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
기사사진
[짠순이 주부 경제학] 전기 먹는 '전기밥솥' 냉동밥이 해결사

전기밥솥이 '전기 먹는 하마'라는 건 다 아는 사실이다. 우선 전기밥솥의 '불편한 진실'부터 알아보자. 가정에서 시간당 소비전력이 많은 가전제품은 '에어컨'(1750wh)이다. 다음으로 전기다리미(1255wh), 청소기(1155wh), 전자레인지(1150wh), 전기밥솥(1077wh, 취사 기준) 등의 순서다. 그러나 1년 기준으로 했을 땐 순서가 뒤바뀐다. 전기밥솥(923㎾h, 취사·보온)이 가장 많이 소모되고, 냉장고(500㎾h), 에어컨(358㎾h), TV(299㎾h), 김치냉장고 (187㎾h) 순이다. 다시 말해 가동 시간이 긴 제품들이 전기를 잡아먹는 복병이란 얘기다. 평균적으로 밥 짓는 1시간 동안 1071wh, 보온하는 13시간 동안 1309wh의 전기를 쓴다. 한 달 쓰면 75KWh다. 서울 한 가구의 월 평균 전력사용량이 316KWh인 점을 감안하면 집에서 쓰는 전기의 약 4분의 1을 전기밥솥이 소비하는 셈이다. 만약 남은 밥을 몇 일씩 보온상태로 둔다면 전기 사용량은 눈덩이처럼 커지게 된다. 결국 전기밥솥은 보온 시간만 절반으로 줄여도 한 달에 21KWh의 전기를 아낄 수 있다. 특히 전기밥솥은 '취사'할 때 전기가 많이 소모된다고 하니, 꼭 유의해야 한다. 전기밥솥 전기를 아낄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이 있다. 바로 '냉동밥'이다. 한번에 충분한 양의 밥을 지어서 냉동밥을 만들고, 필요할 때마다 전자레인지로 데워 먹는 방법이다. 갓 지어낸 밥을 밀폐용기에 나눠 담고, 살짝 식힌 후에 뚜껑을 닫으면 된다. 뚜껑에 이슬이 살짝 맺힐 때, 냉동실로 직행하면 끝! 그래야 전자레인지에 데울 때 그 수분으로 촉촉한 밥이 된다고 한다. 밥팩 하나당 전자레인지로 2분 돌리면 갓지은 밥맛을 그대로 즐길 수 있다. 이외에도 전기밥솥의 취사나 보온 기능 대신 압력밥솥을 이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김민지기자 minji@metroseoul.co.kr

2013-11-14 18:22:37 김민지 기자
카드사 부가혜택 맘대로 못 줄인다 "최대 5년간 의무유지 추진"

카드사들은 이르면 내년 상반기부터 포인트, 마일리지 등 기본 부가혜택을 최대 5년간 줄일 수 없게 된다. 제휴 부가 혜택도 기존에는 카드사들이 자의적으로 중단할 수 있었으나 앞으로는 1년간 의무 유지해야 하며 해지할 경우 고객에게 6개월 전까지 반드시 알려야 한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카드업계가 부가 혜택을 내세워 고객을 유치하고 슬그머니 서비스를 없애는 불합리한 관행 개선을 위해 이같이 결정했다. 먼저 카드사의 부가혜택 의무 유지 기간은 카드 출시 후 기존 1년에서 최소 3년간으로 늘어난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카드 유효기간이 5년이라는 점을 고려해 최대 5년간 강제하는 방안도 병행해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대부분의 카드사들은 회원 모집을 위해 무리한 부가 혜택을 담은 카드 상품을 출시한 뒤, 이후에 혜택을 무차별적으로 줄이는 수법을 써 문제가 됐다. 또 금융당국은 카드사들이 제휴사와 부가 혜택 계약을 체결할 때 1년간은 무조건 유지하도록 하며 해지할 경우 6개월 전에 공지하도록 하는 내용의 지도 공문을 조만간 내려 보낼 예정이다. 지금까지 카드사와 제휴사간 계약은 규정에서 예외로 여겨져 제휴사가 계약 청산을 통보하면 유예 기간 없이 카드 발급이 중지되거나 해당 부가 혜택이 없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신한카드는 최근 제휴업체 사정을 이유로 무려 100여종 카드의 발급 중단을 불과 이틀 전에 발표했다./김현정기자 hjkim1@

2013-11-14 18:00:08 김현정 기자
한은 기준금리 연 2.50%…6개월째 동결(종합)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2.50%로 유지하기로 했다. 지난 5월 기준금리를 연 2.75%에서 2.50%로 내린 이후 6개월 연속 동결 조치다. 한은은 14일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행 수준에서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결정은 시장의 예상과도 일치했다. 앞서 채권전문가 99%는 11월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으로 전망했다. 경제 전문가들은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전분기 대비 1.1%를 기록해 2분기 연속 1%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면서도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시기에 대한 전망이 엇갈리고 있어 향후 상황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 "세계 중앙은행 금리 정책 조정" 최근 주요국 중앙은행은 나라별 경제상황에 따라 금리 정책을 달리하고 있다. 호주는 이달 연 2.5%의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유럽중앙은행(ECB)은 종전 0.5%를 0.25%로 내렸다. ECB는 지난 5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한 이후 6개월만에 다시 역대 최저치를 경신한 것이다 김완중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해외 중앙은행의 금리 조정은 참고할 사항"이라며 "완만하게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는 국내 경제상황에서 ECB처럼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낮다"고 진단했다. 그는 "국내 경제는 재정정책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데다 성장 국면으로 진입했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금리 인하를 고민할 필요는 없다"고 설명했다. 김선태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거시금융팀장은 "유럽 경기가 나빠져서 국내 경기에도 악영향을 미치기 시작하면 유럽과 한국의 정책금리간 상관관계가 높아지겠다"면서도 "현재 국내 경기는 대외불안요인이 존재함에도 회복 국면에 있다"고 평가했다. ◇ 금융업계 "내년 하반기쯤 금리인상 전망" 금융업계에서는 한은이 내년 하반기에나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내다봤다. 스탠다드차타드(SC)은행은 '2013년 경기 회복의 해'라는 보고서를 통해 내년 하반기에는 한은이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은은 5월 단행된 기준금리 인하와 추경예산의 효과를 살피며 당분간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관측했다. 이외에도 외국계 투자은행인 씨티그룹, 골드만삭스, 노무라 등은 최근 보고서에서 "한은이 올해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민지기자 minji@metroseoul.co.kr

2013-11-14 10:20:12 김민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