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왓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양소리
수입원유 중동산 비율 10년째 80%대 요지부동

수입원유 중동산 비율 10년째 80%대 요지부동 운송비절감, 안정적 공급처 확보 등으로 다변화 쉽지 않아 우리나라의 연간 원유 수입량 중 중동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10년째 80%를 상회하고 있다. 19일 한국 석유공사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지난해 원유 9억2천여만배럴을 수입했으며 이 가운데 중동산이 84%를 차지했다. 나머지는 아시아산 9.6%, 아프리카산과 유럽산이 각각 2.7%, 아메리카산 1.1%로 구성됐다. 1980년에는 원유 수입량의 98.8%를 중동산에 의존했으나 1985년에는 57%까지 줄인 적도 있다. 하지만 2005년부터 2014년까지 10년 동안 중동산 비율은 해마다 80% 이상을 기록했다. 2013년 중동산 비율은 86%였는데, 지난해 정세가 불안한 이라크와 경제제재를 받는 이란산 수입이 줄면서 그나마 84%가 된 것이다. 우리나라는 2006년에 28개국 90개 유종의 원유를 수입했고, 2014년에는 29개국 74개 유종을 수입했다. 국내 정유사들은 수입처 다변화를 통해 중동산 의존도를 낮춰 지정학적 불안요인에 대비하고 가격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면서도 현실적으로는 어렵다고 말한다. 중동산만큼 많은 물량을 안정적으로, 적당한 가격에 공급받을 곳을 찾기 어렵다는 게 주된 이유다. 아프리카산과 남미산은 운송료가 많이 들고, 아시아산은 물량이 안정적으로 확보되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미국은 셰일자원 혁명으로 원유 생산량이 사우디아라비아를 따라잡고 있지만 '오일쇼크' 이후 1975년 제정한 원유 수출금지 원칙을 아직 고수하고 있다. 특히 국내 정유사의 정제시설이 중동산 원유에 최적화된데다 여러 유종을 들여오면 보관 탱크를 늘려야 하고, 투입에 앞서 전(前)처리와 혼합에 들어가는 비용·시간도 늘어난다. 예컨대 에쓰오일은 최대주주인 사우디아라비아의 석유회사 아람코에서 원유 수입량의 90%인 2억 배럴을 가져오고 유종은 아라비안 라이트(A.L) 등 3가지이다. 원료 구성이 단순하다 보니 곧바로 정제시설에 투입하고 균일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어 작년 4분기 유가급락에 따른 재고평가 손실도 업계 예상보다 적었다. SK에너지는 지난해 22개국에서 원유를 수입했지만, 쿠웨이트 6천514만배럴, 사우디아라비아 4천만배럴 등 중동산이 전체 수입량의 77.5%를 차지했다. GS칼텍스는 18개국에서 수입했고, 중동산 비율은 83.7%, 현대오일뱅크는 14개국에서 수입했고, 중동산 비율은 89.1%로 더 높았다. 다만 SK에너지는 작년부터 연료 다변화 정책으로 정제과정을 거친 중유(fuel oil)제품을 수입해 원유와 섞어 쓰고 있다. 이 때문에 SK에너지의 원유 수입량이 2013년 2억8천여만배럴에서 지난해 2억3천여만배럴로 줄었다. 정유사 관계자는 "한국과 일본의 원유 수입처가 중동에 쏠려 있다 보니 기존 가격에 아시아 프리미엄까지 붙는 실정"이라며 "중국은 아프리카산 비중을 높이는 등 중동 의존도를 50% 안팎까지 낮췄고, 우리도 장기적으로는 중동 의존도를 낮춰야 하지만 쉽지 않다"고 말했다.

