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창업/취업
'일자리 65만개 차질 우려'…현오석, 국회 예산안 심사 호소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국회 의사일정을 전면 거부하고 있는 민주당에 대해 "국회로 돌아와 예산안을 심사해달라"고 호소했다. 현오석 부총리는 1일 서울 시내 한 식당에서 기자들을 만나 "국민은 집 나간 가족(야당)을 기다리는 심정일 것"이라면서 "반대해도 좋으니 바깥에서 얘기하지 말고 좀 들어와서 얘기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새해 예산안 처리의 법정 시한인 12월2일을 하루 앞둔 이날까지 예산안이 상정조차 되지 못해 사상 초유의 준(俊)예산 편성 가능성이 불거지면서 현 부총리가 이날 읍소에 나선 것이다. 현 부총리는 현재 국회 상황을 블랙홀로 비유했다. 그는 "정치가 경제나 법안 등 모른 것을 빨아들여 꼼짝 못하게 하는 블랙홀이 되고 있다"면서 "이런 현상이 고착화면서 결국 필요 이상의 비용을 지출하게 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현 부총리는 경기라는 측면에서 봤을 때에도 여야의 극한 대치는 곤혹스럽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그는 "현재 경기는 갈림길에 서 있다"면서 "외국 신용평가사의 신인도뿐 아니라 국내 시장에 주는 메시지가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확실한 방향으로 가줘야 하는데 반대로 가고 있어 정책의 신뢰성에 문제가 생기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예산안이 제때 통과되지 않는 문제에 대해 "예산은 갓난 애부터 어르신까지 모두에게 영향을 미친다"면서 "대학생 등록금, 어르신 기초연금을 비롯해 기초 생활 수급자 등이 모두 영향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현 부총리는 "예산안 처리가 올해를 넘겨 사상 초유의 준예산이 편성되면 65만개에 달하는 일자리 예산 집행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면서 지자체가 실업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겨울철 재정 지원 일자리, 노인 대상의 취로 사업 등을 예로 들었다. 그는 예산안이 통과되지 않으면 경기 회복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간접자본(SOC) 지출도 불가능해진다고 설명했다. 내년 SOC 예산은 23조3000억원으로 이중 계속비 성격인 3조1천억원 정도만 집행되고 나머지 약 20조원 상당은 중단된다. 현 부총리는 "준예산은 천재지변 등을 의식해서 만든 제도지 국회 처리 등으로 지연될 때를 대비해서 만든 제도가 아니다"면서 "준예산을 논의한 것 자체가 안타깝고 불필요한 불안감을 만드는 것이다"이라고 밝혔다. 그는 공공기관 정상화 대책과 관련해 "정책사업이나 의욕적 투자 등에 따른 부채 증가 등 원인을 공개할 것이다"며 "부채 관리 계획을 세우면 부처를 중심으로 고용률 70%를 체크하듯 진행 상황을 볼 것이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주무부처의 장관이 책임지고 공공기관 부채를 관리하면서 관련 문제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논의하고 결과를 대통령에게 보고하도록 할 것이다"며서 "과도한 복지는 정부가 가이드라인을 주고 시정이 안된다면 경영평가 과정에서 조치를 취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2013-12-01 19:02:28 정영일 기자
"1000명 이상 대기업 대졸 초임 월 300만원 넘었다"

