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경제성장률 0.6%…국민총소득 0.7% 감소
2분기(4~6월) 실질 국민총소득(GNI)이 0.7% 줄었다. 1분기 1.9% 증가했다가 지난해 2분기 이후 1년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국내총생산(GDP)은 수출보다 수입이 더 크게 줄면서 0.6%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소득, 1년만에 최대폭 감소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2분기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473조6000억원으로 1분기(476조9000억원)과 비교해 3조3000억원(0.7%) 감소했다. 지난해 2분기 -0.9% 이후 감소폭이 가장 컸다. 실질 GNI는 실질 국내총소득에서 실질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을 더한 것으로 국민이 국내는 물론 국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다. 한 국가 국민들의 전반적인 소득수준을 파악할 수 있다. 실질 국내총소득은 전분기 462조원에서 463조2000억원으로 0.3% 증가한 반면 실질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은 14조9000억원에서 10조3000억원으로 감소했다.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은 해외에서 국민이 벌어들인돈에서 국내에서 외국인에게 지급한 돈을 뺀 것이다. 최정태 국민계정부장은 "1분기 해외 직접투자배당금이 크게 늘어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크게 증가했는데, 전분기 급격하게 증가한 영향으로 2분기 감소폭이 크게 나타났다"며 "교역조건 악화로 실질무역 손실이 전분기 32조 2000억원에서 34조원으로 확대된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다. 총 저축액은 189조1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0.2% 상승했다.국민들이 벌어들인 소득보다 소비 지출을 더 줄인 영향이다. 최종소비지출액은 375조5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0.4% 감소한 반면, 국민처분가능소득은 564조6000억원으로 같은기간 0.2% 감소했다. ◆국내총생산 0.6%…0%대 성장 2분기 국내총생산(GDP)은 0.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7월 25일 발표한 속보치와 같은 수준이다. 지난해 역성장(-0.3%)한 이후 올 1분기 0.3%로 성장폭을 키웠지만 0%대 성장은 지속됐다. 국내총생산이란 한 나라의 가계, 기업, 정부 등 경제주체들이 일정기간 생산한 최종 생산물의 가치를 시장가격으로 모두 합한 것으로 소비, 투자, 정부 지출, 순수출을 더한 값이다.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가 준내구재(의류 및 신발)와 서비스(음식·숙박) 를 중심으로 0.1% 감소했다. 정부소비도 2.1% 줄었다. 투자는 건설투자가 0.8% 감소했지만, 설비투자가 0.5% 증가했다. 운송장비가 줄었으나 기계류가 늘어난 영향이다. 지식생산물 투자도 0.7% 증가했다. 수출은 반도체·자동차 등이 늘었지만, 석유제품이 줄어 0.9% 감소했고, 수입은 원유와 천연가스 등을 중심으로 3.7% 줄었다. 수출보다 수입이 더 많이 줄어듦에 따라 순수출의 GDP 성장 기여도는 1.4%포인트를 기록했다. 소비지출(-0.5%) 등 내수(-0.8%)가 감소한 상황에서 순수출이 경제를 이끌었다. 최정태 국민계정부장은 "지금까지의 지표로 보았을때 소비는 완만하게 회복되고, 수출부진도 완화돼 성장세가 개선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다만 중국경제의 더딘 회복세와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추가긴축우려 등 하방요인과 중국인 단체관광객 유입, 미국경제 연착륙 등 상방요인이 혼재해 있어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나유리기자 yul115@metroseoul.co.kr