipbuilding market, to become one of the top five shipbuilding nations by 2047. In particular, it has been reported that Indian government officials have visited the facilities of South Korea's three major shipbuilders (HD Hyundai Heavy Industries, Samsung Heavy Industries, and Hanwha Ocean) and are placing significant emphasis on the potential for technological cooperation. Indian government officials visited the Hanwha Ocean Geoje facility, Samsung Heavy Industries Geoje Shipyard, and HD Hyundai Heavy Industries Ulsan Shipyard at the end of last year. During these visits, they received briefings on shipbuilding capabilities, shipyard operation systems, and eco-friendly ship technologies, leading industry experts to believe that India is considering South Korea as a potential partner. Following the visit of Indian government officials to South Korean shipbuilders, it has also been confirmed that officials from Hanwha Ocean visited local shipyards in India. This has drawn attention to the growing possibility of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shipbuilding sector. On the 14th, Hindustan Shipyard Limited (HSL) in India posted on the social media platform X, stating that a delegation from Hanwha Ocean visited their shipyard on the 13th. The visit was described as an assessment of potential cooperation for shipbuilding. HSL is located in Visakhapatnam, Andhra Pradesh, in eastern India. As a result, industry experts believe that the two countries are in discussions to explore opportunities for business collaboration in the shipbuilding sector. Some experts argue that the long-standing border disputes between India and China could play a positive role in strengthening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India. Given India's anti-China sentiment, building advanced shipbuilding capabilities through technological cooperation with South Korean shipyards, rather than China, is seen as a crucial strategy for India. An industry insider stated, "Indian government officials visited South Korean shipbuilding facilities with the intention of increasing the number of vessels in operation, seeking support and cooperation." They added, "Domestic shipbuilders are also actively exploring cooperation strategies, considering the large scale of the Indian market." The insider continued, "However, since India is not a country with a developed shipbuilding industry, utilizing its abundant labor force to grow the industry will be a key challenge." They added, "While the potential of the Indian market is clear, it is still too early to expect short-term results. Therefore, ongoing discussions and the exploration of long-term cooperation strategies are necessary."