2015-02-19 09:14:50 양소리 기자
기사사진
화학산업 점진 회복···품목별로는 시황 엇갈려

올해 석유화학산업은 유가반등과 수요 개선으로 전반적인 업황 개선이 기대된다. 시황은 품목별로 엇갈릴 것으로 보인다. 17일 한국석유화학협회가 발간한 '세계 석유화학산업 현황 및 전망'에 따르면 올해 화학산업은 점진적인 유가 상승 및 민감심리 소비 증대, 가격 상승에 따른 구매 증가로 업황 회복이 전망된다. 특히 에틸렌 시장은 올해에도 공급 부족으로 호조를 보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됐다. 올해 세계 에틸렌 생산능력은 전년 대비 4%(630만t) 늘어난 1억6400만t으로 증대되지만 수요 개선 등으로 가동률 역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신·증설 규모가 136만t에 불과해 공급 부족이 지속될 것으로 협회는 분석했다. 현재 중국은 자국내 에틸렌 원료 공급부족을 감안해 기존의 수입관세율(2%)에 1%의 잠정관세를 적용하는 등 원료 확보 방안을 강구 중이다. 프로필렌 시장은 부진이 예상됐다. 올해에만 신·증설 물량은 지난해 대비 약 두 배 가량 확대된 700만t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프로필렌 수입규모가 연간 300만t에 달하는 중국이 본격 신·증설을 가동함에 따라 시황 침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중국의 자급화가 마무리 된 PTA(고순도테레프탈산)는 추가 신증설로 지속적인 가동률 하락을 보이며 장치 침체 국면이 이어질 전망이다. 화학산업의 장기 침체가 예상됨에 따라 우리나라를 비롯해 유럽, 일본 석유화학업계는 원료 다변화 및 사업구조 재편 등을 통한 원천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국내 업계는 콘덴세이트, LPG 기반의 증설 및 해외 현지 저가 가스 기반의 올레핀 투자에 집중하고 있다. 일본은 범용사업에서 과감히 철수, 소재 분야의 집중 투자를 통해 고수익 창출형 산업으로 전환 중이다. 범용사업의 경우 코스트 저감을 기반으로 경쟁력이 떨어진 설비를 스크랩하고 강점 사업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유럽은 설비노후화 및 규모, 원료 경쟁력 약화에 따른 설비 감산과 고부가화를 위한 구조개혁에 나섰다. 2000년대 이후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유럽내 수요 및 사업규모에 맞추기 위한 모양새다.

2015-02-17 14:30:00 양소리 기자
기사사진
OCI, 네팔 산간 마을학교에 태양광을

OCI, 네팔 산간 마을학교에 태양광을 태양광 업체 OCI가 네팔 안나푸르나 지역 산간 마을학교 두 곳에 태양광 발전장비를 선물했다. OCI는 해발 2000m 이상 고산지대에 위치한 네팔 안나푸르나 지역의 라트마타 마을, 가라마을에 임직원 자원봉사대를 파견해 각 마을 학교 지붕에 총 2.6kW 규모의 태양광발전설비를 설치했다고 17일 밝혔다. 해당 마을 어린이들은 컴퓨터 등 교육기자재와 기숙사 등 학교생활에 꼭 필요한 필수 전력을 친환경 방식으로 편리하게 공급받을 수 있게 됐다. 그동안 이들 학교는 전기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인터넷, 시청각자료 사용 등에 어려움을 겪었다. OCI는 3년째 취약지역에 태양광발전설비를 기증하는 '솔라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앞서 네팔 고산지역 4곳에 총 5㎾ 규모의 태양광 발전설비와 배터리, 충전제어장치를 선물했다. 또 교육용 프로젝터, 노트북, 각종 학용품과 의약품, LED전구, 방한용품 등 다양한 교육생활물품을 지원하고 OCI 임직원 봉사대가 태양광장난감 자동차 만들기, 미술 클래스 등 참여 교육을 진행하기도 했다. OCI 사회공헌추진팀 윤희일 상무는 "산간 마을학교에 태양광 전력이 공급돼 학생들이 외부와 활발히 소통하고 정보격차가 해소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한편 OCI는 2016년까지 100억원을 들여 국내 300개 초등학교에 태양광 발전설비를 무상으로 설치해주는 '솔라스쿨 프로젝트'를 벌이고 있으며 작년 말까지 182개 초등학교에 설치를 완료했다.