1000명 이상 대기업에 입사한 4년제 대졸 신입사원 초임이 처음으로 월 300만원을 넘은 것으로 조사됐다. 1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562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3년 임금조정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4년제 대졸 신입사원의 초임(상여금 월할분 포함)은 월 265만9000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255만4000원 대비 4.1% 상승한 수준이다. 기업 규모별로는 100~299인 기업이 233만9000원, 300~499인은 257만원, 500~999인은 268만2000원, 1000인 이상 기업은 300만1000원으로, 처음으로 300만원을 넘어섰다. 산업별로는 금융 및 보험업이 310만3000원으로 가장 높았고, 운수·창고 및 통신업 277만9000원, 제조업 262만2000원, 도매 및 소매업 261만3000원, 건설업 257만6000원의 순이었다. 직급별 초임은 부장 585만4000원, 차장 501만2000원, 과장 435만1000원, 대리 356만7000원이었으며, 학력별 초임은 대졸 265만9000원, 전문대졸 231만7000원, 고졸 생산직 217만4000원, 고졸 사무직 194만원이었다. 올해 임금협상이 타결된 기업의 평균 인상률은 4.0%로, 금융위기 여파로 1.4%에 그쳤던 2009년 이후 최저 수준이었다. 기업 규모별로는 1000인 이상 대기업 임금인상률(2012년 5.4%→2013년 3.6%) 하락폭이 1.8%포인트로 가장 컸고, 산업별로는 도매 및 소매업(2012년 5.3%→2013년 3.7%)과 금융 및 보험업(2012년 4.9%→2013년 2.6%)의 임금인상률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임금협상 과정에서 노조는 평균 7.9% 인상을 요구한 반면, 사용자는 평균 2.8%를 제시해 양측의 격차는 5.1%포인트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보다 0.7%포인트 하락한 수준이다. 임금교섭 타결을 위한 협상횟수는 평균 5.2회, 협상기간은 평균 1.9개월로 지난해(5.7회, 2.2개월)보다 줄었다. 임금협상이 타결되지 않은 이유로는 '관행적으로 현 시점에서 미타결'(38.3%), '노동 관련 쟁점으로 인한 노사 간 입장차이'(31.3%) 때문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올해 임금인상에 대해서는 83.3%는 적절하다고 답했으며, 16.7%는 무리하게 인상했다고 평가했다.

2013-12-01 11:59:38 이재영 기자
기사사진
2013 취업 준비생의 뇌 구조는? "취업 생각으로 가득"

한달 남은 2013년. 올해 구직자의 '뇌 구조'는 어떠했을까.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은 20~30대 구직자 665명을 대상으로 "현재 귀하의 뇌구조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무엇입니까?"라고 설문한 결과 '취업'(46.5%)이 1위를 차지했다고 29일 밝혔다. 이어 '연봉, 돈'(9%), '인생의 의미, 계획'(7.8%)이 상위에 올랐다. 이밖에 '등록금 빚, 카드값'(6.3%), '어두운 미래'(5.9%), '취업 못한 자책감'(4.4%), '로또 등 복권당첨'(3.3%), '연애, 이성관계'(3.2%), '토익, 자격증 등 스펙'(2.4%), '사업, 창업'(2.3%), '부모님께 효도'(1.7%), '휴식, 여행'(1.4%), '결혼'(1.2%), '몸매관리'(1.1%) 등의 순이었다. 이러한 생각으로 머릿속이 가득 찬 이유로는 '가장 중요한 문제라서'(49.8%)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빨리 해결해야 하는 문제라서'(24.7%), '오랫동안 해결이 안 되어서'(9.8%), '피할 수 없는 거라서'(8.3%) 등이 거론됐다. 앞으로 머릿속을 가득 채우고 싶은 관심사는 어떠했을까. 구직자들은 '월급, 연봉, 재테크'(48.6%,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고, '인생의 의미, 계획'(36.4%)이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 '부모님께 효도'(28.1%), '휴식, 여행'(26.3%), '퇴근 후 취미생활'(25.7%), '내 집 마련'(24.4%), '연애, 이성관계'(21.7%), '결혼'(19.2%), '친구, 우정'(17.6%), '해외여행 계획'(16.5%), '회사 상사, 동료 관계'(16.4%), '몸매관리'(14.1%), '향후 이직 고민'(11.1%), '사업, 창업'(10.1%) 등이 답변됐다.

2013-11-29 16:51:32 장윤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