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1-15 16:17:12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체포된 尹, '불법 수사' 주장하며 버티기 들어가나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 체포된 윤석열 대통령이 진술을 거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체포영장 집행에 응하면서도 '체포'가 아닌 '출석'이라고 강조하는 윤 대통령이, 조사 과정에서 '버티기'에 들어갈 것이라는 전망이다. 대신, 대국민메시지와 페이스북 메시지 등으로 입장을 전했다. 형사재판과 탄핵심판이 본격화되자 여론전에 사활을 거는 모습이다. 15일 공수처 관계자는 취재진을 만나 "(윤 대통령이) 진술을 거부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공수처는 청사 도착 직후인 오전 11시부터 2시간30분가량 윤 대통령을 조사했지만, 진술을 거부했다고 한다. 조사가 끝나면 윤 대통령은 일단 서울구치소에 머무를 예정이다. 윤 대통령은 이날 체포 직전 영상 등으로 배포한 대국민메시지에서 "불미스러운 유혈사태를 막기 위해서 일단 불법 수사이기는 하지만 공수처 출석에 응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날 공수처 수사팀이 관저에 진입했을 때 윤 대통령 측 변호인단이 자진출석으로 갈음하겠다고 입장을 밝힌 것을 감안하면, 윤 대통령이 대국민메시지에서 '공수처 출석에 응하겠다'고 한 발언이 눈에 띈다. 자진출석을 주장하던 윤 대통령은 본인의 상태를 '체포'가 아니라 '출석'이라고 규정한 셈이다. 하지만 공수처는 '금일 10시33분 윤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을 집행했다'며 선을 그었다. 또 공수처의 수사가 불법적이라고 강조하고 있어, 당분간은 진술을 거부할 가능성이 높다. 윤 대통령 변호인단 자문역인 석동현 변호사도 이날 오후 기자간담회를 열고 "(윤 대통령이) 대한민국의 국격과 젊은이들의 미래를 위해 이러한 사태(물리적 충돌)만은 막아야겠다고 판단해 공수처 수사가 합법이 아니라 보면서도 출석을 결단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만일 수사 과정에서 윤 대통령이 입을 열 경우, 계엄은 위법·위헌적이지 않고 내란의 의도가 없었음을 강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윤 대통령이 공수처에 머무르고 있는 이날 오후, 윤 대통령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A4용지 14장 분량의 긴 글이 올라왔다. 윤 대통령이 새해 초 직접 만년필로 작성한 육필 원고였다. 윤 대통령은 이 글을 통해 12·3 비상계엄 선포의 배경과 정당성을 설명하고, 거대 야당의 '입법 횡포'와 '부정선거' 등을 지적하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특히 지난해 12월12일 대국민담화에서도 주장한 '계엄은 대통령의 권한 행사'라는 내용이 재차 언급되기도 했다. 부정선거 역시 지난번 대국민담화에서 언급된 내용이다. 특히 윤 대통령은 대국민메시지와 육필 원고에서 "우리 청년들이 자유민주주의의 소중함을 재인식" "국민 여러분이 확고한 권리와 책임의식을 가지고 이를 지키려고 노력한다면, 이 나라의 미래는 밝고 희망적"이라고 강조해, 보수층 결집을 꾀했다. 탄핵심판과 형사재판 모두에서 여론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을 예상한 것이다. 이에 향후 구속되더라도, 윤 대통령의 여론전은 계속될 전망이다. 하지만 윤 대통령의 '복귀 구상'은 물거품이 된 모양새다. 윤 대통령 측은 체포 무산, 탄핵심판 기각, 수사 무력화 등의 시나리오를 염두에 뒀다. 체포가 무산되면 여론이 탄핵 기각에 쏠릴 수 있다고 판단하고, 여론의 향방을 살피는 헌법재판소가 탄핵 기각에 손을 들어 줄 수 있다고 전망한 셈이다. 그리고 탄핵이 기각될 경우 '내란 수사'는 자연스레 무위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대통령실 일부 참모와 친윤(친윤석열)계 일부 의원들은 이같은 논리를 들어 윤 대통령의 복귀 가능성도 제기한 바 있다. 그리고 일부 여론조사에서는 여당 지지율이 오른다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윤 대통령이 체포돼 '내란 수괴' 혐의로 대면조사를 받게되면서, 오히려 헌재가 탄핵을 인용하는 데 부담이 줄어들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서예진기자 syj@metroseoul.co.kr

2025-01-15 16:14:53 서예진 기자
기사사진