2015-02-17 09:42:01 양소리 기자
광양제철·여수산단간 '4Km 해저터널' 건립

광양제철·여수산단간 '4Km 해저터널' 건립 포스코 등 민간기업 2400억 투입…4월 착공, 2018년 준공 포스코 광양제철소와 여수국가산단 사이에 양측에서 발생하는 부생가스(부산물)를 교환하기 위한 해저터널이 건설된다. 광양제철은 지난해 1월 산업통상부와 '산업부산물 재자원화사업 추진 업무협약'을 체결한 길이 4㎞의 해저터널 공사를 오는 4월 착공할 예정이라고 16일 밝혔다. 이 해저터널은 광양시 금호동 광양제철소와 여수시 삼일동 GS칼텍스 인근 바다밑을 관통하는 터널로 오는 2018년 6월 준공할 계획이다. 포스코, GS칼텍스 등 민간사업자들은 지난해 3월 해저터널사업 타당성 공동검토를 위한 해저터널사업단을 구성했다. 터널사업 주관사인 포스코는 지난해 7월 설계용역을 마친 데 이어 지난해 11월 포스코, GS칼텍스, 전남개발공사 등이 참여하는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하고 정부의 사업승인을 추진해 왔다. 터널에 소요되는 사업비 2400억원은 포스코, GS칼텍스, 대성산업가스, 덕양, 에어리퀴드코리아, 한화케미칼, 휴켐스 등 민간이 분담할 것으로 알려졌다. 해저터널에는 광양제철 제강과정에서 발생한 폴리우레탄 등을 여수석유화학 업체에 공급하고, 여수 석유화학 업체의 부산물인 질산과 가성소다를 제철소에 공급하는 관로를 매설하게 된다. 한편 해저터널 건설은 '실드(Shild) TBM(Turnel Boring Machine)' 공법으로 추진한다. TBM은 원통 모양으로 생긴 터널 굴착 장비로 머리 부분에 달린 칼날을 회전시켜 구멍을 파는 공법이다. 포스코 광양제철의 한 관계자는 "터널이 완공되면 양측에서 연료 등으로 사용하던 부산물을 또 다른 원료로 전환할 수 있어 연간 1200억원 가량의 원가절감을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2015-02-16 16:13:28 양소리 기자
기사사진
현대제철 스포츠단, 해외에서 우승 담금질!

현대제철 스포츠단, 해외 전지훈련 돌입! 여자축구단, 스페인서 FC바르셀로나와 평가전 남자양궁단, 라스베가스 실내양궁서 1~4위 싹쓸이 현대제철 스포츠단이 해외 전지훈련을 통해 마지막 담금질에 돌입했다. 현대제철은 WK리그 통합 2연패와 전국체전 우승을 거머쥔 여자축구단이 스페인에서 전지훈련을 실시한다고 16일 밝혔다. 현대제철 여자축구단 레드엔젤스는 스페인축구 여자리그 챔피언 FC바르셀로나와 한국-스페인간 양국의 자존심을 걸고 한판 승부를 벌이기 위해 지난 9일 출국했다. 레드엔젤스는 14일 레알 마드리드와 데포르티보, 26일 바르셀로나와 말라가의 프리메라리가 경기를 직접 관전하며 선진축구 기술을 습득할 계획이다. 현대제철 최인철 감독은 "공수에 있어 빈틈없도록 전술을 강화해 올시즌에는 더욱 멋진 경기력을 올해 선보일 것"이라며 "12년 만에 여자 국가대표팀이 참가하는 2015 FIFA 여자 월드컵에도 국민들의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남자양궁단은 라스베이거스에서 큰 성과를 거두고 돌아왔다. 런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오진혁(34) 선수가 뛰는 남자양궁단은 선수들의 실전 경험을 쌓고 경기력 유지를 위한 전술훈련 차원에서 미국 라스베이거스 실내대회에 참가한 뒤 11일 입국했다. 남자양궁단은 40개국 2,532명의 선수가 참여한 이번 대회에서 개인 1~4위를 모두 석권해 남자양궁의 대들보임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 오진혁 선수는 총점 891점으로 소속팀 막내인 민병연(19) 선수를 4점 차이로 제치고 1위를 차지했으며 김재형(25) 선수와 임지완(24) 선수가 각각 3, 4위에 올랐다. 현대제철 장영술 감독은 "가장 좋은 훈련은 시합을 하는 것"이라며 "이번 훈련은 경기력 상승과 함께 우수한 성적 또한 거머쥘 수 있었던 일거양득의 전지훈련이었다"고 말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현대제철은 비인기종목에 지속적인 투자와 지원을 통해 스포츠 저변 확대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현대제철 스포츠단의 활약이 대내외 악재로 고전하는 국내 철강업계에 활력소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2015-02-16 15:01:42 양소리 기자
대한항공 정시도착 비율 83.09%···세계 10위 밖

