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신안 임자도에 '기가 아일랜드' 구축 완료
KT가 전남 신안군에서 '기가토피아'의 첫 성과를 선보였다. 접근성이 떨어지는 1004개의 섬으로 이뤄진 전남 신안군이 KT의 정보통신기술(ICT)로 새롭게 탈바꿈했다. KT는 7일 전남 신안군 임자도에서 사회공헌 프로젝트 '기가 아일랜드' 구축 완료를 밝히고, 기가를 통한 정보격차 해소와 지역사회 활성화에 나설 것을 선언했다. 이날 행사에는 강성주 미래창조과학부 정보화전략국장, 고길호 전남 신안군수, 최영익 KT CR지원실장과 임자도 지역주민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기가 아일랜드는 지난 5월 황창규 KT 회장이 '1등 KT'와 기가토피아를 실현하겠다고 선언한 뒤 공개되는 첫번째 결과물이다. 이는 도서 지역에 KT의 기가인프라 기반 미래융복합 솔루션을 적용해 지역 주민의 생활을 편리하게 만들어주는 프로젝트다. KT는 인터넷 이용률이 낮은 도서 지역 중 연내 기가인터넷 공급이 가능한 임자도를 '제1호 기가 아일랜드' 대상자로 선정했다. 지난달 KT는 전남 신안군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민·관 합동으로 기가 아일랜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특히 KT는 약 5개월 간 해당 지역에 필요한 ICT 솔루션들을 사전 분석하고 교육, 문화, 에너지, 의료, 지역경제 등 5개 분야를 해당 지역에 필요한 솔루션으로 선정, 적용했다. 우선 교육 부문에선 KT드림스쿨 멘토링 시스템 진행했다. KT드림스쿨 멘토링 시스템은 청소년의 교육격차 해소와 '꿈, 끼, 인성' 함양을 위한 양방향 온라인 멘토링 플랫폼이다. 앞서 KT는 서울시 및 전남교육청과 협력해 18개국의 외국인 유학생 20명과 임자도 초등학생 20명을 대상으로 글로벌 멘토링을 맺고 언어지도 및 문화교류를 진행하고 있다. 또 이준익, 봉만대 영화감독이 임자도 학생들과 스마트폰 영화를 함께 찍어 올레 스마트폰 영화제에 작품을 출품, 영화제에서 큰 호응을 얻기도 했다. 문화적 격차 해소를 위해 임자도 주민복지센터 일부를 리모델링해 '기가사랑방'도 꾸몄다. 기가사랑방에는 ▲올레 기가 초고화질(UHD) TV ▲화상회의 시스템 구축 ▲영화와 음악 콘텐츠 제공 등을 통해 문화공간을 제공,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했다. 에너지 자립과 효율화 기술 적용을 위해 주민복지센터 옥상에는 태양광 시스템과 실시간 모니터링 시설을 구축했다. 이 시설을 통해 주민센터 1층 기가사랑방의 소요 전력을 태양광 자가용 발전설비로 공급하게 되고 기가사랑방 내 모니터로 발전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구축했다. 의료 부문에서는 어르신이 많은 현지 사정을 고려해 정기 검사가 쉬운 당뇨 검진 솔루션 요닥서비스를 도입했다. 소변으로 간단히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요닥서비스는 병원을 자주 찾을 수 없는 도서 산간지역 주민들에게 적합한 서비스다. KT는 신안군에 단말기 20대를 기부하고 보건소와 협력해 신안군 내 1만여 명의 노인들에게 서비스할 계획이다. 이 밖에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농가 ICT 솔루션을 제공, 농가의 노동비용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돕는다. ▲비닐하우스에 복합 환경제어 시스템을 적용해 온실 내·외부 환경 모니터링과 비닐하우스 제어를 통한 생장환경 최적화 ▲구역별 환경설정에 따라 관수 공급 자동화 ▲영상관제를 통한 작물의 생장단계 관찰 및 온실 설비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했다. 한편 이번 기가 아일랜드 프로젝트는 KT와 BC카드를 비롯한 KT그룹의 14개사가 기금을 출연했다. KTH, 스카이라이프, KT ENS, KT뮤직은 기가사랑방 구축을 위해 UHD TV 및 콘텐츠 제공과 태양광 시스템 설치 등에 참여해 '싱글KT' 역량을 집중했다. KT는 향후 청학동과 대성동(민통선 내)을 비롯해 기가인프라와 ICT 솔루션이 필요한 지역을 추가적으로 발굴해 나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