崔대행, 전(全)부처에 일자리 창출 주문..."고용여건 녹록지 않아"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5일 고용시장 위축을 거론하고 모든 정부부처가 일자리 창출에 힘을 보탤 것을 당부했다. 또 주요 산업과 관련해,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국내 전기차 시장 수요가 더 둔화할 가능성이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최상목 대행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취업자 수가 전년동월대비 5만2000명 감소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건설업 등 내수회복 지연, 주력업종 경쟁심화, 생산연령인구 감소폭 확대 등으로 향후 고용 여건이 녹록지 않다"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연말 직접일자리사업 종료 등 일시적 요인과 함께 경제주체들의 심리 악화도 복합 작용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이어 "전(全) 부처가 일자리 전담 부처라는 각오로, 국민 한 분 한 분께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취약 부문별 맞춤형 일자리 지원방안을 신속히 마련·추진해 줄 것"을 주문했다. 최 대행은 고용 상황의 조속한 개선을 위해 정부가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상반기 중 일자리 등 민생·경기사업 70% 이상 신속 집행, 18조 원 수준의 경기보강 등을 통해 내수 회복 및 민간부문 일자리 창출을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미국 정권 교체에 따른 자동차산업 대응 방안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전기차 수요 둔화로 업계의 위기감이 커지는 가운데, 미국 신정부 출범에 따른 영향도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정부는 우리 산업계와 긴밀히 협력해 비상한 상황을 정면 돌파해 내겠다"고 말했다. 그는 "청년의 첫 차와 다자녀 가구에 대한 구매 인센티브를 확대해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에 적극 대응하겠다"며 "이차전지 투자 촉진을 위한 정책금융을 전년대비 2조 원 확대하겠다"고 했다. 또 ▲미국의 보편관세 도입,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인센티브 축소에 철저한 대비 ▲아세안 국가와의 FTA 협상을 통한 수출시장 다변화 등의 계획도 제시했다. 정부가 바이오 분야에 대한 지원에도 박차를 가하겠다고 했다. 최 대행은 "전문 보육기관이 유망 바이오 스타트업을 선정하고 창업부터 수익 창출까지 밀착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2월부터 신규 가동하겠다"고 말했다. 또 "후보물질 발굴부터 신약개발까지 집중 지원하기 위한 4000억 원 규모의 바이오펀드를 올해 중 신규 조성하겠다"고도 했다. 오는 설 연휴 안전 관리와 관련해서는 연휴 기간 즉시 작동하는 재난대응체계를 갖추겠다고 전했다. 그는 "24시간 상황관리와 응급진료를 위한 시스템을 가동하고, 실시간 상황공유를 통해 사고 발생 시 신속히 대처하겠다"며 "저도 이번 주 중 현장을 방문해 대응 시스템이 제대로 마련돼 있는지 직접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2025-01-15 16:13:51 김연세 기자
기사사진
나주목사고을시장, 문화관광형시장 육성 평가 ‘우수시장’ 선정

전라남도 나주시(시장 윤병태)는 목사고을시장이 2024년 문화관광형시장 육성사업 성과평가에서 광주·전남지역 1위를 차지하며 우수시장으로 선정됐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평가는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주관으로 지난해 사업에 참여한 전국 전통시장 40곳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우수 시장으로 선정된 나주목사고을시장은 성과에 따라 2년차 사업비를 상향해 지원받게됐다. 문화관광형시장 육성사업은 지역 문화·관광 자원과 연계해 시장 고유의 특장점을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상인 중심의 프로젝트다. 나주목사고을시장은 지역 특색과 개성을 담은 다양한 체험형 프로그램과 대표 상품 개발, 홍보매체 다각화, 상인 네트워크 강화 등을 중점 추진해왔다. 다양한 사업 중 '너랑 나랑 밤소풍', '꾸러미 상품 포장재 개발'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너랑 나랑 밤소풍은 낭만 가득한 야시장 안에서 캠핑과 피크닉을 동시에 즐길 수 있도록 바비큐 존, 캠핑 존, 피크닉 존을 각각 운영하며 방문객들의 큰 인기를 끌었다. 7월부터 10월 말까지 매주 토요일 밤소풍에 나선 가족과 친구, 연인과 함께 텐트, 천막 아래서 시장에서 구매한 다채로운 음식을 즐기며 전통시장의 매력을 제대로 알렸다. 