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김문호
기사사진
유안타증권, 원금손실조건 낮춘 ELS 등 3종 공모

유안타증권은 오는 13일까지 원금손실조건(Knock-In)을 37%로 낮춘 ELS 등 파생결합상품 3종을 총 60억원 규모로 공모한다. ELS 3552, 3553호는 만기 3년의 스텝다운 원금비보장형 상품으로 KOSPI200지수, HSI지수, EUROSTOXX50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한다. ELS 3552호는 최초기준가격의 90%(6,12,18개월), 85%(24,30개월), 80%(36개월) 이상인 경우 연5.30%의 수익률로 조기 또는 만기상환된다. 또 조기상환이 되지 않더라도 투자기간 동안 최초기준가격의 37%미만으로 한번이라도 하락한 적이 없는 경우 15.90%(연5.30%)의 수익률로 만기상환된다. ELS 3553호는 최초기준가격의 85%(6,12,18개월), 80%(24,30개월) 이상인 경우 연6.00%의 수익률로 조기상환된다. 또 조기상환이 되지 않더라도 만기시 최초기준가격의 60%이상인 경우 18.00%(연6.00%)의 수익률로 만기상환된다. ELS 3551호는 만기 4개월에 S&P500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Stability 구조의 원금비보장형 상품이다. 기초자산의 종가가 전일 종가에 비해 10%를 초과 하락하지 않으면 최대 연 3.80%를 지급한다. 다만 기초자산의 종가가 전일 종가에 비해 10%를 초과하여 하락할 경우 원금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환율변동에 따라 자산가치가 변동되거나 원금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2016-05-11 09:45:32 김문호 기자
하나금융투자, 저쿠폰으로 1차 조기상환 기대를 높인 ELS 등 총 5종 모집

하나금융투자는 불확실한 시장에 대비하여 쿠폰을 낮춰서 안정성과 조기상환 기대를 높인 ELS 등 파생결합상품 총 5종을 13일까지 모집한다고 10일 밝혔다. 먼저 미국지수(S&P500)와 항셍지수(HSI), 유럽지수(EuroSTOXX50)를 기초자산으로 연 4.50%의 비교적 저쿠폰이지만 1차 조기상환 조건을 80%로 책정해 1차 조기상환 기대를 높인 '하나금융투자 ELS 6159회'를 모집한다. 만기는 3년이고 6개월마다 총 6차례의 상환 기회가 주어지며 상환조건은 최초기준가격의 80%이상(1~4차)/75%(5차)/70%(만기)이다. 녹인 또한 40%로 낮은 편이다. 월지급식 ELS도 모집한다. 홍콩지수(HSCEI)와 유럽지수(EuroSTOXX50)를 기초자산으로 한 '하나금융투자 ELS 6160회'는 연 8.04%의 고쿠폰을 추구하며, 만기는 3년이고 6개월마다 총 6차례의 상환 기회가 있으며 월지급조건은 65%이상이다. 상환조건은 최초기준가격의 90%이상(1~2차)/85%이상(3~4차)/80%이상(5차~만기)이며 녹인은 50%이다. 한국지수(KOSPI200)와 미국지수(S&P500), 유럽지수(EuroSTOXX50)를 기초자산으로 연 6.80%를 추구하는 '하나금융투자 ELS 6162회'도 모집한다. 만기는 3년이고 6개월마다 총 6차례의 상환 기회가 있다. 상환조건은 최초기준가격의 90%이상(1~2차)/85%이상(3~4차)/80%이상(5차)/65%이상(만기)이며 녹인은 없다. 또한, 한국지수(KOSPI200)와 홍콩지수(HSCEI), 유럽지수(EuroSTOXX50)를 기초자산으로 연 6.70%를 추구하는 '하나금융투자 ELS 6161회'를 모집한다. 만기는 3년이고 6개월마다 총 6차례의 상환 기회가 있다. 상환조건은 최초기준가격의 90%이상(1~2차)/85%이상(3~4차)/80%이상(5차~만기)이며 녹인은 40%이다. 마지막으로 두 가지 원유지수(WTI, BRENT)를 기초자산으로 연 8.20%를 추구하는 '하나금융투자 DLS 1386회'를 모집한다. 만기는 1년이고 3개월마다 총 4차례의 상환 기회가 주어진다. 상환조건은 최초기준가격의 95%이상(1차)/90%이상(2차)/85%이상(3차)/60%이상(만기)이며 녹인이 없다. 모집은 각 30억원 한도로, 상품가입은 최소 100만원 이상, 100만원 단위로 청약이 가능하다.

