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인포그래픽] 4인 가족은 옛말… 성인 2~3명만으로 구성된 가구 급증

자녀 없이 2~3명의 성인으로만 구성된 가구가 급증해 국내 가구구조가 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문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사회통합연구센터 부연구위원은 21일 이런 내용의 '가구구성 변화와 소득불평등, 그 정책 함의'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김 위원은 통계청의 가계 동향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2명 이상의 도시 가구를 성인과 아동의 수를 조합해 13개의 가구구성 유형으로 분류해 1990년에서 2012년까지 가구구성의 변화가 소득불평등에 끼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했다. 연구 결과 전체 가구에서 아동 없이 성인 2명으로만 구성된 가구의 비중이 1990년 9.9%에서 2012년 27.9%로 18.0%p 늘어 가장 많은 증가율을 보였다. 또 아동 없이 성인 3명만으로 된 가구 비중도 1990년 6.9%에서 2012년 17.1%로 10.2%p 늘었으며 아동 없이 성인 4명만으로 된 가구 비중은 1990년 7.9%에서 2012년 13.1%로 5.3%p 증가했다. 이에 반해 성인 3명 이상과 아동 1명으로 구성된 가구 비중은 1990년 21.4%에서 2012년 10.5%로 10.9%p 감소했으며 성인 3명 이상과 아동 2명으로 구성된 가구 역시 1990년 10.9%에서 2012년 3.0%로 7.8%p 하락했다. 표준 가구로 분류되던 성인 2명과 아동 2명으로 구성된 가구도 1990년 18.8%에서 2012년 14.1%로 4.7%p 감소했다. 김 위원은 "가구구조 변화가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방법으로 가중치 조정방법을 적용하니 아동 없는 소규모 가구 유형의 지니계수가 전체 평균지수보다 높게 나오는 등 가구 유형 변화가 소득불평등 확대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2013-11-21 16:27:26 황재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