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
기사사진
[새로나온 책]려도 '중국 신노동자의 미래'

려도 지음/정규식·연광석·정성조·박다짐 옮김/나름북스 '인생', '허삼관 매혈기', '형제2' 중국 대표 작가 위화읙 작품이다. 그는 중국을 이렇게 비유한다. "같은 무대에서 절반은 희극을 공연하고 절반은 비극을 공연하는 이상한 극장이다." 중국의 거대한 빈부격차는 3억명만에 달하는 농민을 도시를 배회하는 품팔이로 만든 들었다고…. 려도가 사회학적 관점으로 풀어낸 책이 '중국 신노동자의 미래'다. 저자는 중국 빈곤정책 연구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지만 학계에 남는 대신 기층 노동자들과 함께 연구하고 일하는 삶을 택했다. 농촌에 남겨진 아이들의 잿빛 얼굴을 보고 자신의 논문이 이들에게 무슨 소용이 있겠냐는 회의감에 려도는 굽이진 길을 택했다. 노동자들의 삶을 추적하고, 이들을 대화자로 삼아 글을 썼다. 그는 도시에 정착하지 못하지만 농촌으로 돌아갈 수도 없는 신세대 농민공을 '신노동자'로 칭했다. 이들을 수년에 걸쳐 인터뷰하고 생애를 추적했다. 개혁·개방으로 중국의 자본주의가 급속히 발전하는 과정 속에서 전통적 노동계급과는 다른 새로운 노동계급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대부분 농촌이 고향인 이들은 일거리를 찾아 연해지역의 대도시들로 몰려들었다. 그러나 엄격한 '호구' 제도 아래 신분은 고향에 묶여 있기 때문에 대도시에서 아무리 '품팔이'를 계속하더라도 결코 대도시의 일원은 될 수 없다. 과거 '농민공'이라 불렸던 이들은 이제 '신노동자'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요구받는다. 저자가 만난 신노동자들은 장시간 노동과 극심한 스트레스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인간을 기계 부품처럼 인식하는 기업은 노동자를 착취 대상으로 삼을 따름이다. 어렵게 취업해도 단순하고 반복적인 작업만 해야 하는 신노동자 처지를 저자는 품팔이에 비유한다. 이들은 안정적으로 가정을 꾸려 여가를 즐기는 삶을 희망하지만, 자본의 통제와 한 곳에 정착하지 못하는 상황으로 인해 꿈을 이루지 못한다. 저자는 베이징에 도착한 신노동자가 모욕감을 없애기 위해 키워온 환상을 깨고 노동자임을 인식해 힘을 얻었다는 이야기를 소개하면서 "자기 운명을 바꾸려면 자신이 누구인지 알아야 한다. 전작 '중국 신노동자의 형성'이 '신노동자'라 불리는 오늘날 중국의 노동자 계급이 형성된 맥락과 현실을 다뤘다면, 후속작인 이 책의 열쇳말은 '문화'였다. 이때의 문화는 행동이나 의식주, 생활양식뿐만 아니라 교양과 가치관, 정신문화를 망라하는 것이다. 저자가 천착해 온 '어떤 사람이 될 것인가'라는 질문은 한 개인의 문화적 정체성의 총체적 표현이다. 606쪽. 2만원.