2016-05-10 13:29:16 김문호 기자
기간은 짧게, 이자는 더 많이...이자 쇼핑 하는 '금리 유목민'

#. 자영업자인 김이자 씨( 가명)는 최근 만기가된 적금을 은행에서 뺐다. 은행에 넣어두면 오히려 손해보는 장사라는 판단에서다. 실제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로 이자소득세(15.4%)와 물가상승률(1.2%·한국은행 예상치)을 빼고 나면 남는 게 없다. 김 씨는 대신 증권사의 주식형 특정금전신탁에 일부를 넣었다. 단기 고수익 상품을 골라 '이자 쇼핑'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초저금리 시대가 고착화되자 투자자들이 특정금전신탁과 같이 만기가 짧으면서 수익률은 높은 투자상품에 몰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서민들도 1년 미만의 단기 예금이나 머니마켓펀드(MMF), 종합자산관리계좌(CMA)로 향하고 있다. ◆고금리수익을 찾아 헤매는 '금리 유목민' 10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1월 말 현재 특정금전신탁 잔고 총액은 331조2267억원이었다. 이는 유럽 재정위기가 터진 2010년 이후 가장 큰 규모이다. 특히 거액자산가들의 호흡이 짧아졌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은행권 특정금전신탁은 지난해 말 현재 84조2600억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상반기 말 84조9290억원보다는 줄었지만, 2014년 말 71조6270억원에 비해 12조6330억원이 불어난 것이다. 이 중 10억원 초과가 46조714억원으로 1년새 5조820억원이 늘었다. 이어 1억원 이하 21조170억원(이하 전년 대비 증감 규모 4조818억원), 1억원 초과~5억원 이하 12조747억원(2조2540억원), 5억원 초과~10억원 이하 3조7820억원(4780억원) 등이었다. 국내 한 은행의 프라이빗뱅커(PB)는 "금리가 연 4~5%를 웃돌던 시절과 연 1%대로 낮아진 상황에서 0.1%포인트에 대한 체감도가 크다"며 "단기에 치고 빠지기식으로 자금을 돌리는 현상이 강해졌다"고 전했다. 금전신탁 투자 대상의 상당 부분은 건설사 자산담보부기업어음 (ABCP)나 주가연계증권(ELS) 등이다. ABCP 경우 수익률은 신용등급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보통 많게는 4%를 웃돈다. 만기가 보통 3~6개월로 짧아 매력적이다. 시장에서는 '없어서 못 판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잘 나간다는 게 은행 PB들의 전언이다. ◆단기예금, CMA에 돈 몰린다 저금리는 정기예금 패턴까지 바꿔놨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2월 말 은행의 정기예금 잔액(말잔기준 574조원) 가운데 만기 1년 미만 상품이 197조원으로 34.21%에 달했다. 지난해 1월 26.5%였던 1년 미만 정기예금 비중은 6월(30.5%)에 30%대를 넘어선 뒤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반면 서민들의 목돈 마련처인 만기 3년 이상 정기예금은 17조93억원으로 크게 줄었다. 전체 잔액의 2.99%에 불과하다. 시장에서는 단기간에 금리를 갈아타려는 사람들이 늘면서 '풍차 돌리기'가 고개를 들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은행 관계자는 "국내 금리가 미국 금리를 따라 오를 것으로 예상하는 고객들을 중심으로 장기보다는 단기 예금 상품을 선호하는 편"이라고 말했다 종합자산관리계좌(CMA) 등에도 돈이 몰리고 있다. 지난 4일 기준 CMA잔고는 52조1576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18일 기준 52조6000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갈아치운 이후 52조원대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2003년 국내에 도입된 CMA는 증권사가 고객의 자금을 받아 기업어음(CP)이나 국공채, 양도성예금증서(CD) 등 금융상품에 투자해 수익금을 투자자에게 돌려주기 때문에 고금리 수시입출금 통장으로도 불린다.