대한항공 정시도착 비율 83.09%···세계 10위 밖 대한항공이 전 세계 항공사 가운데 예정된 시간에 늦지 않게 목적지까지 가는 항공사 톱 10에서 밀려났다. 대한항공의 지난해 도착 정시율은 83.09%로 전년(83.47%)보다 0.38% 포인트 하락했다. 16일 항공사 평가 웹사이트 플라이트스탯츠(flightstats.com)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2013년 항공사 정시율에서 10위에 올랐지만 최근 발표된 2014년 정시율 톱 10 항공사에 들지 못했다. 플라이트스탯츠는 예정시각의 15분 이내에 도착하는 항공편의 비율을 집계해 매년 우수 항공사에 상을 주고 있다. 글로벌 항공사 가운데 도착 정시율 1∼3위는 유럽 항공사들이 차지했다. KLM의 정시율이 88.66%로 가장 높았으며 스칸디나비아항공(SAS)과 이베리아항공이 근소한 차이로 2위와 3위에 올랐다. 이밖에 일본항공(JAL)과 사우디아항공, 전일본공수(ANA), 루프트한자항공, 에어베를린, 란항공, 싱가포르항공 등이 10위 안에 들었다. 대한항공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항공사 가운데는 정시율이 8번째로 높았다. 한편 아시아나항공의 정시율은 74.36%로 대한항공보다 8% 포인트 이상 낮았다. 또 중국동방항공(58.75%), 중국남방항공(63.51%), 샤먼항공(40.42%) 등 중국 항공사들의 정시율은 상당히 낮은 편이었다. 항공 동맹체 가운데는 원월드 소속 항공사의 정시율이 79.97%로 가장 높았으며 아시아나항공이 속한 스타얼라이언스(77.19%)와 대한항공이 있는 스카이팀(76.08%) 순으로 뒤를 이었다.

2015-02-16 10:01:44 양소리 기자
기사사진
현대중공업, 세계 최대 원통형 FPSO '골리앗' 완공

현대重, 세계 최대 원통형 FPSO '골리앗' 완공 노르웨이 ENI 노르게 AS사 100만 배럴급 '골리앗 FPSO' 출항 현대중공업이 세계 최대 100만 배럴급 원통형 FPSO(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를 완공했다고 13일 전했다. 지난 2011년 6월 착공한 지 3년8개월 만이다. 발주사의 엄격한 노르웨이 표준해양규정에 맞춘 설계 변경 요구 등 숱한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완성된 설비다. 지름 112미터, 높이 75미터, 자체중량 5만9천톤 규모의 이 설비는 현대중공업이 지난 2010년 노르웨이 ENI 노르게(Norge) AS사로부터 수주한 것으로, 13일 노르웨이로 출항했다. 이 FPSO는 오는 7월 말까지 노르웨이 북부 햄머페스트(Hammerfest) 지역에서 북서쪽으로 85㎞ 떨어진 골리앗(Goliat) 해상유전에 설치돼, 원유를 생산할 예정이다. '골리앗'으로 명명된 이 원통형 FPSO는 바람, 조류, 파도 등으로 인한 외부충격을 분산시켜 기존 선박형보다 거친 해상환경에 영향을 적게 받는다는 장점이 있다. 현대중공업은 지금까지 200만 배럴급 이상의 초대형 FPSO 9기를 건조하며 시장 점유율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1천600톤급 골리앗크레인 2기와 FPSO 전용도크(길이 490미터, 폭 115미터, 높이 13.5 미터) 등 초대형 해양플랜트 제작에 특화된 설비들을 갖추고 있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기존 30만 배럴에서 100만 배럴급으로 원통형 FPSO의 대형화를 이뤄냄에 따라, 해양플랜트 분야에서 앞선 기술력을 다시 한번 입증해냈다"고 말했다. 한편, 현대중공업이 제작한 원통형 FPSO는 지난 2013년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세계일류상품으로 선정된 바 있다.