2018-09-02 11:25:09 신원선 기자
기사사진
"가족에게 힐링을"…치매 가족 위한 무료 '토크 콘서트' 9월 개최

"가족에게 힐링을"…치매 가족 위한 무료 '토크 콘서트' 9월 개최 치매 가족을 위한 토크콘서트가 열린다. '치매가족이기에 치유콘서트' 측은 오는 9월 8일 오후 2시 서울 광화문 라이나생명 사옥 시그나홀에서 강연과 음악, 토크가 어우러진 공연이 진행된다고 31일 밝혔다. 이 행사는 소셜벤처기업 ㈜실버임팩트가 주관하고 라이나생명의 라이나전성기재단, 통합콘텐츠기업 더바인이 후원한다. 65세 이상의 10%인 70만 명, 80세 이상 노인은 4명 중 1명이 치매를 앓는다. 여기에 치매환자 수는 72만 명, 부양가족 수 270만 명을 넘고 있다. 치매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인해 환자와 가족이 겪는 고통과 악순환도 끊이지 않는다. 이에 뇌질환 환자 가족을 돕는 소셜벤처 ㈜실버임팩트는 오는 치매극복의 날을 기념해 치매가족도 치유가 필요하다는 취지로 힐링을 전하는 토크콘서트를 개최한다. '환자에게도 처음이지만 가족에게도 처음인, 몰라서가 아니라 알면서도 마음처럼 하기 어려운, 치매가족들과 함께 마음을 풀고 다시 힘을 내는' 콘텐츠를 담았다. 이번 콘서트에서는 치매와 함께하는 가족이 모여 공감, 위로, 힐링의 시간을 갖는다. 같은 아픔을 겪고 있는 가족들이 동병상련의 마음으로 함께하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서로 이해하고 연대하여 오랜 병을 감당할 힘을 나누고자 한다. 1부에서는 11년간 시부모의 치매를 돌본 최상옥 상담사가 강연하고, 2부에서는 라이나전성기재단의 꿈의 무대 음악봉사단인 통기타밴드 통노마의 공연을, 3부에서는 대한치매가족협회 이성희 회장과 어르신사랑연구모임 유경 대표, 서울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주임과장 장용이 박사와 함께 치매 인식 개선 및 정보 나눔의 장으로 진행된다. 또한 감성붓다의 디지털 캘리그라피 퍼포먼스를 통해 관객들에게 힐링 메세지를 전달한다. ㈜실버임팩트 황교진 대표는 "기억을 잃었어도 내 부모이기에 책임감과 죄책감에 자신을 희생하는 사람들, 자신의 일상이 사라진 사람들, 중환자가 돼 가는 가족 앞에서 나의 슬픔, 고통의 카오스는 돌아볼 여유가 없는 가족들에게 선물의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했다. '치매가족이기에 치유콘서트'는 무료입장이며, 와디즈 크라우드펀딩으로 지원할 수 있다. 치유콘서트 참가는 온오프믹스 웹사이트를 통해 신청하거나, 당일 현장신청 및 전화신청도 가능하다. 한편, 당일 참석자 전원에게는 L파일, 엽서, 한독의 치매 예방 영양제인 테라큐민플러스90 등 다양한 선물이 제공될 예정이다.

2018-08-31 18:13:21 김민서 기자
기사사진
문화 프로젝트 ‘스테이션 0’, 청춘 위한 위로 메시지 ‘주목’

‘스테이션 영’은 SK텔레콤의 컬쳐브랜드 ‘0(영, Young)’과 SM 엔터테인먼트가 손잡고 젊은 세대들의 미래를 응원하는 메시지가 담긴 음원을 선보이는 문화 프로젝트다. 태연x멜로망스의 ‘Page 0’ 뮤직비디오 영상은 조회수 300만회를 넘어섰으며, 백현x로꼬의 ‘영’ 또한 음원 공개 전임에도 불구 뮤직비디오 티저 영상이 70만회를 넘어섰다. 지난 10일 ▲태연x멜로망스의 ‘Page 0’을 시작으로 ▲백현x로꼬의 ‘영’은 31일 발매를 앞두고 있으며, ▲찬열x세훈, ▲크러쉬x페노메코, ▲레드벨벳 슬기x여자친구, 신비x청하x(여자)아이들 소연 등 총 6곡의 컬래베이션 음원이 차례로 공개될 예정이다. 대세 아이돌과 대세 래퍼, 음원 강자, 걸그룹 춤꾼 등 1020 세대들의 막강한 지지와 사랑을 받고있는 아티스트들의 컬래베이션으로 공개 전부터 많은 관심을 모았다. 또한, 아직까지 공개되지 않은 아티스트에 대한 관심도 여전히 뜨겁다. 관계자에 따르면 젊은 세대들의 고민과 불안, 위로가 필요한 수많은 청춘들을 응원하는 ‘스테이션 0’은 실제 많은 관심과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까지 ‘스테이션 영’의 라인업으로 공개된 아티스트는 총 5팀으로 전에 볼 수 없던 역대급 조합이 눈길을 끈다. ‘Page 0’에서는 “아득해 보였던 꿈의 조각들을 모아 내가 원했었던 찬란한 미래로 길을 만들어 줄거야”, ‘영’에서는 “뻔한 것보단 니 멋대로 뭔가 자유롭게 해 발칙한 발상 넌 아직 so young’ 등의 가사가 인상적이다. 미래를 향해 각자만의 꿈을 가지고 세상 앞에 서있는 많은 젊은이들에게 힘과 용기를 주는 이야기, 남들과 똑같이 살기를 거부하는 젊은 세대의 당찬 포부 등 ‘숫자가 시작되는 0’, ‘젊음을 뜻하는 Young’을 의미하는 ‘0’ 브랜드 메시지를 노래로 전하고 있다. 곡을 들은 사람들은 “멜로디도 너무 좋고 제가 매일 듣고 있는 노래입니다”, “진짜 하루 끝에 들으면 힐링 제대로 하는 노래” 등의 반응을 보였다.

2018-08-31 14:13:18 메트로신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