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다시 역대 최대' 현대차, 2분기 영업이익 4조2790억…정의선 회장 '결단력' 눈길
'45조205억원, 4조2791억원' 역대급 실적 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현대자동차가 고부가 가치 차종 중심 판매 확대로 2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매출만 45조원을, 영업이익은 4조2800억원 가까이 늘어났다. 현대차는 25일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을 열고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4조2791억원으로 지난해 2분기보다 0.7%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매출은 45조206억원(자동차 35조2373억원, 금융 및 기타 9조7833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6.6% 늘었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이다. 종전 최대 실적은 매출 42조2332억원, 영업이익 4조2483억원을 기록한 지난해 2분기였다. 올해 2분기 순이익은 4조1739억원으로 24.7% 늘었다. 영업이익률은 9.5%로 집계됐다. 현대차는 고수익 차종을 중심으로 한 판매 믹스(차량용 구성비율) 개선과 환율 효과 등으로 역대 분기 최대 실적으로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올해 상반기 전체로는 매출 85조6791억원, 영업이익 7조8365억원을 기록했다. 반기 기준으로 매출은 작년 상반기 실적(80조32억원)을 뛰어넘는 역대 최대 기록이다. 영업이익은 기존 최대 기록인 작년 상반기(7조8906억원)에 살짝 못 미쳤다. 현대차 관계자는 "고금리 지속에 따른 수요 둔화와 주요 시장 경쟁 심화로 인한 인센티브 상승 추세 등 불확실한 경영환경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고부가가치 차종 중심 판매, 환율 효과 등을 바탕으로 영업이익률 9% 이상의 안정적인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대차가 이같은 실적 상승세를 이어갈 수 있었던 배경에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의 '결단력과 추진력'이 자리하고 있다. 정의선 회장은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와 친환경차(하이브리드·플러그인 하이브리드·전기차·수소전기차) 경쟁력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최근 글로벌 전기차 시장 수요가 둔화하고 있지만 정 회장은 글로벌 생산 거점 확대 등 사업을 확장하고 이 있다.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 개발도 그 중 하나다. 현대차는 기존 1.6터보 가솔린 엔진 기반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이어 보다 강력한 2.5터보 가솔린 엔진 기반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현재 개발 막바지 단계로 올 연말이나 내년 초 상용화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모델에 처음 적용할 가능성이 높다. 현대차는 친환경차 시장이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캐즘 구간 진입으로 하이브리드 중심으로 시장 공략에 나선다. 단 주요 국가들의 중장기 환경 규제 및 친환경 인프라 투자 증가에 따라, 중장기적으로는 전기차 수요가 친환경차 시장의 성장세를 이끌 전망이다. 현대차는 이와 관련해 ▲전용 전기차 브랜드 '아이오닉'의 라인업 확대, 캐스퍼 일렉트릭(해외명 인스터) 글로벌 론칭, 하이브리드 라인업 기술 개발 및 라인업 확대 등을 통한 친환경차 판매 제고 ▲생산 및 판매 최적화를 통한 판매 극대화 ▲SUV, 고부가가치 차종 중심의 믹스 개선을 통한 점유율 확대 및 수익성 증진에 집중할 방침이다. 마지막으로 현대차는 주주 환원을 위한 2024년 2분기 배당금을 지난 1분기에 이어주당 2000원으로 결정했다. 이는 전년 분기 배당(1500원) 대비 33.3% 늘린 금액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현대차는 시장과 약속한 주주환원 정책을 반드시 이행하고, 다양한 주주환원 정책을 적극 검토하며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지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