목사고을시장은 친환경 소재 식품 꾸러미 포장재를 개발해 상인들의 매출 증진에 기여했다. 위생과 안전을 챙긴 포장재 개발을 통해 목사고을시장은 한전KDN과 협업해 진행하는 아동급식지원사업(든든방학 도시락)에 1200만원, 노사 합동 김치 나눔 봉사에서 1천만원 규모 꾸러미 상품 주문 제작을 받고 있다. 윤병태 나주시장은 "식문화와 관광을 접목한 매력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우리 지역 전통시장의 경쟁력과 자생력을 높여준 목사고을시장 상인들의 열정과 노고에 감사드린다"며 "전통시장이 침체한 민생경제의 돌파구가 될 수 있도록 나주사랑상품권 소비 캠페인, 명절맞이 10%페이백 행사 등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2025-01-15 16:13:44 양수녕 기자
기사사진
포항 철강단지 등 중소기업특별지원지역 지정 연장

국민의힘 이상휘 국회의원(포항시 남구, 울릉군)은 15일 포항시 관내 포항철강1단지 등 5개 지역에 대해 중기부가 중소기업특별지원지역(이하 특별지원지역) 지정 연장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특별지원지역은 「지역중소기업 육성 및 혁신촉진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역경제여건 등으로 중소기업의 경영환경이 악화되거나 악화될 우려가 있어 정부의 지원이 필요한 지역에 지정하게 되며 ▲직접 생산 물품의 제한경쟁입찰 및 수의계약 ▲국세ㆍ지방세 감면 ▲자금 ▲R&Dㆍ사업화 지원등의 혜택을 받게 된다. 포항지역의 경우 지난 2023년 태풍힌남노 피해로 인해 포항철강1~3단지, 포항4일반산단, 대송면 공업지역 등 5개 지역이 특별지원지역으로 지정된 바 있으나, 이달 25일자로 지정 기간이 만료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최근 포항시의 주요 핵심산업인 철강과 이차전지의 불황으로 포항 경제전반이 위기를 맞게 되면서 포항시에서는 이들 지역에 대한 특별지원지역 지정 연장 등 범정부 차원의 지원을 요구한 바 있고, 이에 대해 조사단의 현장 실사와 심의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최종 2년 연장이 결정됐다. 이와 관련, 이상휘 의원은 "세계적인 경기침체와 중국발 저가철강 공급등으로 포항의 핵심 산업이 전례없는 위기를 맞고 있고, 특히 중소업체들의 경우 심각한 경영난에 직면해 있다"며, "정부의 이번 특별지원지역 지정 연장 결정이 지역 중소업체들의 경영안정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포항 경제의 위기 극복을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2025-01-15 16:13:21 최지웅 기자
기사사진
포항시, 중소기업특별지원지역 2년 연장 지정…철강산업 위기 극복 마중물

포항시가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중소기업특별지원지역 2년 연장을 지정받았다고 15일 밝혔다. 중소기업특별지원지역은 경영 위기에 처한 산업단지·공업지역 등 중소기업 밀집 지역의 신속한 경영정상화 지원을 위해 지정하는 지역이다. 이번에 지정된 지역은 포항철강관리공단 1·2·3·4단지와 대송면 제내리 공업지역 등 5개 지역으로, 2023년 태풍 힌남노 피해로 중소기업특별지원지역으로 지정된 후 이달 25일 지정기간이 만료될 예정이었다. 이 지역의 입주기업의 상당수는 철강산업과 연관돼 있어 글로벌 철강 경기 침체 속에서 심각한 경영악화가 지속되는 어려움을 겪어 왔다. 이에 포항시는 철강산업의 위기 극복을 위해 생산실적, 고용 사정 악화 등 여건을 분석하고 중소벤처기업부 및 경북도와 지속 협의를 했으며, 현장실사, 심의위원회를 거쳐 중소기업특별지원지역 2년 연장을 최종 지정받게 됐다. 지난 12월 중기부 기업환경조사단 현장실사 시 이강덕 포항시장은 직접 포항의 어려운 경제 상황을 심사위원들에게 전해 깊은 공감을 얻은 바 있다. 이번 지정으로 기존 입주기업과 새로 입주할 중소기업은 향후 2년간 직접 생산한 물품으로 제한경쟁입찰과 수의계약을 통해 공공 입찰에 참여할 수 있으며, 중기부 긴급경영안정자금, 연구개발, 컨설팅, 판매 등 다양한 지원을 체계적으로 받을 수 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이번 중소기업 특별지원지역 연장 지정으로 글로벌 철강 위기 속 심각한 경영 위기에 처한 중소기업의 경영 안정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철강 및 이차전지산업의 위기 극복을 위해 범정부 차원의 실질적인 지원책을 지속 발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2025-01-15 16:13:07 최지웅 기자
기사사진
1월 韓증시 상승 키워드는?…신인·월드투어 예고 쏟아진 '엔터' 주목↑

