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방재시설 구축으로 집중호우 피해 최소화
고양시는 여름철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시민 안전을 지키기 위해 방재시설 구축에 적극 나서고 있다. 고양시는 올해 6개 지하차도에 진입 차단시설을 새롭게 설치하고, 내년부터 탄현지구 공원에 지하저류조 설치 공사를 시작한다. 또한, 집중호우 시 한강으로 강제 배수하는 강매 제2배수펌프장의 배수 용량과 유수지를 확대하고, 대화 배수펌프장의 노후 시설도 새로 교체할 예정이다. 집중호우에 취약한 상습 침수 지역에 대한 배수로 준설, 원격 제어 장치 설치, 간이 펌프 증설 등 맞춤형 정비도 실시할 계획이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지구온난화로 인해 여름철 집중호우의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있다"며, "이에 따라 방재시설에 대한 집중 투자가 매우 중요하다.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직접 나서서 국도비를 확보하고, 시민들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적극적인 투자를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지하차도 진입차단시설 및 우수유출 저감시설 설치 고양시는 지하차도 침수로 인한 차량 사고와 인명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지하차도 진입 차단 시스템을 설치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집중호우로 인해 지하차도의 수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올라가면 자동으로 작동하여 지하차도 진입을 금지한다. CCTV, 안내 전광판, 방송 설비 등을 통해 현장 상황을 파악하고 차량의 진입을 차단한다. 2022년 장항지하차도와 2023년 원당지하차도에 이어, 올해는 탄현, 일산, 강매, 행신, 서오릉, 신원 지하차도 등 6개 지하차도에 차단 시스템을 설치할 예정이다. 또한, 고양시 관내 27개 지하차도를 사전 점검하고 배수 펌프 배관 누수, 레벨 스위치 불량 등 기계 설비를 정비하고 집수정과 배수로를 준설해 원활한 배수가 가능하도록 했다. 탄현동 숯고개공원에는 19,900㎥ 규모의 지하저류조를 설치할 예정이다. 이 저류조는 집중호우 시 빗물을 저장하여 하천 역류 및 침수 피해를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공사가 완료되면 탄현동 인근 130ha 지역에서 50년 빈도의 강우를 견딜 수 있는 예방 효과가 기대된다. 지하저류조 설치 사업 기간은 내년 1월부터 2028년 12월까지 4년간이며, 총사업비는 350억원(국비 175억원, 도비 52억 5천만원, 시비 122억 5천만원)이다. 고양시는 행정안전부 주관 2025년 우수유출 저감시설 신규 사업으로 선정되어 국·도비 227억원을 확보했다. 공원 부지 지하 공간을 활용해 별도의 부지 매입 비용 없이 토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공사로 인한 시민 불편도 최소화할 방침이다. ◆ 강매 배수펌프장 증설 및 대화 배수펌프장 노후시설 교체 고양시는 자연재해 위험 개선 지구 정비 사업으로 강매 제2배수펌프장 건설 공사를 추진 중이다. 기존 강매 제1펌프장은 배수펌프 2,640㎥/분, 유수지 면적 9,700㎡, 저수용량 36,000㎥ 규모로 10년 빈도 미만의 호우를 견딜 수 있었다. 강매 제2펌프장에는 펌프 8대를 신설하여 4,060㎥/분 용량을 추가하고, 유수지 면적 12,500㎡, 저수용량 47,400㎥를 확장한다. 강매 제2펌프장이 완공되면 총 배수 용량은 6,700㎥/분, 유수지 면적 22,200㎡, 저수용량 83,400㎥로 50년 빈도의 강우에도 견딜 수 있어 성사천 인근의 침수 피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총사업비는 548억 8,600만원(국비 50%, 도비 25%, 시비 25%)이며, 사업 기간은 2026년 12월까지이다. 대화 배수펌프장은 30년 된 노후 디젤 엔진 펌프를 친환경 전기 모터 펌프로 교체할 예정이다. 기존 시설이 노후화되어 매연 배출, 소음 및 진동 발생, 잦은 고장 등의 문제가 있었으며, 2018년에는 집중호우로 법곳동 인근 18.6ha가 침수 피해를 입기도 했다. 사업비는 총 200억원(국비 50%, 도비 25%, 시비 25%)이 투입되며, 2026년 12월 준공 예정이다. ◆하천 및 배수로 준설, 간이펌프장 증설 등 상습침수지역 대비 강화 고양시는 여름철 집중호우에 대비해 배수 펌프장, 급경사 지대, 하천 등 시설물에 대한 점검을 실시하고, 양수기, 수중 펌프 등 수방 자재의 보유 수량을 확인하고 작동 여부를 점검했다. 집중호우 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빗물받이를 사전 준설하고, 침수 발생 우려가 있는 지역은 빗물받이를 신설·보수했다. 상습 침수 지역에 대한 대비도 강화되었다. 대장동·강매IC 인근 배수로 정비, 창릉 무인 배수펌프장·신원1 저류지 원격 제어 시스템 구축, 흥도로·송포6통 간이 펌프장 증설 공사를 진행했다. 또한, 일산동부경찰서 앞, 백마지하차도, 밤가시5단지 삼거리 일원 등 침수 발생 도로는 배수시설 개선 공사를 실시하고, 덕산로, 탄현먹자골목, 덕이배수지선, 덕이삼거리 등은 인근 지방 하천 및 구거 준설, 빗물받이 신규 설치를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