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비 엇갈린 건설사 실적…현대·DL '맑음' 전망
현대건설을 시작으로 건설사들의 실적발표 기간(어닝 시즌)이 시작됐다. 현대건설이 예상보다 좋은 '깜짝 실적(어닝 서프라이즈)'을 내놨지만 건설사별로 희비가 엇갈릴 것으로 보인다. 23일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현대건설이 지난 19일 1분기 실적을 발표했고, 오는 24일 삼성물산, 26일 GS건설, 다음달 2일에는 DL이앤씨가 실적을 공개할 예정이다. 현대건설은 1분기 매출액 8조5453억원, 영업이익 250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1.7%, 44.6% 증가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 기준으로 당초 시장에서 예상했던 2013억원보다 25%나 늘었다. 현대건설은 주택 부문의 실적이 견조했고, 파나마 메트로 3호선과 이라크 바스라 정유공장, 사우디 자푸라 가스처리시설 등 해외 대형현장의 공정이 가속화되면서 실적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DL이앤씨와 삼성물산도 실적 전망이 양호했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DL이앤씨는 1분기 매출 1조9454억원, 영업이익 94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2%, 5% 증가할 것으로 추정됐다. 삼성물산의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 추정치는 10조3573억원, 653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2%, 2% 증가한 수준이다. 반면 GS건설과 대우건설 등은 실적이 부진할 것으로 예상됐다. GS건설의 1분기 영업이익 추정치는 58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3.2% 감소할 것으로 보이며, 대우건설 역시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21.4% 감소한 1388억원으로 추정됐다. 실적과 함께 눈여겨봐야 할 부분은 현금성 자산이 감소했는지 여부다. 조정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분양물로 계약한 2021, 2022년에 착공한 사업장의 준공이 올해 중·하반기로 대거 몰려있어 1분기 건설사들은 대부분 현금성 자산이 감소할 가능성이 높다"며 "지난 2월 기준 입주율이 수도권 83.1%, 지방 중 ·소도시 68.2%로 지방 노출도가 높은 중 ·소형 건설사의 경우 유동성 우려가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건설 역시 1분기 순현금이 9000억원으로 작년 말 2조3000억원 대비 큰 폭으로 줄었다. 장문준 KB증권 연구원은 "현대건설도 절대적인 이익규모는 기대치를 상회했지만 이익률은 영업이익 기준 2.9%로 개선되고 있지 못하다"며 "주택시장의 불확실성이 원가율 뿐만 아니라 재무구조를 동시에 누르고 있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건설사들의 주가는 올해 들어서도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건설업종은 지난 주말 기준으로 1년간 13% 하락했다. GS건설 주가가 34.1% 내려 하락폭이 가장 컸고, 현대건설과 대우건설도 각각 15.7%, 13.8% 하락했다. 김선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주요 건설사 전반적으로 무난한 실적이 예상된다"며 "실적보다는 건설업을 발목 잡는 지방 주택시장의 회복 여부가 주가를 결정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