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공시조사 이슈 적극 대외공개 예고…'상폐기업 사전징후' 등
금융감독원이 자본시장 질서확립과 투자자 보호 강화를 위해 '공시조사 이슈 분석' 기획연재를 추진한다. 금감원은 공시조사업무 수행과정에서 파악·분석된 내용 중 '상장기업 최대주주 변경', '무상증자' 등 투자자의 주의환기가 필요한 사항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외 공개하겠다고 22일 밝혔다. 이어 오는 9~10월 중 ▲상장폐지기업의 사전징후 등 특징 분석 및 시사점 ▲민법상 조합관련 지분공시 유의사항 ▲바이오 등 해외사업 연계 불공정거래 특징 및 투자자 유의사항 등의 분석결과를 보도자료 형식으로 배포하고, 다트(DART) 홈페이지에도 게시해 전파할 예정이다. MZ세대 등 자본시장 경험이 충분하지 못한 개인투자자의 직접투자가 크게 확대되고 있다. 지난해 말 주식 개인투자자수는 1374만명으로 2019년 말(612만명) 대비 2배 이상 급증했다. 올해도 개인 투자자금이 지속해서 유입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투자자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한편, 한계기업의 상장폐지위험, 기업의 복잡다양한 자본거래발생 등 자본시장 리스크에 대한 투자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금감원은 "그간 은행·증권사·보험사 등 금융산업 관련 현황·분석자료는 정기적으로 정리해 배포하는 등 체계가 잡혀 왔으나, 상장법인 관련 리스크 등 자본시장 관련 분석정보는 투자자에게 충분히 안내되지 않았다"며 "개인투자자 1000만명 등 확대된 자본시장 저변을 감안해 상장법인 리스크 관련 분석자료를 적극 공개하고, 투자자의 합리적인 투자의사결정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실제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영국 금융감독청(FCA) 등 해외 주요 감독당국도 투자자에게 알릴 필요가 있는 자본시장 이슈에 대한 분석결과와 시사점을 대외 공표 중이다. 금감원은 "향후에도 투자자 등 자본시장 참여자에게 알릴 필요성이 있는사항은 '공시조사 이슈 분석' 시리즈로 지속적으로 전파하겠다"고 덧붙였다. /박미경기자 mikyung96@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