2016-05-10 11:25:52 김문호 기자
기사사진
금융위기 8년만에 계좌수 '뚝'… 적립식 펀드의 굴욕

주식 투자 열풍을 일으켰던 '적립식 펀드'가 갈수록 투자자로부터 외면받고 있다. 적립식 펀드는 지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8년 만에 계좌 수가 절반 넘게 급감했고, 판매금액도 36% 가량 급감했다. 이처럼 투자자들이 적립식 펀드에서 발을 빼는 것은 펀드 수익률이 다른 펀드에 비해 더 많이 하락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글로벌 금융위기, 가계의 투자 여력 감소, 2009년 해외투자펀드 세제혜택 종료 등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적립식 펀드는 일정 기간마다 일정 금액을 나눠 장기간 투자하는 것으로, 목돈 없이도 투자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지만 운용 실적에 따라 원금 손실도 감수해야 하는 위험이 따른다. 10일 금융투자협회와 자본시장연구원에 따르면 1억만들기, 3억만들기 펀드붐을 타고 급성장했던 적립식 펀드 계좌 수는 642만6000개로 나타났다. 판매금액은 48조1000억원이었다. 계좌 수는 2008년 말(1430만9000개)과 비교할 때 788만3000개나 줄었다. 판매금액은 2008년 76조5800억원에서 36.48%가 감소했다. 적립식 펀드 판매금액은 2010년 9월 59조1800억원으로 60조원 밑으로 떨어진 이후 2013년 40조원대로 다시 주저앉았다. 전체 펀드 판매금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08년 21.66%에서 2월 말 현재 11.19%로 감소했다. 적립식 펀드의 이 같은 인기 하락은 수익률 하락과 관련이 깊다. 자산운용업계 한 관계자는 "코스피가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어 예전처럼 꾸준히 적립해서는 이익을 볼 수 없다는 학습효과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2008년 금융위기 등을 거치며 적립식 펀드의 손실을 경험한 투자자들에게 더는 안전한 투자가 아니라는 인식이 자리한 탓으로 보여진다"고 말했다. 업권별 판매는 증권사와 은행이 각각 14조6600억원, 32조8000억원이었다. 2013년 말 15조5700억원, 31조9800억원과 비교해 은행의 판매가 늘었다. 보험사의 적립식펀드 판매 비중은 2013년 말 1.28%에서 올해 2월 말 0.99%로 줄었다. 유형별로는 주식형 비중이 2013년 78.11%에서 올해 63.70%로 줄었다. 반면 채권형 펀드는 4.78%에서 9.75%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혼합주식형 펀드 비중은 5.56%에서 5.15%로 줄었고, 혼합채권형은 3.32%에서 12.04%로 증가했다. 투자지역은 국내 투자가 82.70%에 달했다. 지난 2007년 만 해도 해외 투자 비중이 36.50%에 달했었다. 지난 2009년 해외투자 펀드의 세제혜택이 사라진 영향이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전문가들은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 해외주식 전용펀드 등의 영향으로 적립식펀드 시장이 다시 활기를 찾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자본시장연구원 강원철 연구원은 "올해 도입된 비과세 해외주식 투자전용펀드,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시행 등의 영향으로 적립식 투자 펀드가 다시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2016-05-10 11:04:31 김문호 기자
기사사진
미래에셋증권, 원금지급전환가능형 ELS 등 파생결합상품 7종 출시

미래에셋증권은 연 7% 원금지급전환가능형 스텝다운(Step-down) ELS를 포함한 파생결합상품 7종을 12일까지 총 700억 규모로 판매한다. 이 중에서 '미래에셋 제8836회 원금지급전환가능형 스텝다운 ELS'는 S&P500지수, HSI지수, EuroSTOXX50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고 만기는 3년이다. 원금지급전환형 ELS는 발행 후 1차조기상환평가일(포함)까지 모든 기초자산이 80% 미만으로 하락한 적이 없다면(종가기준), 원금지급형 구조로 전환되고 6개월 이내 기초자산 중 어느 하나라도 80% 미만으로 하락한 적이 있으면 원금비보장형 손익구조가 유지되는 상품을 말한다. 6개월 주기의 조기상환평가일에 모든 기초자산가격이 최초기준가격의 90%(6개월, 12개월) 85%(18개월, 24개월), 80%(30개월) 이상이면 연 7%의 수익을 지급한다. 또한 조기상환이 되지 않더라도 모든 기초자산이 만기평가일까지 최초기준가격의 50%미만으로 하락한 적이 없는 경우 연 7%의 수익을 지급한다. 단, 기초자산 중 어느 하나라도 발행 후 1차 조기상환평가일(포함)까지 최초기준가격의 80%미만으로 하락한 적이 있고, 만기평가일까지 최초기준가격의 50%미만으로 하락한 적이 있다면 조건에 따라 하락률이 큰 기초자산의 하락률만큼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미국(S&P500지수)과 유럽(EuroSTOXX50지수) 선진지수에만 투자하는 스텝다운형 ELS를 연 7%에 출시해 고객 선택의 폭을 넓혔다. 최소청약금액은 100만원이다.