새해 들어 국내 주요 대형 엔터테인먼트 기획사들의 주가가 상승세에 올랐다. 신인 아티스트들 데뷔와 인기 그룹의 컴백 예고에 투심이 몰리는 모습이다. 이에 증권사들도 향후 엔터주의 주가 전망을 낙관적으로 보고 있다. 15일 2511.92로 시작한 코스피 지수는 윤석열 대통령의 체포 소식이 전해지자 한때 2520선까지 올랐지만 2,496.81로 장을 마쳤다. 전 거래일보다 0.59포인트(-0.02%) 내린 수치다. 다만 국내 대표 엔터테인먼트 4사의 주가는 모두 소폭 상승했다. ▲하이브 22만2000원(+1.14%) ▲에스엠 7만7300원(+0.39%) ▲JYP엔터테인먼트 7만6000원(+0.26%) ▲와이지엔터테인먼트 4만9050원(+0.20%)으로 장을 마쳤다. 이날은 강보합에 그쳤지만, 네 개 엔터 기업의 연초 대비 상승률은 평균 10.77%를 기록 중이다. 지난해 1월 상장한 한국투자신탁운용의 'ACE KPOP포커스' 상장지수펀드(ETF)도 3개월 전보다 27.94%나 오른 수익률을 달성했다. 작년 12월 비상계엄 사태 이후 정치적 불확실성이 준 불안정한 시장 상황 속에서도 엔터주는 연초 상승세를 지켜낸 셈이다. 연초 엔터주 전반에 훈풍이 분 이유는 주요 기획사 중심으로 오래 준비해 온 신인 아티스트가 대중에게 공개됐기 때문이다. 에스엠도 8인조 신인 걸그룹 하츠투하츠(Heats2Hearts)를 다음달 24일에 공개할 예정이다. JYP엔터가 선보이는 7인조 보이그룹 '킥플립'이 오는 20일 데뷔를 앞두고 있다. 지난 13일 미래에셋증권은 JYP엔터에 대해 올해 실적 증대가 기대된다며 목표가를 기존 8만원에서 9만원으로 12.5% 상향했다. 여기에 하이브 산하 '빅히트 뮤직' 소속 방탄소년단(BTS)의 제이홉 월드투어 일정도 공개됐으며, 와이지엔터의 베이비몬스터 역시 올해 데뷔 첫 월드투어를 앞두고 있어 주가 부양에 기대감을 모으고 있다. 올해는 스트레이키즈의 대규모 북남미 투어도 예정돼 있다. 월드투어 콘서트는 엔터테인먼트업계에서 수익성 높은 사업으로 분류된다. 신규 음반 발매가 아니더라도 콘서트 기간 음원 수익과 음반 수익, MD(Merchandise·굿즈) 판매 규모가 커지는데, 이는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수익성 개선과 직결된다. 이에 메리츠증권은 하이브의 목표주가를 26만원에서 28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메리츠증권은 스트레이키즈의 스타디움 투어를 반영에 따른 실적 추정치 조정으로 JYP엔터의 목표주가를 7만4000원에서 8만8000원으로 올렸다. 김현용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2025~2026년 BTS 월드 투어는 60회차 360만명의 모객 규모가 예상된다"며 "BTS 멤버 제이홉의 상반기 월드 투어의 총매출은 2000억원에 달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현재 PER 27배인 하이브 주가는 38배까지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고 덧붙였다. 다만 김규연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엔터 산업을 대표하는 4개 엔터사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은 24.5배"라면서 "이는 코스피의 시가총액 가중평균 주가수익비율인 12.7배의 두 배에 가까운 수치로, 높은 밸류에이션은 대체로 투자자의 진입을 망설이게 하는 요소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2025-01-15 16:12:49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경남정보대, 한국소방시설관리사협회 표창장 수여식

경남정보대학교는 지난 13일 교내 민석기념관 대회의실에서 이 대학 소방안전관리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소방시설관리사협회 부산지회장 표창장 수여식을 진행했다. 소방안전관리과 졸업 예정인 2학년 ▲김지민 ▲윤상호 ▲박도형 학생이 우수 학생으로 선정돼 표창장과 부상을 받았다. 이들은 학업 성적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소방 관련 실습과 학업에서도 두각을 나타내며 소방 전문 분야 발전에 기여할 잠재력을 인정받았다. 이날 행사에는 이경훈 한국소방시설관리사협회 부산지회장을 비롯한 협회 임원 관계자들이 참석했으며 소방안전관리과 교수진도 함께 자리했다. 소방안전관리과 이정필 학과장은 "한국소방시설관리사협회 부산지회에서 우리 학생들의 우수성을 인정해 주셔서 감사하다"며 "앞으로도 소방 분야를 선도할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경남정보대 소방안전관리과는 소방 전문 인력 수요 증가에 따라 2020년 개설했다. 현장과 동일한 환경에서 실무 교육을 제공해 졸업과 동시에 현장에 투입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한다. ▲소방설비산업기사 ▲위험물산업기사 ▲산업안전산업기사 ▲가스산업기사 등 자격증 취득과 공무원 준비반을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성인 학습자도 모집하고 있다.

