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숙 장관, 베트남 기획투자부 차관에게 "韓 중소기업 잘 부탁드린다"
【서귀포(제주)=김승호 기자】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응우옌 덕 떰 베트남 기획투자부 차관에게 "베트남에 있는 우리나라 기업들을 잘 부탁드린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한 장관은 제주 국제컨벤션센터(ICC) 등에서 열리고 있는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 및 부대 행사 일정을 소화하는 가운데 4일 오전 응우옌 차관과 양자면담을 하면서 이같이 전했다고 말했다. 베트남 국민경제통합국장을 역임한 응우옌 차관은 기획투자부내 4명의 차관 중 한명으로, 우리나라의 기획재정부와 같이 국가경제 전략 수립과 계획 수립 업무 등을 하고 있는 핵심 인물이다. 베트남은 한국 중소기업들이 가장 많이 진출해 있는 나라로, 우리나라가 최대 제조업 투자국이다. 2024년 기준으로 한국은 중국, 미국에 이어 베트남의 3대 교역국 반열에 올랐다. 한 장관은 "오전에 AX(인공지능 전환), GX(녹색 전환), 바이오, 반도체, 글로벌을 중심으로 한 5개 분과가 정책연구를 발표한 '2025 중소기업 혁신 네트워크 포럼'이 있었는데 베트남 차관께서도 관련 내용에 상당한 관심을 표명했다"면서 "베트남 외에도 이번 행사 기간 중 인도네시아, 중국, 일본, 페루와도 양자 회담을 갖고 다양한 협력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한 장관은 "아세안을 비롯한 많은 나라들이 스마트 제조 혁신에 대해 고민하고 한국 중소기업들이 시도하고 있는 것에 관심을 갖고 있는 것 같다"면서 "이번 회의를 통해 정부와 정부간 정책 협력, 기업과 기업간 교류 등을 모색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만들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5일 예정된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에 앞서 지난 1일부터 다양하게 열리고 있는 연계 부대행사에는 이날까지 1만4000여 명이 다녀간 것으로 집계됐다. 한 장관은 "민간(기업)에 있을 때는 몰랐는데 공직에 들어와보니 이런 행사를 통해 우리 기업들에게 더 많은 기회가 열릴 수 있겠다고 느끼고 있다. 우리나라 중소기업들은 경쟁력 측면에서 탑티어에 오른 곳도 많고 K-뷰티도 세계를 주도하는 등 장점이 많아 다른 나라에 이같은 경험을 전수하고 우리도 정책 등을 많이 배울 수 있는 좋은 자리가 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날도 제주 ICC와 제주 그랜드 조선, 부영호텔 등에선 중소벤처기업, 혁신기업, 스타트업 관련 다양한 행사가 펼쳐졌다. 그중 하나로 한국벤처캐피탈협회와 한국벤처투자가 협력해 준비한 글로벌 벤처투자 기관 교류·협력 행사인 '2025 글로벌 벤처투자 서밋 in APEC'은 국내 벤처투자 행사 중 단일로는 역대 최대 규모로 열렸다. 서밋에는 17개국에서 77개 해외기관이 방문했고, 국내에선 60여개 투자기관 등이 참여하는 등 총 147개 국내외 기관에서 250여 명이 자리했다. 여기에는 레전드 캐피탈, 버텍스 그로스, 아시아 얼터너티브스 등 글로벌 유력 투자기관들도 함께 했다. 한 장관은 환영사에서 "APEC은 전 세계 벤처투자금액의 약 70% 이상이 이뤄지는 글로벌 혁신 허브로서, 이번 서밋은 대한민국이 첨단 제조·IT 강국을 넘어 아시아의 혁신 거점으로 도약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며 "해외 정부기관과 투자자들이 모인 행사를 계기로 대한민국 벤처생태계와 APEC 생태계가 더 강한 파트너십으로 긴밀히 연결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지난 3일부터 이날까지 중소기업 연구개발(R&D) 정책 분야 최대 싱크탱크인 '2025 중소기업 혁신 네트워크 포럼'도 열렸다. 올해 포럼 주제는 중소기업 장관회의 중점과제인 혁신성장(Innovative Growth)와 연계해 '중소벤처기업 혁신, 세계를 연결하다:딥테크 기반 글로벌 성장전략'이다. 포럼에선 토크콘서트를 통해 캐나다, 중국, 대만, 베트남 등과 중소기업 성장 지원 정책을 상호 공유하고 글로벌 협력방안을 모색했다. 또 첨단제조 등 응용기술 분야의 세계적 선도 연구기관인 프라운호퍼 연구소, 유명 공과대학을 보유한 퍼듀대학교, 기업수요 기반 애로해결 R&D를 지원하는 슈타인바이스 재단 관계자들이 참석, 글로벌 공동R&D 우수사례도 발표했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프라운호퍼와 기술이전 및 인력교류 등을 포함하는 글로벌R&D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중기부는 앞서 내년 R&D 예산을 올해보다 45% 늘어난 역대 최대 규모인 2조1955억원을 편성, 올 연말 국회 통과를 기다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