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Y, 비상 계획 전격 가동
삼성전자가 이재용 부회장 진두 지휘 하에 일본 수출 제재에 대한 중장기적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14일 재계에 따르면 이 부회장은 13일 반도체 부문인 DS와 디스플레이 부문 최고 경영진을 긴급 소집해 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에는 DS 부문장인 김기남 부회장과 메모리사업부장 진교영 사장, 시스템LSI 사업부장 강인엽 사장과 삼성디스플레이 이동훈 사장 등이 참석했다. 이 부회장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소재 수급 현황과 영향, 대응 방안을 중점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 부회장은 일본 수출 제재가 확대되거나 장기화하는 등 비상 상황에 대비한 '컨틴전시 플랜' 수립을 주문했다. 반도체뿐 아니라 휴대전화와 TV 등 다른 주력 분야에도 피해가 확대될 가능성에 미리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는 해외 의존도가 높은 소재를 중심으로 거래선을 다변화하고, 국내 소재 산업 육성을 위한 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부회장은 단기 현안 대처뿐 아니라 큰 흐름을 파악하는 안목을 길러야 한다며,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하는 체제를 마련하고 흔들리지 않는 역량을 키워야 한다고 당부했다는 전언이다. 아울러 이 부회장은 이날 수출 규제 대상으로 지목된 3개 품목 긴급물량을 확보했다는 일본 출장 성과도 공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3개 품목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생산에 필수적인 플루오린 폴리이미드(FPI), 포토 리지스트(PR), 고순도 불산(HF) 등이다. 다만, 이번에 추가로 확보한 물량이 어느 정도인지, 어떤 경로를 통한 것인지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은 상황이다. 재계에서는 이번 물량이 급한 불은 끌 정도의 수준이며, 현지 생산업체들로부터의 직접 수입 형태는 아닐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이 부회장이 직접 중장기적 대책 마련에 나섰다는 데에 큰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