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본, 노로바이러스 등 여름철 감염병 예방 위한 비상방역체계 운영
질병관리본부가 노로바이러스, A형간염 등 감염병 증가에 대비해 하절기가 시작되는 5월 1일부터 10월 4일까지 전국 시·도 및 시·군·구 보건소와 함께 비상방역 근무 체계를 운영한다고 30일 밝혔다. 질본에 따르면, 여름철에는 기온이 상승하여 병원성 미생물 증식이 활발해지고 야외활동이 증가하여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집단발생이 5~9월 주로 발생한다.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에는 콜레라,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세균성이질,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A형간염, 제4급 감염병 장관감염증(살모넬라균 감염증, 장염비브리오균 감염증,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등)이 포함된다. 실제로, 이 감염병들은 지난해 전체 발생의 48%에 해당하는 총 296건이 5~9월 발생한 바 있다. 질본과 전국 지방자치단체는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집단발생 시 신속한 보고와 역학조사 등 감염병 대응을 위한 24시간 업무체계를 5월 1일부터 10월 4일까지 지속 유지할 예정이다. 지방자치단체는 평일 오전 9시에서 오후 8시, 주말·공휴일은 오전 9시~오후 4시 까지 비상근무를 실시하고, 그 외 시간은 비상연락체계를 유지하며 질병관리본부는 신속한 대응을 위해 24시간 긴급 상황실을 운영한다. 질본은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이 집단 발생할 경우 의료인, 증상발현자, 식당업주 등이 가까운 보건소로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 또 올해 A형간염 환자 발생이 2019년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으나 최근 발생이 늘어나고 있어, A형간염 예방 및 전파 차단을 위해 안전성이 확인된 조개젓만 섭취하고, 조개류는 익혀먹는 등 A형간염 예방수칙을 준수할 것을 권고했다. 질본 정은경 본부장은 "신속한 대응을 위해 2인 이상 설사감염병 환자가 발생하였을 때 가까운 보건소에 즉시 신고해 줄 것"이라며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예방을 위해 안전한 물과 음식물 섭취(끓여 먹기, 익혀 먹기),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 씻기 등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세경기자 seilee@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