2016-05-10 10:42:02 김문호 기자
기사사진
NH투자증권, 해외주식 투자전용 펀드계좌에서도 자동 분할 투자

NH투자증권은 해외주식 투자전용 펀드계좌에서도 스마트인베스터5.0을 이용해 국내에 상장된 해외주식 ETF를 자동분할 매매할 수 있다고 10일 밝혔다. 해외주식 투자전용 펀드계좌에서도 스마트인베스터5.0 서비스 이용이 가능해짐에 따라 평소 주식시장을 실시간으로 지켜볼 수 없는 투자자들도 국내 상장된 12개의 해외주식형 ETF도 자동으로 매매하고,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해외주식 투자전용 펀드계좌는 2017년 12월 31일까지 전용계좌를 신규로 개설해야 하며, 1인당 납입한도 3천만원으로 제한되어 있다. 국내에 상장되어 있는 ETF 중 해외 상장 주식에 60% 이상 편입한 ETF를 전용계좌를 통해 신규 투자하는 경우 가입일로부터 10년간 해외주식의 매매차익 및 환차익에 대해 비과세 된다. 그러나 배당소득과 환헤지에서 발생된 수익은 과세된다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 스마트인베스터 5.0은 실시간으로 주식매매를 하기 어려운 투자자를 위해 개발된 서비스로, 지정된 시간에 매매하는 과거의 적립식 투자와는 달리 투자자가 지정한 가격 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분할 매매하는 서비스다. 스마트인베스터5.0 전략을 활용한 해외주식 투자전용 ETF는 전국 영업점 또는 홈페이지에서 가입이 가능하다. 김현석 NH투자증권 상품지원부장은 "예금 금리는 낮아지고, 국내 주가지수는 박스권 장세가 지속되고 있는 환경에서는 해외주식 ETF를 절세의 관점으로 분할 투자하는 방법이 효과적인 투자 전략이며, 해외 자산으로의 투자대상 확대를 통한 자산 포트폴리오의 확대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16-05-10 10:40:28 김문호 기자
원유 파생상품 투자자 올 들어 3500억원 손실

원유가격의 움직임에 연동되는 파생결합증권(DLS) 투자자들이 올해 3500억원 이상 원금 손실을 본 것으로 집계됐다. 저유가 상황이 지속될 경우 수천억원대 추가 손실이 우려된다. 10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 1∼4월 원유를 기초 자산으로 한 DLS 6443억원어치의 만기가 도래했다. 이중 3515억의 원금 손실이 확정됐다. 평균 수익률로 따지면 -54.5%다. 국제 유가가 저점에서 많이 회복됐다고는 하지만 고유가 시기에 발행된 원유 DLS가 많이 남아 있어 투자자들의 손실 확정은 이어질 전망이다. 지난 4일 기준으로 원유 DLS 상품 300개, 4194억원어치가 녹인(Knock-in·원금 손실 가능) 구간에 진입한 상태다. 이들 DLS 대부분은 국제 유가가 발행 당시의 80∼90% 수준까지 극적으로 회복되지 않으면 손실이 확정된다. 녹인 구간에 진입한 원유 DLS 가운데 국제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 이상일 때 발행된 것만 2700억원어치가 넘는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셰일가스 개발, 이란의 국제 원유시장 복귀, 신재생 에너지 산업 성장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국제 유가가 당분간 50∼60달러 이상으로 오르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3개 글로벌 투자은행을 대상으로 올 해 유가 전망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올해 국제 유가는 배럴당 평균 41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13개 은행은 서부텍사스산원유 (WTI)가격은 올해 배럴당 평균 39달러 선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했다.

2016-05-10 10:39:53 김문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