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 영업익 7억…디스플레이 매출 감소·환율 영향에 '울상'
삼성SDI는 국제회계기준(IFRS)에 따른 연결기준으로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7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97.7% 감소했다고 2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조486억원, 당기순이익은 20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9.8%, 84.5% 줄었다. 매출은 디스플레이 매출 감소와 환율 영향으로 인해 전분기 대비 871억원(7.7%) 감소했다. 다만 중대형 전지 매출 증가에 따른 손익개선으로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흑자전환했다. 사업 부문별로는 2분기 소형전지 사업은 스마트폰 중심의 중국향 판매가 전년대비 2배 증가하고, 전동공구용 등 뉴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판매구조 개선됨에 따라 전체 판매량은 확대됐으나 환율하락 및 중저가제품 비중 증가로 매출은 전분기 대비 3.9%, 전년 동기 대비 11.95% 감소한 7430억원을 기록했다. 하반기 소형전지 시장 수요는 메이저 업체들의 신규모델 출시와 중국 4G(LTE)시장 본격확대 등으로 인해 전년 대비 5% 증가한 24억5000만셀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삼성SDI는 중국 및 Non-IT부문 판매를 더욱 확대하고 웨어러블과 같은 혁신제품을 선도해 판매와 손익을 극대화 한다는 계획이다. 자동차전지와 ESS를 포함한 중대형전지 매출은 수주와 각 사업부의 매출이 본격적으로 확대되며 전분기 대비 40.6%, 전년 동기 대비 210.3% 증가한 900억원을 나타냈다. 자동차 전지사업의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배, 전분기 대비 약 17% 늘어났으며, 유럽 프리미엄OEM, 중국 로컬OEM 등 수주도 지속 확대됐다. 또 중국 진출을 위한 JV 설립을 완료하고 포드사와 공동개발 협력 및 BMW사와는 신제품 개발 등 협력 강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삼성SDI는 하반기 자동차 전지사업 매출이 전년비 약 4배, 상반기 대비 약 2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아울러 중국 전기차 시장 선점을 본격화하고 메이저OEM과의 전략적 파트너십도 더욱 강화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ESS 사업부문은 2분기 일본의 가정용, 유럽 및 호주의 전력용 공급으로 매출이 확대됐으며 세계 최대 규모인 1조원 규모 수주에 성공했다. 중국 전력용 신규 프로젝트 수주를 확보하는 등 신규시장 진출을 위한 기반도 마련했다. 하반기 ESS사업 부문은 북미를 중심으로 전력용 시장이 확대 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관련업체들과의 파트너십 강화와 글로벌 전시회 참가를 통해 수주활동을 강화할 계획이다. 국내외 계열사 사업장의 UPS 수주를 진행하고 가정용, 전력용 고에너지 제품 등 신제품도 출시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