2015-02-13 13:23:17 이정필 기자
기사사진
LG화학·롯데케미칼, 화평·화관법 파고 넘을 전략은?

LG화학·롯데케미칼, 화평법·화관법 파고 어떻게 넘나 박진수 LG화학 부회장과 허수영 롯데케미칼 사장이 또 다른 장애물에 직면했다. 국내 석유화학업계를 대표하는 두 회사는 지난해 저유가와 중국 저가 석화제품 대량생산으로 인해 저조한 실적을 냈다. 올해부터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화평법)'과 '화학물질관리법(화관법)'까지 두 기업의 앞길을 막고 있다. 12일 환경부에 따르면 화학안전체계 구축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화평법과 화관법이 1월 1일부터 시행됐다. 이들 법률은 화학물질에 대한 인허가 기준을 강화하고 환경오염 배출 시설의 전문기술심사를 까다롭게 요구해 산업계의 경영 부담을 가중시킬 것으로 보인다. ◆LG화학·롯데케미칼, 지난해 쉽지 않았다 LG화학의 지난해 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5조3723억원으로 2013년 4분기보다 4.8% 줄었다. 영업이익은 2316억원으로 전년 동기에 비해 26.8% 감소했다. 지난해 전체 매출액과 영업이익도 22조5778억원과 1조3108억원을 기록해 각각 2.4%, 24.8% 줄었다. 지난 10년간 꾸준한 매출 성장세를 보이던 롯데케미칼 역시 유가급락의 고비를 넘기지 못했다. 롯데케미칼은 지난해 매출액 14조8590억원, 영업이익 3503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9.6%, 28.1% 감소한 수치다. 저유가로 제품가격은 떨어지고 이로 인해 영업이익도 급락했다. ◆박진수 LG화학 부회장, 업계와 공동대응 "화학물질 공동 등록 협의체 참여"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지난달 1일부터 시행하고 있는 '화평법'과 '화관법'은 LG화학과 롯데케미칼의 경영환경을 더욱 힘들게 할 것으로 보인다. LG화학을 비롯해 한화케미칼, 롯데케미칼 등은 실무 관계자들이 참여하는 공동 협의체를 구성하고 옥시란, 벤젠 등 사용 빈도가 높은 화학물질을 공동으로 등록할 예정이다. 이 협의체를 통해 기업들은 공동으로 해당 물질을 시험하고 평가해서 등록하게 된다. 또 취급 물질에 따른 비용 분담이나 유해성 자료 공유도 이뤄진다. LG화학 관계자는 "화평법·화관법이 기업차원에서 새롭게 뭔가를 준비해야 하는 법은 아니다"면서 "석유화학협회 차원으로 대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허수영 롯데케미칼 사장 "식물성 플라스틱 소재에 주목" 롯데케미칼은 '바이오플라스틱 원스톱 융합공정기술 개발'사업을 통하여 친환경 바이오플라스틱 소재 중 하나인 고내열성 폴리유산(PLA·Poly Lactic Acid) 생산사업을 추진한다. PLA는 100% 식물에서 추출한 플라스틱 소재로 160도에서도 형태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롯데케미칼은 PLA를 이용한 친환경 IT 제품, 생분해 포장재 등 다양한 제품 개발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롯데케미칼 관계자는 "PLA 생산은 아직 실험단계"라며 "대량 생산에 성공할 경우 신설된 환경규제로 인한 부담을 덜 수 있을 것"이라 전했다.

2015-02-12 19:01:44 양소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