2025-01-15 16:12:38 이도식 기자
기사사진
광주시교육청, 5·18 전국화·세계화 박차 가한다

광주시교육청(교육감 이정선)이 5·18민주화운동의 전국화, 세계화에 박차를 가한다. 시교육청은 올해 5·18민주화운동 교육 활성화 계획을 마련하고, 전국화, 세계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특히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체험 활동을 강화해 역사적 사실을 생생히 배울 수 있도록 '사적지 탐방 버스', '5·18 계기교육 자료 개발' 사업 등을 신규로 추진한다. 올해 첫 선을 보이는 '5·18 사적지 탐방 오월 버스'는 학생들이 4~5월에 국립5·18민주묘지, 전일빌딩245 등 5·18 주요 사적지를 편하게 둘러볼 수 있도록 학교당 2대의 버스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또 '5·18민주화운동 계기교육을 위한 교육자료'를 개발해 오는 4월부터 전국 16개 시·도교육청과 전국 초·중·고·특수학교에 보급한다. 자료는 학교와 학생 수준을 고려한 2차시 이상 계기교육 PPT, 활동자료, 수업 지도안 등 교사들이 5·18민주화운동을 교육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기존에 해왔던 사업도 계속 추진한다. 시교육청은 모든 학교에서 범교과 학습 주제로 연간 2시간 이상 5·18민주화운동 교육을 하도록 하고, 올해 5·18민주화운동 45주년을 맞아 학교별로 특색을 살린 기념행사를 추진할 수 있도록 행사운영비를 최대 60만원까지 지원한다. 그동안 꾸준히 진행했던 대만과의 학생 중심 교류 활동은 학생 글로벌 리더 세계 한 바퀴와 결합해 '찾아가는 5·18민주화운동 국제교류 프로그램'으로 발전시킬 예정이다. 이 사업을 통해 학생들은 5·18민주화운동과 대만 2·28사건을 이해하고 5·18을 전세계에 알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전국 교원을 대상으로 한 5·18민주화운동 교육 직무연수 운영, 타 지역 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한 5·18 체험학교, 5·18 가치를 국내·외에 홍보하는 청소년 5·18홍보단 '푸른새' 활동도 계속 이어진다. 지난해 시작돼 좋은 반응을 얻었던 해외 청소년 대상 '찾아오는 5·18민주화운동 국제교류 프로그램'은 국립5·18민주묘지 참배, 사적지 탐방, 광주학생들과 수업 교류, 캠페인 활동 등 다양한 활동으로 운영한다. 이정선 교육감은 "올해 5·18민주화운동 45주년을 맞아 민주·인권·평화·나눔·공동체의 가치가 더욱 빛을 발하도록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겠다"며 "5·18 교육을 통해 우리 아이들이 성숙한 민주시민으로 자라고, 5·18 정신이 전국을 넘어 세계로 확산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2025-01-15 16:12:20 양수녕 기자
기사사진
부산교통공사, ‘대중교통 활성화 슬로건 공모전’ 개최

부산교통공사가 대중교통에 관심 있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도시철도 중심 대중교통 활성화 슬로건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공모전은 이달 15일부터 28일까지 14일 동안 진행되며 도시철도 중심의 대중교통 이용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대중교통 활성화에 관심 있는 시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도시철도의 대표적 장점과 대중교통 활성화 필요성을 잘 나타내고 간결하면서 호소력 있는 표어 문구를 내용으로 1명당 2건까지 응모할 수 있다. 공사는 독창성과 상징성, 효과성, 적합성 총 4개 항목으로 평가하고, 내부 심사와 시민 선호도 조사를 거쳐 총 9건을 선정한다. 결과는 2월 14일에 발표할 예정이며 홈페이지를 통해 수상작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입상자에게는 소정의 시상금과 상장이 수여된다. 최종 채택된 문구는 직원 대상 내부 공모를 통해 채택된 최우수작과 함께 공사의 주요 홍보 활동 및 관련 사업에 활용될 예정이다. 