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그룹 차원 처음 넷제로 특별 보고서 공개…2050년 탄소중립 초석
LG그룹이 2050년을 목표로한 '탄소중립' 계획을 구체화했다. LG는 5일 'LG 넷제로 특별 보고서 : 첫 디딤돌을 놓다( Placing the First Stepping Stone)'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LG 공식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으며, 인쇄본 책자를 발행해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 보고서는 글로벌 탄소중립 초석을 다지고 실질적인 이행에 첫 걸음을 내딛는다는 의미를 담아 만들었다. 국내에서 개별기업이 아닌 그룹 차원으로 넷제로 계획을 보고서로 구체화한 것은 LG가 처음이다. 지난해 그룹 차원 ESG 보고서를 통해 ESG 전략 이행 첫 단계로 제시한 바 있다. LG는 우선 온실가스 배출량 99%를 차지하는 7개 계열사의 단계적인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추진 계획을 제시하며 그룹 차원 탄소 중립 실현 기반을 마련했다.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LG화학, LG에너지솔루션, LG생활건강, LG유플러스 등이다. 특히 계열사별로 상이했던 목표와 실행 방안을 그룹 차원으로 통합해 '그룹 통합 로드맵'을 제공한다.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탄소 규제와 국가 단위 배출권 등 탄소중립 이행 표준을 수립하고, 계열사들의 수치들도 검증해 구체화했다. LG는 2030년부터 그룹차원에서 에너지와 관련한 탄소배출을 대폭 감축하며 2050년 넷제로를 달성하겠다고 약속했다. 제품 생산과 연료 사용으로 배출하는 탄소(스코프1)와 화력발전 전력 등 간접 발생하는 탄소(스코프)를 2018년대 2030년에 27%, 2040년 62% 줄일 계획이다. LG전자가 2030년 먼저 탄소중립을 달성, LG에너지솔루션과 LG이노텍이 2040년에 임무를 완수하고 2050년에는 나머지 계열사들까지 목표를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사업장 외에서 발생하는 탄소(스코프)까지도 통합 관리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LG는 탄소중립 4대 전략을 수립했다. ▲2050년까지 주요 계열사 필요 전력을 재생에너지로 100% 전환 ▲온실가스 배출량 직접 감축 ▲탄소 직접 흡수·제거할 수 있는 산림조성 등 중장기적 상쇄사업 발굴 ▲기후 거버넌스 중심의 탄소중립 이행체계 구축 및 모니터링 강화 등이다. 재생에너지 활용 비율은 2025년 54%에서 2030년 83%, 2040년 94%로 확대한다. 해외 사업장은 2030년까지 100% 재생 에너지를 사용하기로 했다. 고효율 설비 교체와 동시에. 2030년까지 수소 등 탄소 저감을 위한 신규 기술 개발에 3조4000억원을 투자하며 지속 가능성도 이어가도록 했다. 산림조성 등 탄소 상쇄 사업도 발굴할 계획이다. 이같은 목표는 LG 그룹 ESG 협의체와 그룹 기후변화 협의체 등이 지속 점검하고 성과를 관리하게 된다. LG그룹도 매년 현황 및 성과와 함께, 기술 변화에 따라 로드맵을 수정하고 보완해 보고서를 새로 발간하기로 했다. LG 관계자는 "전자, 화학, 통신서비스 등 다양한 형태의 사업을 추진하는 LG 계열사들의 탄소중립 현황과 목표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그룹 차원의 탄소중립 로드맵을 제시하는 데 주력했다"며, "LG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실질적인 탄?E중립 성과를 만들어가며 기후변화 위기 선제 대응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재웅기자 juk@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