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사태 10년]③ 이미지 '쇄신'…부실털고 건전성↑
OK저축은행의 신규 TV광고 이미지. /OK금융그룹 2011년 저축은행 사태 이후 저축은행은 '부실', '고금리 탈취', '대부업 태생' 등의 이미지를 꼬리표로 달고 다녔다. 하지만 지난 10년간 금융당국의 깐깐한 규제를 기반으로 성장한 결과 기존의 나쁜 이미지는 많이 벗어났다는 평가다. 자산건전성 지표인 국제결제은행(BIS)자기자본비율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한편 금융당국이 고금리 대출을 억제한 결과 평균 금리 16% 수준의 중금리대출 규모가 크게 성장했다. 그 결과 여수신이 튼튼하게 커오면서 TV광고를 제한하던 규제도 유연하게 풀렸다. 28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으로 국내 79개 저축은행의 BIS자기자본비율은 14.61%를 기록했다. BIS 규제비율은 자산 1조원 이상은 8%, 1조원 미만은 7%을 각각 유지해야 한다. 규제비율 대비 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셈이다. ◆건전성↑…부실여신↓ 저축은행의 건전성 수준을 보여주는 BIS자기자본비율은 저축은행 사태가 일어난 2011년(6월 기준) 당시 0.84%까지 떨어졌었다. 그 이후 2012년 4.07%, 2013년 9.88% 로 꾸준하게 커오면서 현재까지도 14%대를 유지하는 중이다. 반대로 고정이하여신비율은 꾸준하게 낮아졌다. 총 여신 중 회수에 문제가 생긴 여신의 보유 수준을 보여주는 고정이하여신비율은 2011년 당시 26.93%까지 오르면서 부실 약점을 드러냈다. 하지만 지난해 9월 기준 저축은행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4.66% 수준이다. 고금리 이미지도 많이 탈피했다. 법정최고금리 인하로 저축은행의 고금리 대출 취급이 점점 힘들어지자 오히려 저축은행들은 중금리시장을 대안으로 크게 키워나가고 있는 상황. 중금리대출의 마진이 적어 전체 규모를 키우고 박리다매의 수익구조를 가지면서 법정최고금리 수준의 고금리 대출은 오히려 크게 줄었다는 분석이다. 현재 중금리대출의 평균금리는 16%대 수준. 하지만 올 하반기부터 법정 최고금리가 현행 연 24%에서 20%까지 낮아질 것으로 예정되면서 현행 중금리대출 금리 또한 더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미지 제고…중금리 대출 집중 저축은행의 이미지 개선 제고는 TV광고에서도 엿볼 수 있다. 저축은행은 지난 2015년 금융당국과 저축은행중앙회의 협의에 따라 어린이, 청소년이 시청 가능한 오전 7~9시, 오후 1~10시(평일)와 오전 7시~오후 10시(주말, 공휴일)에 광고를 못하도록 규제를 받아왔다. 인터넷, 모바일 등으로 쉽고 편하게 대출을 받을 수 있다는 표현도 쓰지 못했고 짧은 후렴구가 반복되는 후크송 같은 노래 또한 광고에서 금지됐다. 자극적인 대출 광고가 서민들의 과도한 빚을 조장하고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지적에서 비롯된 조치였다. 저축은행 광고를 오후 10시 이후인 심야시간대에만 볼 수 있었던 이유다. TV광고 규제가 완화된 시점은 지난해였다. 지난해 5월 금융당국과 저축은행중앙회가 개정을 통해 이미지 광고에 한해 저축은행이 시간 제약 없이 TV광고를 가능하도록 규제를 유연하게 풀어냈다. 이후 저축은행중앙회는 배우 김갑수씨를 모델로 광고를 기획, TV와 유튜브 등에 소개했다. 저축은행 업체들도 신규광고를 다양하게 선보였다. 대표적으로 페퍼저축은행과 상상인, KB, 웰컴, OK 등이 지난해 새로운 광고를 진행했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저축은행은 10년 전 부실의 이미지가 소비자에게 너무 강력하게 각인됐다"며 "또 일부 저축은행들은 대부업의 이미지가 여전히 남아있기도 하다"고 토로했다. 이어 "과거 이미지를 완전하게 탈피하기 위해서라도 저축은행의 사회공헌활동, 공익적인 메시지를 담은 TV광고는 계속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유진기자 ujin6326@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