참가 신청은 공사 누리집에서 응모 가능하며 1월 28일 밤 11시 59분까지 접수된 건이 심사 대상이다. 이병진 부산교통공사 사장은 "이번 공모전이 대중교통 활성화에 대한 부산 시민의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선정된 슬로건을 활용한 홍보 활동을 통해 도시철도 중심의 대중교통 이용 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공사는 1월 1일부터 총 17명으로 구성된 대중교통 활성화 추진단을 구성해 도시철도 중심의 대중교통 이용 증진에 전사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교통 정책 개선 ▲이용 편의 증진 ▲시민 대상 홍보 등 3대 분야 17개 과제를 도출해 부산 대중교통 발전을 위해 총력을 다할 예정이다.

2025-01-15 16:11:26 이도식 기자
기사사진
곡성군, 만감류(옥과향)‘첫 수확’ 현장 평가회 개최

곡성군(군수 조상래)은 지난 14일 옥과면 황산리에 위치한 정병오 농가를 방문하여 만감류 첫 수확 현장을 둘러보고 농업인과 소통하는 현장 평가회를 개최하였다고 전했다. 정병오 농가는 레드향 1,400평을 재배하며, 수확된 농산물은 옥과농협(공선출하회)을 통해 판매되고 있다. 이번 행사에는 곡성군수, 농업기술센터 관계자, 농협, 농업인들이 참석해 그동안의 노력과 협력을 되돌아보는 사업 경과보고가 이루어졌다. 보고에서는 농업기술센터와 옥과농협, 농업인들이 함께 걸어온 과정과 성과를 공유하며, 지역 농업의 발전을 위한 협력의 중요성을 재확인했다. 또한, 이러한 노력의 결실로 탄생한 천혜향과 레드향을 참석자들이 직접 시식하며 두 품종의 차이를 비교해보는 특별한 시간을 가졌다. 천혜향은 부드럽고 달콤한 맛으로 소비자들에게 사랑받는 대표 과일로 자리 잡았으며, 레드향은 깊고 풍부한 풍미가 특징으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행사에 참석한 한 농업인은 "천혜향과 레드향을 키워내기까지 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이렇게 맛을 보니 그간의 노력이 헛되지 않았다는 것을 느꼈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이번 행사는 단순한 시식회를 넘어, 지역 농업 발전과 농가 소득 증대를 위한 지속적인 협력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되새기는 자리였다. 곡성군은 옥과농협과 함께 2020년부터 2025년까지 6년간 만감류 재배 활성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지원해왔다. 기후변화대응 새로운 소득작목 도입을 위해 2019년 지역활력화작목기반 조성 과수분야 공모사업에 최종 선정되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천혜향, 레드향, 카라향의 만감류 특화단지 3.5ha 조성을 완료하였고, 올해에도 사업비를 배정받아 만감류 0.7ha 단지 조성을 목표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옥과권역(옥과면, 겸면, 오산면)을 중심으로 만감류 재배 면적이 확대되어 올해까지 4.2ha를 조성할 예정이며, 주요 품종으로는 천혜향과 레드향을 재배할 계획이다. 금년 곡성군은 5농가에서 약 20톤의 만감류를 생산하여, 총 2.2억 원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지역 농가의 소득 증대와 더불어 곡성군 농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요한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조상래 군수는 "곡성의 새로운 소득 작물로 자리 잡은 만감류가 농가 소득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며, "앞으로도 '새로운 곡성 희망찬 군민' 실현을 위해 농업인들과 함께 지역 농업의 밝은 미래를 만들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2025-01-15 16:10:58 양수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