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영주 중기부 장관, 中企벤처 글로벌化 지원 '광폭행보'
중기부, 외교부와 '한·중남미 미래협력포럼' 공동 개최 吳 "한국·중남미, 시너지 낼 수 있는 좋은 파트너" 강조 '한베미래포럼' 만찬도…"테크 스타트업 교류 적극 추진" 외교관 출신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스타트업, 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돕기위해 광폭행보를 펼치고 있다. 10일 중기부에 따르면 중기부는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외교부와 '2024 한-중남미 미래협력포럼'을 공동 개최했다. 한·중남미 미래협력포럼은 외교부가 2008년부터 매년 열고 있는 행사로, 올해엔 중기부가 함께 했다. 오영주 장관은 이날 개회사에서 "풍부한 에너지 자원과 두터운 젊은 인구를 가진 중남미와 반도체, AI 등 최첨단 기술, 디지털 역량을 가진 한국은 상호보완적 구조를 바탕으로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좋은 파트너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한국에선 오 장관,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중남미에선 페루의 하비에르 곤잘레스 올라에체아 외교장관, 온두라스 에두아르도 레이나 외교장관, 칠레 아우로라 윌리암스 광업부장관 등이 자리를 함께 했다. 오 장관은 정부 중심의 한·중남미 협력 관계를 민간 분야로 더욱 확대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오 장관은 "한국 정부는 다양한 차원의 민간 협력을 위해 양 지역 기업들간 밀접한 네트워킹과 기술교류의 계기를 지속적으로 마련하고, 특히 중기부는 한·중남미 스타트업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투자와 기술지원 방안을 적극 모색하겠다"면서 "그동안 물적 자원 중심으로 이뤄진 경제협력 방식도 기술 및 인적교류, 개발 경험 공유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강화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중기부는 콜롬비아에 청년창업 지원을 위한 인프라와 경험을 전수한 바 있다. 중기부에 따르면 한국은 2004년 칠레와 처음으로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이후 콜롬비아 등 중남미 5개국과 FTA를 이어오고 있다. 이에 따라 양 지역간 교역 규모는 FTA 이전과 비교해 4배 이상 증가했고 한국의 대중남미 투자도 15배 이상 늘었다. 오 장관은 "한국과 중남미는 양측의 환경을 고려한 상호 윈윈할 수 있는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경제협력 방식을 모색해 나가야한다"면서 "서로의 강점을 바탕으로 자원, 농산품, 제조업 등 교역을 중심으로 이뤄져 왔던 지금까지의 경제협력 분야를 앞으로는 첨단산업, 디지털화, 스타트업 육성 등 다양한 분야로 업그레이드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오 장관은 이날 인사말 끝을 '서두르지 말되 멈추지 말라'는 뜻의 중남미 격언인 "신 쁘리사, 뻬로 신 빠우사(Sin prisa pero sin pausa)"로 마무리해 양측의 견고한 협력 확대 의지를 다졌다. 이날 미래협력포럼에선 한국외대 김원호 교수를 좌장으로 ▲글로벌 불확실성 대응을 위한 한·중남미 파트너십 증진 ▲한·중남미 경제·안보 협력 강화방안 및 도전과제 ▲민생 안정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분야별 맞춤형 실질협력 확대 등 3개 세션의 토론을 진행했다. 한편 오 장관은 이날 저녁엔 인근의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제6차 한베미래포럼에 참석' 만찬을 주최하며 양국간 교류를 추가로 도모했다. 오 장관은 주베트남대사를 역임한 바 있다. 한베미래포럼은 양국의 주요 현안을 논의하고 미래지향적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한국국제교류재단과 베트남사회과학원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포럼이다. 지난 2012년 제1차 포럼이 열린 이후 올해가 여섯 번째다. 오 장관은 만찬사에서 "급격한 디지털·AI 전환 시대에 양국의 미래세대가 첨단기술분야에서 교류하면서 함께 성장해 나갈 수 있는 잠재력이 매우 크다"며 "앞으로 한국과 베트남 간 테크 분야 스타트업 교류를 적극적으로 추진해나가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